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900년 전후의 역서편찬기관과 직제변화
CHANGES OF THE COMPILATION INSTITUTION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 AND OF ITS ORGANIZATION AROUND 1900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30 no.3, 2015년, pp.801 - 810  

최고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민병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이용삼 (충북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y compiled the Astronomical Almanac during the Joseon dynasty, though there were some changes of its organization. However, the observatory underwent sudden changes in the late period mainly due to the influence of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Gabo (甲午) and The Eul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이 시대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00년 전후의 천문학을 비롯하여 그것을 담당했던 기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상세히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19세기 중엽 조선의 관상감부터 1912년 마지막 천문관원이 있었던 시기까지 국가천문대가 변화하는 과정을 조사하였다. 특히 관상감에서 가장 핵심적인 업무였던 역서 편찬을 중심으로 하여 시대에 따른 조직의 변화와 역서내용의 변천도 함께 살펴보았다.
  • 이 논문에서는 19세기 중엽의 관상감부터 조선의 마지막 천문관원이 있었던 1912년까지 국가천문대의 변화를 역서편찬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조선말 갑오개혁과 태양력 시행, 그리고 일제강점기 등 역사적 사건들의 영향으로 역서의 내용뿐만 아니라 역서를 편찬하고 간행한 기관과 직제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상감의 담당 업무는 무엇인가? 이러한 역서를 계산하고 편찬하는 일은 국가 천문기관인 관상감(觀象監)에서 담당하였다. 관상감은 세조 12년(1466) 서운관(書雲觀)에서 개칭된 것으로 천문(天文), 지리(地理), 점산(占算), 측후(測候), 각루(刻漏)의 일을 담당하였다(Yoon, 2005). 그 중 천문관원들이 중심이 되었으며, 천문학의 직무는 역서를 편찬하는 일(治曆), 천문현상들을 관측하고 기록 하는 일(測候), 일월식(交食)을 계산하고 예보하는 일 등을 하였다(Lee et al.
관상감의 업무와 체제가 기록된 문서는 무엇인가? , 2003). 관상감의 이런 업무와 체제는 조선초기인 15세기에 마련되고 정비되어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기록되어 있으며, 그 기본 틀은 이후 19세기 말까지 큰 변동 없이 대체로 유지되었다(Hu, 2000).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1894년 갑오개혁, 1896년 태양력 시행, 1897년 대한제국 성립, 1910년 한일강제병합 등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들로 인하여, 관상감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Choi, 2010).
역대 조선의 제왕들이 사용한 역서는 무엇인가? 조선의 제왕들은 국가 천문기관에서 역서(曆書)를 편찬하여 반포(頒布)하였다. 조선초기에는 대통력(大統曆)을 사용하다가 세종 때는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편찬하였으며, 조선후기에는 1654년(효종 5)부터시헌력(時憲曆)을 사용하였다. 이 시헌력은 1896년 태양력(太陽曆)을 시행하기 전까지 약 250년간 사용되었다(Choi, 2010). 이러한 역서를 계산하고 편찬하는 일은 국가 천문기관인 관상감(觀象監)에서 담당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G. E., 2010, A Study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for 1864-1945, Msc.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 Hu, Y. S., 2000,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Works of the Astronomical Section of Gwan-sang-gam in the late Choson Dynasty - Focusing on the period since the late $18^{th}$ century, Msc.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Jun, Y. H., 2012, Discontinuance of Traditional Astronomy and Introduction to Modern Astronomy, Korean culture, 59, 37-64 

  4.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2015, Korean Astronomical Almanac, Namsandang (Seoul), pp.226 

  5. Lee, E. S., 1985, Fundamental Analysis of the Astronomical Calendar, Jeongeumsa (Seoul), pp.348-353 

  6. Lee, K. -W, 2008, On the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wansanggam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98 

  7. Lee, K. -W, Ahn, Y. S., Mihn, B. H., & Shin, J. S., 2011, Database construction and textual analysis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s, PKAS, 26, 1 

  8. Lee, M. U., Hu, Y. S., & Park, K. S., 2003, Annals of the Seoungwan (Seong J. D., Seoungwanji, 書雲觀志, 1818), Somyeong Press (Seoul), pp.15-111 

  9. Shin, J. H.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71, Korean Empire Officials Curriculum Vitae (大韓帝國官員履歷書), Tamgudang (Seoul), pp.291 

  10. The Editorial Bureau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1896, Sinjeong-Simsangsohak (新訂尋常小學), The Editorial Bureau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pp.20-21 

  11. Yoon, G, I, 2005, New Edition of Gyeongguk Dejeon (經國大典), Sinseosoen (Seoul), pp.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