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감시성, 선발브랜드의 인지도, 광고모델 유형이 미투 브랜드의 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 -아웃도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Pioneer Brand Awareness, Types of Endorsers on Quality Perception of Me-Too Brands - Focused on Outdoor Brand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8, 2015년, pp.22 - 34  

정승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onsumer's self-monitoring, pioneer brand awareness, types of endorsers on quality perception of "me-too" brands with a focus on outdoor brands. The design of this research was comprised of 2 types of self-monitoring(high vs. low), 2 typ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 패션시장에서 미투브랜드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아웃도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자기감시성 수준과 선발브랜드 인지도, 광고모델 유형이 미투 브랜드의 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패션시장에서 미투전략을 쓰는 유사브랜드에 대한 경계와 관심이 꾸준히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제한적이므로 학문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성숙기에 접어든 국내 패션시장에서 아웃도어 업체들이 기존의 선발 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해 미투 브랜드를 출시할 경우 소비자의 자기감시성 정도와 선발브랜드의 인지도 수준, 광고모델의 유형이 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자기감시성, 선발브랜드의 인지도와 광고모델 유형이 미투브랜드의 품질지각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위해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2(자기감시성: 고 vs 저) Ⅹ2(선발브랜드 인지도: 고 vs 저) Ⅹ2(광고모델 유형: 전문인 vs 일반인)의 3원 혼합요인설계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자기감시성에 따른 선발브랜드 인지도와 광고모델 유형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자기감시성: 고 vs 저: 집단 간) x2(선발 브랜드 인지도: 고 vs 저: 집단 내) x2(광고모델 유형: 전문인 vs 일반인: 집단 내)의 3-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투 브랜드에 대한 품질지각에 있어서 자기감시성, 선발브랜드 인지도, 광고모델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기에 앞서 예비조사에서 선정된 두 브랜드 간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자기감시성, 선발브랜드 인지도, 광고모델 유형은 미투 브랜드의 품질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감시성이란 무엇인가? 자기감시성이란 개인이 사회에서 인정받기 위해 상황적인 단서에 따라서 자기를 관찰하고 통제하며 관리하려 하는 경향을 말한다(Snyder & Cunning ham, 1975). 일반적으로 자기감시성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내적정보보다는 상황적 정보에 근거하여 자신의 행동선택을 통제하기 때문에 대인관계와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패션업체들은 신규브랜드를 선보이는 대신 기존의 성공한 모브랜드 확장전략을 모색하는 이유는? 이처럼 치열한 글로벌 패션시장에서 패션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를 소비자들에게 빠르게 인식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의 브랜드가 시장에서 그 입지를 구축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금전적 투자가 요구된다(Ahn, Han, & Jeon, 2013). 따라서, 많은 패션업체들은 신규브랜드를 선보이는 대신 기존의 성공한 모브랜드 확장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지나친 브랜드 확장이 야기하는것은 무엇인가? 브랜드 확장은 소비자의 신제품에 대해 지각하는 위험을 줄여주며 기업의 마케팅 비용을 절감 해주고, 다양한 취향의 소비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는 점에서 분명 매력적인 시장진입 전략이 분명하다. 그러나, 지나친 브랜드 확장은 소비자에게 어떤 브랜드가 자신에게 맞는지를 판단하기 힘들게 할 수 있으며, 모브랜드 시장을 잠식하는 현상을 야기 할 수 있다(Ahn, Han, & Jeon, 2013). 그러나, 성공한 모브랜드가 없는 일부 업체들은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선발브랜드의 컨셉과 이름을 그대로 모방하여 시장에 진입하기도 하는데 이를 미투전략이라 일컫는다(Brand Major,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rghavan, N. & Zaichkowsky, J. L.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485-497. 

  2.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The United States: The Free Press(New York). 

  3. Ahn, K. H. & Lim, M. H. (2008). The Effect of Product Benefit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the me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 and self-monitoring.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19(1), 164-184. 

  4. Ahn, K. H., Han, S. M., & Jeon, S. R. (2013). Strategical Brand Management (4th ed.). Paju, Republic of Korea: Hakhyunsa. 

  5. Brand Major (2010). Branding which make Major Brand (3rd ed.). Republic of Korea: Serounsaramdeul Publications. 

  6. Baik, J. E. (2014). The effects of consumer buying attitude based on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subje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1), 18-30. 

  7. Choi, S. H. (2011, July 4). Growth of Korean Outdoor Market. economy chosun. Retrieved from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5&nNewsNumb002170100019 

  8. Cho, J. K. (2008). The Attitudinal Effect of Types of Endoser and Sex.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0(1), 165-194. 

  9. Choi, H. J. (2013). (A) study of art infusion effect on the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self-monitoring and the luxury level of fashion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0. Friedman, H. H. & Friedman, L. (1979).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5), 63-71. 

  11. Han, J. A. & Jung, B. M. (2013). Comparison on the Brand Image Design Factors and Usage Characterstics with the Prestige and Me-too Cosmetic Brands. Korean Digital Design Association, 13(4), 871-879. 

