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 방선균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균주 배양액의 살초활성을 증가시키는 Adjuvant 탐색
The Influence of Adjuvants on Herbicide Activity of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4 no.4, 2015년, pp.288 - 294  

김재덕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신훈탁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김영숙 ((주)목우연구소) ,  고영관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조남규 ((주)목우연구소) ,  황기환 ((주)목우연구소) ,  구석진 ((주)목우연구소) ,  최정섭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박기웅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양방선균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대사물질의 살초활성을 증가시키는 adjuvant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작물보호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21종의 adjuvant를 8종(화본과잡초 6종, 광엽잡초 2종)의 피검식물에 처리하여 살초활성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LE7[Polyoxyethylene lauryl ether]과 EP4C [Sodium bis (2-ethylhexyl) sulfosuccinate]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2종의 adjuvant를 KR-001 대사물질과 함께 8종(화본과잡초 4종, 광엽잡초 4종)의 피검식물을 대상으로 살포한 결과 $2,000L\;ha^{-1}(65{\mu}g\;a.i.\;ml^{-1})$ 처리가 $1,000L\;ha^{-1}(130{\mu}g\;a.i.\;ml^{-1})$ 처리보다 살초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6종(화본과 잡초 3종, 광엽잡초 3종)의 피검식물에 대하여 포장 실증평가를 수행한 결과 $1,300{\mu}g\;ml^{-1}$의 KR-001 대사물질에 $2{\mu}g\;ml^{-1}$ 농도로 EP4C를 첨가하여 $2,000L\;ha^{-1}$ 처리량으로 살포시 대조약제인 glufosinate-ammonium ($540g\;a.i.\;ha^{-1}$)과 대등한 약효를 보였다. 향후 선발된 2종의 adjuvant를 대상으로 복합 및 다중처리와 잡초의 생육 정도에 따른 처리시기 조절 등으로 보다 효과적인 약효증진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icient adjuvants to increase herbicidal efficacy of metabolites from Streptpmyces scopuliridis KR-001. Commonly used 21 adjuvants mixed with the metabolites were applied to eight weed species (six grass weeds and two broadleaved weeds). Based on the visu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Streptomyces viridichromogenes와 Streptomyces hygroscopicus에서 분리된 glufosinate-ammonium (Hoerlein, 1994) 등이있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학술적, 산업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방선균으로부터 살초활성을 갖는 유효활성물질을 탐색하는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왔으며, 그 결과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균주를 발굴하였다. 또한 발굴한 균주의 배양액을 온실조건에서 주요잡초에 대해 살포한 결과 높은 살초력을 확인하였고, 물질을 분리하고 동정하는 과정을 통해 유효활성물질을 확인하였다.
  • 본 시험은 온실조건에서 후보 방선균 배양액의 약효증진 효과 평가를 통해 선발된 2종의 adjuvant를 대상으로 포장 조건에서의 효과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adjuvant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을 살포했을 때 처리 7일 후 260 μg ml−1 처리구에서 광엽잡초에 대하여 우수한 살초력을 나타낸 반면 화본과 잡초(돌피, 수수, 바랭이)에 대해서는 살초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 2009). 본 실험은 KR-001 균주 배양액에 선발된 두 adjuvant 가 적용되었을 때 처리량에 따라 확전성과 지속성 등의 특성과 관련하여 살초활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물량 조건에서 1000 L ha−1 처리량은 상용제초제를 경엽처리용으로 사용할 때 가장 적은 물량으로 제시되는 조건이며, 2000 L ha−1 처리량은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 제시되는 조건이다.
  • 본 연구는 KR-001 균주 배양액이 최적의 제초활성을 발현할 수 있는 적합한 adjuvant를 선발하고, 선발된 adjuvant를 대상으로 포장조건에서의 실증평가를 통해 천연 제초제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토양방선균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대사물질의 살초활성을 증가시키는 adjuvant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작물보호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21종의 adjuvant를 8종(화본과잡초 6종, 광엽잡초 2종)의 피검식물에 처리하여 살초활성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LE7[Polyoxyethylene lauryl ether]과 EP4C [Sodium bis (2- ethylhexyl) sulfosuccinate]를 선발하였다.
  • 선발된 2종의 adjuvant (LE7, EP4C)를 KR-001 배양액에 적용하고 포장조건에의 약효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화학연구원 시험 포장에서 6월 하순에 수행하였으며 1×1m 크기로 구획을 설정하고 6종의 피검식물(돌피, 수수(Sorghum bicolor), 바랭이, 까마중(Solanum nigrum), 자귀풀, 어저귀)을 30~40립 파종하여 시험구를 조성하였다(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선균이 학문적, 산업적 측면에서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까닭은? Streptomyces 속을 포함하는 방선균은 다양한 종류의 유용한 2차 대사 산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학문적, 산업적 측면에서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Joseph et al., 2012).
방선균으로부터 분리된 제초활성 물질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 2012). 지금까지 방선균으로부터 분리된 제초활성 물질의 예로는 Streptomyces actinomycetes가 생산하는 anismycin, Streptomyces viridochromogenes가 생산하는 bialaphos (Bayer et al., 2004; Duke et al., 1996), Streptomyces albus subsp. chlorinus NRRL B-24108가 생산하는 albucidin (Hahn et al., 2009), Streptomyces viridichromogenes와 Streptomyces hygroscopicus에서 분리된 glufosinate-ammonium (Hoerlein, 1994) 등이있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학술적, 산업적으로 높은 가치가있다고 판단되는 방선균으로부터 살초활성을 갖는 유효활성물질을 탐색하는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왔으며, 그 결과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균주를 발굴하였다.
유기합성 제초제의 연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하지만 유기합성 제초제의 연용에 따른 저항성잡초 출현, 일부 제초제에서의 인축독성 문제, 환경오염 유발,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웰빙과 친환경농업의 요구 등 글로벌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 소재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생분해가 용이하고 비교적 친환경적인 안전한 농자재가 요구되고 있으며, 미생물과 같은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제초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Duke et al., 1996; Duk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ven, M., Noga, G. and Reuter, M. 1998. Effect of alcohol ethoxylate surfactants on the penetration and efficacy of the fungicide dimethomorph in grapevine leaves. pp. 176-181. In: McMullan, P.M. (Ed.). proceeding of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juvants for agrochemicals. Memphis, USA. 

