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탄을 이용한 매체 순환 개질 시스템을 위한 Ni-YSZ 촉매에서의 Y에 따른 촉매 반응 특성 연구
The Effect of Y at Ni-YSZ Catalysts for the Application to the Process of Methane Chemical-Looping Reforming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6 no.6, 2015년, pp.516 - 523  

김희선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전유권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황주순 (연세대학교 신에너지협동과정) ,  송순호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설용건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ckel based oxygen transfer materials supported on two different YSZs were test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in methane chemical-looping reforming. The oxygen transfer materials of YSZs were selected with different amount of the doped yittrium in the $ZrO_2$ structure. The yittrium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촉매를 사용하는 메탄 개질의 단점을 매체순환식 연소 개념을 차용하여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촉매의 재생을 개질 반응 중에 유도하는 것과 동시에 수소를 적시에 생산할 수 있도록 매체순환식 연소/개질 개념의 산소공여입자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촉매를 사용하는 메탄 개질의 단점을 매체순환식 연소 개념을 차용하여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촉매의 재생을 개질 반응 중에 유도하는 것과 동시에 수소를 적시에 생산할 수 있도록 매체순환식 연소/개질 개념의 산소공여입자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분산화 반응을 이용한 개질의 단점은 무엇인가? 가장 경제적인 수소 생산 방법으로 알려진 메탄 수증기 개질은 촉매의 역할이 중요하고 탄소침적이 큰 문제로 지적된다4). 그에 반해 부분산화 반응을 이용한 개질은 발열 반응으로 온도 제어가 쉽지 않고 수소 수율이 낮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앞서 말한 개질 방법의 수소 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증기 개질과 부분산화 반응 개질의 단점을 보완한 자열개질(auto-thermal reforming)도 주목받고 있다.
가장 경제적인 수소 생산 방법으로 알려진 방법은 무엇인가? 가장 경제적인 수소 생산 방법으로 알려진 메탄 수증기 개질은 촉매의 역할이 중요하고 탄소침적이 큰 문제로 지적된다4). 그에 반해 부분산화 반응을 이용한 개질은 발열 반응으로 온도 제어가 쉽지 않고 수소 수율이 낮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자열개질은 무엇인가? 앞서 말한 개질 방법의 수소 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증기 개질과 부분산화 반응 개질의 단점을 보완한 자열개질(auto-thermal reforming)도 주목받고 있다. 이는 발열 반응인 부분 산화 반응과 흡열 반응인 수증기 개질 반응을 결합한 것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 Archer, "Fate of fossil fuel $CO_2$ in geologic tim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0, 2005, C09S05, doi:10.1029/2004JC002625. 

  2. "Monthly Energy Review-July 2015",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s, July 28, 2015. 

  3. Yohan Choi, BSC report 359-13-003, Compliance in Advance and Supporting System, 2013, pp. 1-6. 

  4. H. S. Kim, D. H. Shin, S. H. Lee, S. H. Song, and K. M. Chun, "The Effects of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on the performance of a methane reformer: Catalyst types, Gas Hourly Space Velocity and $O_2/C$ ratio of reactants",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Conference Proceedings, Vol. 12, 2013, pp. 829-833. 

  5. Joelmir Augusto Costa Dias, Jose Mansur Assaf, "Autoreduction of promoted Ni/ $-Al_2O_3$ during autothermal reforming of methane", Vol. 139, Issues 1-2, pp.176-181. 

  6. Juan Adanez, Alberto Abad, Francisco Garcia-Labiano, Pilar Gayan, Luis F. de Diego, "Progress in Chemical- Looping Combustion and Reforming technologies",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Vol. 38, 2012, pp. 215-282. 

  7. Takeshi Hatanaka, Satoru Matsuda, Hiroyuki Hatano, "A New-Concept Gas-Solid Combustion System MERIT for High Combustion Efficiency and Low Emissions", Proceedings of the 32nd IECEC, Vol. 2, 1997, pp. 944-948. 

  8. Justine Fenech, Ce'line Viazzi, Jean-Pierre Bonino, Florence Ansart, Antoine Barnabe, "Morphology and structure of YSZ powders: Comparison between xerogel and aerogel", Ceramics International, Vol. 35, 2009, pp. 3427-3433. 

  9. Juan Carlos Ruiz-Morales, Jesu's Canales-Vazquez, David Marrero-Lopez, Juan Pena-Martinez, Albert Taranco'n, John T. S. Irvine, Pedro Nunez, "Is YSZ stable in the presence of Cu?",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Vol. 18, 2008, pp. 5072-5077. 

  10. Sebastian Heiroth, Ruggero Frison, Jennifer L. M. Rupp, Thomas Lippert, Eszter J. Barthazy Meier, Elisabeth Muller Gubler, Max Dobeli, Kazimierz Conder, Alexander Wokaun, Ludwig J. Gauckler, "Crystallization and Grain Growth Characteristics of Yttria-Stabilized Zirconia Thin Films Grown by Pulsed Laser Deposition", Solid State Ionics, Vol. 191, 2011, pp. 12-23. 

  11. C. W. Kuo, Y. H. Shen, I. M. Hung, S. B. Wen, H. E. Lee, and M. C. Wang, "Effect of $Y_2O_3$ addition on the crystal growth and sintering behavior of YSZ nanopowders prepared by a sol-gel process",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Vol. 472, Issues 1-2, 2009, pp. 186-193. 

  12. Kazuya Sasaki, Takayuki Terai, Akihiro Suzuki, Naoaki Akasaka, "Effect of the $Y_2O_3$ Concentration in YSZ on the Thermophysical Property as a Thermal Shielding Mate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Ceramic Technology, Vol. 7, 2010, pp. 518-527. 

  13. Hamid Mohammad Shiria, Mustafa Aghazadeh,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psule-Like NiO Nanoparticles",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Vol. 159, Issue 6, 2012, E132-E138. 

  14. Zihua Wang, Girish M. Kale, Qingchun Yuanb, Mojtaba Ghadiri, "X-Ray micro-tomography of freeze dried nickel alginate bead and transformation into NiO nanopowders", RSC Advances, Vol. 2, 2012, pp. 9993-9997. 

  15. Y. W. Jeon, S. W. Row, Altansukh Dorjgotov, S. D. Lee, K. S. Oh, and Y. G. Shul, "Catalytic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V_2O_5/{\gamma}-Al_2O_3$ for ammoxidation of m-xylene system",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 30, Issue 8, 2013, pp. 1566-1570. 

  16. W. J. Cho, H. J. Yu, Y. G. Mo, and W. S. Ahn, "Experimental Study of Hydrogen and Syngas Production over $Ni/Ce-ZrO_2/Al_2O_3$ Catalysts with Additives",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5, No. 2, 2014, pp. 105-113. 

  17. Endalkachew Sahle-Demessie, Venu Gopal Devulapelli and Ashraf Aly Hassan, "Hydrogenation of Anthracen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olvent Using Ni Supported on H ${\beta}$ -Zeolite Catalyst", Catalysts, Vol. 2, No. 1, 2012, pp. 85-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