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Korea, the system of management of medical waste largely relies on the incineration method. Our study aimed to identify any regional imbalances between the generation and treatment of medical waste, and provide reference data for future policy in Korea. Methods: We analyzed data o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의료폐기물 발생 및 처리의 공간적 분포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의료폐기물 발생 및 처리 간의 지역 간 불균형의 정도를 확인하고 향후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의료폐기물 분류체계는? 의료폐기물은 ‘보건ㆍ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동물의 사체 등 보건ㆍ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5호)’로 정의된다.1) 우리나라는 처리 및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2008년부터 종류별로 격리의료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 일반의료폐기물로 분류하고 위해의료폐기물은 다시 조직물류폐기물, 병리폐기물, 손상성폐기물, 생물·화학폐기물, 혈액오염폐기물로 분류하는 체계를 도입하였다. 또한, 의료폐기물 관리시스템의 무선주파수인식방법(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을 배출기관과 수집운반 업소를 상대로 의무화하는 등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의료폐기물이란? 의료폐기물은 ‘보건ㆍ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동물의 사체 등 보건ㆍ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5호)’로 정의된다.1) 우리나라는 처리 및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2008년부터 종류별로 격리의료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 일반의료폐기물로 분류하고 위해의료폐기물은 다시 조직물류폐기물, 병리폐기물, 손상성폐기물, 생물·화학폐기물, 혈액오염폐기물로 분류하는 체계를 도입하였다.
의료폐기물의 잠재적 위험성 중 가장 큰 관심을 쏟는 곳은? 3) 최근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메르스)와 같은 치명률 높은 신종감염병의 확산으로 지역사회의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병원균에 감염된 의료폐기물(혈액, 주삿바늘, 오염된 세탁물 등)에 대한 위험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의료폐기물이 가지는 보건학적인 위험성은 감염, 손상, 독성, 윤리적/정신적 측면 등 다양하지만,3,4)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관심사이다. 의료폐기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는 실제로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발생하는 경우에 비해 드물기는 하지만 가능성은 항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istry of Environment. Wastes Control Act. 2010 

  2. Ministry of Environment. Medical waste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methods. 2014. 

  3. World Health Organization. Safe management of wastes from health-care activities. 2nd edition. 2014. 

  4.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 Medical Waste Management. 2011. 

  5. Ministry of Environment. A Study on the improvement about medical waste system. 2013. 

  6.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13. 

  7. Fu J, Wong KF. Narasimhan V, Mass R. Energy Balance and Flue Gas Generation From a Medical Waste Incinerator. Thermodynamics and the desig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energy systems. 1995;371-362. 

  8. Ministry of Environment.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06. 

  9. Ministry of Environment.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07. 

  10. Ministry of Environment.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08. 

  11.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09. 

  12.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10. 

  13.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11. 

  14.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urrent status of specified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2012. 

  15. Booth B, Mitchell A. Getting to Know ArcGIS. ESRI. 1999. 

  16. Korea Medical Waste Corporation. Capacity of incinerators for medical waste. 2015. 

  17. Korea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medical waste management system. NARS issue report Article No.216. 2013. 

  18. Ahn SH, Ahn SY. The study of area-division strategy for medical waste dispos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 12(9): 255-263. 

  19. Jo JH, Kim CH. Efficient and Safe Management of Medical Waste in Emergency Situation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2014: 31(3): 325-332. 

  20.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Health Law.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