  12. Hong, Y. S. (2013 January 22). The biggest 10 outdoor brands dominate 80% of market?., Fashionbiz. Retrieved from http://www.fashionbiz.co.kr/TN/?cate2&idx130969 

  13. Jang, H. Y. (2008).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and Meaning Analysis in Apartment TV Advertis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Republic of Korea. 

  14. Jang, J. S., Lee, J. H., & Ahn, K. H. (2011). The Effect of the Congruence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Purchase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Self-Monitoring and Product Typ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2(5), 7-23. 

  15. Jang Y. S. (2012). A Study on outdoor ready-to-wear collections and global outdoor wear brands since 2007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6. Ju, H. K. (2011). The Effect of Brand Symbol Similarities on Consumers' Evaluation Proce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Republic of Korea 

  17. Kenneth. G., & Rubin, K., & DeBono, K. (1995). Country of origin and perceptions of product quality: An individual difference perspectiv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7(1-2), 239-247. 

  18.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Jan), 1-22. 

  19. Keller, K. L. (2007). Strategic brand management (3rd ed). Republic of Korea: Business Books. 

  20. Kim, J. Y. & Kang, T. J (2004). The Advertising Effect of the Extension Strategy by the Type of Products : The Perceived Similarity of the Brand Name. Advertising Research, 1(63), 9-30. 

  21. Kim, J. Y. (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ird-grade rhythm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Education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2. Kim, D. S., Hwang, C. S., & Hwang, C. H. (2011). Consumption Behavior of Counterfeit Luxury Goods according to Social self-concept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 152-152. 

  23. Kim, E. Y. (2012), Perceived Fit and Brand Value Transfer in Luxury Fashion Brand Extension.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21(1), 151-164. 

  24. Kim, J. M. (2014, April 17). Black Yak and North Face Issue. Mk News. Retrieved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598056 

  25. Lee, K. Y., Lee, C. Y., & Lee, H. J. (2006). A Study on Advertisement Effect of CEO Endorser.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8(4), 302-330. 

  26. Lee, Y. J. (2010). Transactions: Differences in Attitude-Based on Advertising Model and Consumer Product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0), 1658-1670. 

  27. Lee, Y. I. (2011). The Effects on Consumer Evaluation of Product Brand at the Store to Limitated Store Brand of High Market Position. Journal of Product Research, 29(5), 33-42. 

  28. Lee, Y. J. (2012). The Effect of Congruency of Parent Brand Image with Self Image, Brand Loyalty, and Brand Involevment on the Attitude towards Extended Product in Fashion Brand Ex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6), 33-42. 

  29. Lee, H. J. & Choo, H. J. (2013). Indivisual Characterstics and Social Function Attitudes on Luxury Brand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7), 922-934. 

  30. Lim, J. I., Son, Y. S., Kim, H. J. (2013). The Impact of Ad Clutter, Types of Model, & Product Involvement by Sex on Advertising Carry-Over Effec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4(3), 7-31. 

  31. Malaviya, P., & Sternthal, B. (2009). Parity product features can enhance or dilute brand evaluation: The influence of goal orientation and presentation forma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1), 112-121. 

  32. Nam, J. H. (2007). A Study on the examples of copying the Symbol Design. Korea Brand Design Research, 5(2), 93-107. 

  33. Na, J. H. (2008). Role of Sports Star Model on Evaluation for Products: Effect of Congruence and Product Type. Journal of Product Research, 26(4), 1-10. 

  34. Park, H. H. (2011). The Effectiveness of Scarcity Message Type on Consumer Attitude: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and Self monitoring in Online Cosmetic Advertising. Marketing Association, 19(1), 29-47. 

  35. Park, J. H. (2010). A Study of the Effect on Brand Equity on Trust,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Perceived Product Quality As a Media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6. Park, S. J. (2013). Consumer Choice between Vices and Virtues: A comparative Study of Choice for Others and Myself.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8(4), 123-143. 

  37. Pullig, C., Simmons, C. J., & Netemeyer, R. G. (2006). Brand dilution: when do new brands hurt existing brands?. Journal of Marketing, 70(2), 52-66. 

  38. Song, H. W. & Yeo, J. S. (2009). Effects of Overexposure of Celebrity Endorser on Consumer's Attitude: Moderating Role of Fitnes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0(6), 205-221. 

  39. Snyder, M. & Cunningham, M. R. (1975). To comply or not comply: Testing the self-perception explanation of the" foot-in-the-do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1), 64. 

  40. Shavitt, S., Lowrey, T. M., & Han, S. P. (1992). Attitude functions in advertising: The interactive role of products and self-monitor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4), 337-364. 

  41. Spry, A., Pappu, R., & Cornwell, B. (2011). Celebrity endorsement, brand credibility and brand equit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5(6), 882-909. 

  42. Turunen, L. L. M. & Laaksonen, P. (2011). Diffusing the boundaries between luxury and counterfeit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20(6), 468-474. 

  43. Till, B. D. & Busler, M. (1998). Matching products with endorsers: attractiveness versus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5(6), 576-586. 

  44. Yoo, S. Y. & Kim, E. H (2005). The Study on the Effects of Medical Advertisement: Focus on Model and Appeal Types.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84-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