$\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측두하와에 발생한 법랑모세포종 1예
A Case of Ameloblastoma in the Infratemporal Fossa 원문보기

대한 두경부 종양 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v.31 no.2, 2015년, pp.49 - 53  

김강현 (대진의료재단 분당제생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이상민 (대진의료재단 분당제생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백소야 (대진의료재단 분당제생병원 병리학교실) ,  박영민 (대진의료재단 분당제생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eloblastoma is the most common benign odontogenic tumor, with approximately 80% arising in the mandible and the remainder in the maxilla. However, the infratemporal fossa is a rare site in which ameloblastomas occur. Although malignant transformations or metastasizing processes are extremely rar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주로 하악골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하악각과 하악지에 주로 발생하며 상악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저자들은 좌측 치은협 부위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60세 여자 환자에서 측두하와에 발생한 법랑모세포종 1예를 아랫볼피판(lower cheek flap) 접근법을 통해 광범위 절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5)환자들은 안면부의 국소적 종창과 동통 및 부정교합 등을 호소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병변이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6)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검사가 필요하나 전산화 단층촬영이 감별에 도움이 된다. 영상 소견으로는 방사선을 투과하는 팽창성의 분엽상 낭성 병변을 보이며 특징적으로 비누거품 형태가 나타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랑모세포종의 발생빈도는? 법랑모세포종(ameloblastoma)은 가장 흔한 상피 치원성종양으로 발생 빈도는 악골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양 중에서는 1%, 치원성 종양 중에서는 1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1) 법랑모세포종은 조직학적으로 양성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주위 조직을 침습하고 종양의 주변 조직을 파괴하며 재발을 잘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악성으로의 전환이나 타장기로의 전이는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법랑모세포종이 주로 발생하는 부위는? 1) 법랑모세포종은 조직학적으로 양성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주위 조직을 침습하고 종양의 주변 조직을 파괴하며 재발을 잘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악성으로의 전환이나 타장기로의 전이는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주로 하악골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하악각과 하악지에 주로 발생하며 상악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저자들은 좌측 치은협 부위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60세 여자 환자에서 측두하와에 발생한 법랑모세포종 1예를 아랫볼피판(lower cheek flap) 접근법을 통해 광범위 절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법랑모세포종의 특징은? 법랑모세포종(ameloblastoma)은 가장 흔한 상피 치원성종양으로 발생 빈도는 악골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양 중에서는 1%, 치원성 종양 중에서는 10%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1) 법랑모세포종은 조직학적으로 양성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주위 조직을 침습하고 종양의 주변 조직을 파괴하며 재발을 잘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악성으로의 전환이나 타장기로의 전이는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주로 하악골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하악각과 하악지에 주로 발생하며 상악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lootweg PJ, Muller H. Malignant ameloblastoma or ameloblastic carcin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4;57(2):168-176. 

  2. Torres-Lagares D, Serrera-Figallo MA, Romero-Ruiz MM, Infante-Cossio P, Garcia-Calderon M, Gutierrez-Perez JL. Update on dry socket: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5; 10(1):81-5;77-81. 

  3. Small IA, Waldron CA. Ameloblastomas of the jaw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5;8(3):281-297. 

  4. Fregnani ER, da Cruz Perez DE, de Almeida OP, Kowalski LP, Soares FA, de Abreu Alves F. Clinicopathological study and treatment outcomes of 121 cases of ameloblastomas.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0;39(2):145-149. 

  5. Hertog D, Bloemena E, Aartman IH, van-der-Waal I. Histopathology of ameloblastoma of the jaws; some critical observations based on a 40 years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2;17(1):e76-82. 

  6. Bianchi B, Ferri A, Ferrari S, Leporati M, Copelli C, Ferri T, et al. Mandibular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in the management of extensive ameloblastoma. J Oral Maxillofac Surg. 2013;71(3):528-537. 

  7. Thompson L.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of head and neck tumours. Ear Nose Throat J. 2006;85(2):74. 

  8. Ueno S, Nakamura S, Mushimoto K, Shirasu R.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ameloblastoma. J Oral Maxillofac Surg. 1986;44(5):361-365. 

  9. Kahn MA. Ameloblastoma in young person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and etiologic investiga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9;67(6):706-715. 

  10. Gardner DG. Some current concepts on the pathology of ameloblastoma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6;82(6):660-669. 

  11. Zhong LP, Zhang ZY, Zhu HG, Fu HH, He Y. Clinical management of peripheral ameloblastoma. J Craniofac Surg. 2011;22(5):1929-1932. 

  12. Hertog D, van der Waal I. Ameloblastoma of the jaws: a critical reappraisal based on a 40-years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Oral Oncol. 2010;46(1):61-64. 

  13. Lau SL, Samman N. Recurrence related to treatment modalities of unicystic ameloblastoma: a systematic review.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6;35(8):681-690. 

  14. Chapelle KA, Stoelinga PJ, de Wilde PC, Brouns JJ, Voorsmit RA. Rat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of ameloblastomas and odontogenic keratocysts.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4;42(5):381-390. 

  15. Hertog D, Schulten EA, Leemans CR, Winters HA, Van der Waal I. Management of recurrent ameloblastoma of the jaws; a 40-year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Oral Oncol. 2011;47(2):145-146. 

  16. Gardner DG, Pecak AM. The treatment of ameloblastoma based on pathologic and anatomic principles. Cancer. 1980;46(11):2514-2519. 

  17. Atkinson CH, Harwood AR, Cummings BJ. Ameloblastoma of the jaw. A reappraisal of the role of megavoltage irradiation. Cancer. 1984;53(4):869-873. 

  18. Madhup R, Kirti S, Bhatt ML, Srivastava M, Sudhir S, Srivastava AN. Giant ameloblastoma of jaw succesfully treated by radiotherapy. Oral Oncol Extra. 2006;42(1):22-25. 

  19. Philip M, Morris CG, Werning JW, Mendenhall WM.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ameloblastoma and ameloblastic carcinoma. J HK Coll Radiol. 2005;9(4):157-1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