  2. Bayer, E., Gugel, K., Hagele, K., Hagenmaier, H., Jessipow, S., et al. 2004. Stoffwechselprodukte von mikroorganismen. 98. mitteilung. phosphinothricin und phosphinothricyl-alanylalanin. Helv. Chim. Acta. 55:224-239. 

  3. Duke, S.O., Romagni, J.G. and Dayan, F.E. 2000. Natural products as sources for new mechanisms of herbicidal action. Crop Protection. 19:583-589. 

  4. Duke, S., Abbas, H., Amagasa, T. and Tanaka, T. 1996. Phytotoxins of microbial origin with potential for use as herbicides. Crit. Rep. Appl. Chem. 35:82-112. 

  5. Gaskin, R.E. and Murray, R.J. 1998. Adjuvants to improve insecticidal activity of dizinon on kiwifruit. pp. 217-222. In: McMullan, P.M. (Ed.). proceeding of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juvants for agrochemicals Memphis, USA. 

  6. Hahn, D.R., Graupner, P.R., Chapin, E., Gray, J., Heim, D., et al. 2009. Albucidin: a novel bleaching herbicide from Streptomyces albus subsp. chlorinus NRRL B-24108. The Journal of Antibiotics 62:191-194. 

  7. Hoerlein, G. 1994. Glufosinate (phosphinothricin), a natural amino acid with unexpected herbicidal properties. Rev. Environ. Contam. Toxicol. 138:73-146. 

  8. Joseph, B., Sankarganesh, P., Edwin, B.T. and Raj, S.J. 2012. Endophytic Streptomycetes from plants with novel green chemistry: Review. Int. J. Biol. Chem. 6:42-52. 

  9. Lee, B.Y., Kim, J.D., Kim, Y.S., Ko, Y.K., Yon, K.H., et al. 2013. Identification of soil bacteria Stepomyces scopuliridis KR-001 and its herbicidal characteristics. Weed Turf. Sci. 2(1):38-46. 

  10. McWhorter, C.G. 1982. The use of adjuvants. pp. 10-25. In: Hodgson, R.H. (Ed.). adjuvants for herbicides. Published by the Weed Science Society of America. Champaign, Illinois, USA. 

  11. Prashant, J., Jason, K.N. and Robert, C.S. 2010. Cyhalofop application timing and adjuvant selection for Echinochloa crus-galli control in rice. Crop Protection. 29(8):820-823. 

  12. Reekmans, S. 1998. Novel surfactants and adjuvants for agrochemicals. pp. 212-231. In: Knowles, D.A. (Ed.). Chemistry and Technology of Agrochemical Formula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UK. 

  13. Van Valkenburg, J.W. 1982. Terminology, classification and chemistry. pp. 1-9. In: Hodgson, R.H. (Ed.). Adjuvant for herbicides. Published by the Weed Science Society of America. Champaign, Illinois, USA. 

  14. Weaver, M.A., Jin, X., Hoagland, R.E. and Boyette, C.D. 2009. Improved bioherbicidal efficacy by Myrothecium verrucaria via spray adjuvant or herbicide mixtures. Biological Control. 50(2):150-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