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쑤시개를 이용한 잔디층, 대취층, 및 토양층에서 동전마름병 전염원의 검출
Toothpick-Aided Detection of Sclerotinia homoeocarpa in the Turfgrass Leaf Canopy, Thatch, and Soil in Relation to Dollar Spot Infection Centers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4 no.4, 2015년, pp.376 - 382  

이정한 (한국잔디연구소) ,  민규영 (대정골프엔지니어링) ,  심규열 (한국잔디연구소) ,  김동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상현규 (매사추세스대학교 스탁브릿지 농업대학) ,  정근화 (매사추세스대학교 스탁브릿지 농업대학) ,  곽연식 (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전마름병은 Sclerotinia homoeocarpa가 원인균으로 주로 한지형 잔디에 발생하는 주요 병이다. 본 연구는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동전마름병 전염원 검출과 처리물량을 달리하여 약제 살포하였을 때 병원균 검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동전마름병 병원균을 검출한 결과 병반 중심의 잎 부위에서는 100% 검출되었으며, 대취 부분에서는 83.3%가 검출되었으나 토양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대취층 아래 1, 2와 3 cm). 병반 중심부와 가장자리에서는 100% 검출되었으며 병반으로부터 1.5 cm 떨어진 부분에서는 13% 검출되었으며 병반으로부터 3와 4.5 cm 떨어진 부분에서 병원균의 분리빈도는 각각 3와 0%로 나타났다. 동전마름병 병원균은 병반으로부터 1.5 cm 떨어진 지점의 잎과 대취에서는 73.3%와 20%가 검출되었으며 3 cm 떨어진 부분과 4.5 cm 떨어진 부분에서 각각 46.6%와 13.3% 병원균이 검출되었다. 토양부분에서는 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염원 검출 빈도는 병반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두 가지 약제를 같은 약량으로 2.26와 6.78 L의 물에 희석하여 처리한 결과 병원균 검출빈도는 Chlorothalonil (CH) 처리구보다 Propiconazole (PP)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병반중심부에서 CH의 경우 검출 빈도는 15.5%로 PP의 경우 20.5%로 나타났다. 잎에서는 CH약제 처리구는 각각 15.5%와 2.2%가 검출되었으며 PP 처리구에서 이보다 높은 20.5%와 4.4%가 검출되었다. 대취층에서 전염원은 CH 처리구에서 물 2.26 L와 12.7%로 물 6.78 L가 2.2%로 검출되었다. 가장자리에서는 잎 부분을 검출한 결과 CH의 경우 물 2.26 L 처리구에서는 2.7%로 물 6.78L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PP의 경우 물 2.26 L에서 9.4%로 물 6.78L에서는 CH 처리구와 같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쑤시개 방법은 빠르고 쉽게 동전마름병을 검출하여 전염원의 분포 조사 및 전염원 형성 예측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llar spot,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is the major disease in cool-season turfgrasses.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this pathogen in soil and thatch is important to developing disease control strategies. In this study, toothpicks were used to detect S. homoeocarpa in the turfgrass c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식물표면에 있는 이슬은 균사 생장에 도움을 주고 기주에 전염되어 침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grios, 2005; Jackson and Howard, 1966).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부가적인 요소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화학적 방제나 관수 및 모잉 작업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병원균이 병반으로부터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전마름병 병원균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 2005). 동전마름병 병원균은 Sclerotinia homoeocarpa로 알려져 있으나 Lanzia, Moellerodiscus나 Rutstroemia로 재 분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Allen et al., 2005).
동전마름병 병원균을 Lanzia, Moellerodiscus나 Rutstroemia로 재 분류해야한다는 주장이 나타나는 까닭은? , 2005). 그 이유로는 Sclerotinia는 균핵(sclerotia)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으나 동전마름병의 원인균인 S. homoeocarpa는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rDNA의 염기서열이 Lanzia, Moellerodiscus와 Rutstroemia와 유사하다는 보고가 있다 (Carbone and Kohn, 1993). 병원균은 영양균사인 자좌 (stomata)를 만들어 토양, 대취층과 잔디 잔여물 등에서 오랫동안 휴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llen et al.
동전마름병의 특징은? 동전마름병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병으로 거의 모든 잔디 재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북미지역에 크리핑벤트그래스(Agrostis stolonifera L.)와 애뉴얼블루그래스(Poa annua L.)로 조성되어있는 골프장에 가장 중요한 병으로 인식되어 있다(Allen et al., 2005). 동전마름병은 잔디 잎에 발생하는 병으로 초기에는 작은 황색반점으로 나타나 병이 진행되면 가장자리에 짙은 황갈색의 띠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이룬다. 병 발생 말기에는 잎 전체가 탈색되어 백색으로 고사하고 지름이 1~10 cm 의 원형 병반을 만든다. 또한 가장 큰 특징으로 이른 아침 감염된 잔디에서 기중균사를 관찰할 수 있다(Allen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grios, G.N. 2005. Plant pathology. 5th ed. Elsevier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2. Allen, T.W., Martinez, A. and Burpee, L.L. 2005. Dollar spot of turfgrass. The Plant Health Instructor. DOI 10.1094/PHI-I-2005-0217-02. 

  3. Azaz, A.D.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 borne fungi in fields irrigated by GAP in Harran plain using two isolation methods. Turk. J. Bot. 27:83-92. 

  4. Carbone, I. and Kohn, L.M. 1993. Ribosomal DNA sequence divergence withi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of the Sclerotiniaceae. Mycologies. 85:415-427. 

  5. Hassanein, N.M. 2012. Biopotential of some Trichoderma spp. against cotton root rot pathogens and profiles of some of their metabolites. Afr. J. Microbiol. Res. 6:4878-4890. 

  6. Jackson, N. and Howard, F.L. 1966. Fungi as agents of turfgrass disease. J. Sports Turf. Res. Inst. 42:9-16. 

  7. Mitkowski, N.A. and Colucci, S. 2006. The identification of a limited number of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s within isolates of Sclerotinia homoeocarpa infecting Poa spp. and Agrostis palustris from temperate climates. J. Phytopathol. 154:500-503. 

  8. Monteith, J. and Dahl, A.S. 1932. Turf diseases and their control. Bull. US Golf Assoc. Green Sect. 12:85-187. 

  9. Paulitz, T.C. and Schroeder, K.L. 2005. A new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Rhizoctonia solani and R. oryzae from soil. Plant Dis. 89:767-772. 

  10. Smith, J.D. 1955. Fungi and turf diseases. J. Sports Turf Res. Inst. 9:35-59. 

  11. Schaad, N.W. 1979. 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Annu. Rev. Plant Pathol. 17:123-147. 

  12. Smiley, R.W., Dernoeden, P.H. and Clarke, B.B. 1992. Compendium of turfgrass diseases. 2nd ed.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Press, St. Paul, Minnesota, USA. 

  13. Wilson, C.M. 2011. Changing the paradigm of dollar spot management and biology. MSc Thesis. Univ., Wisconsin-Madis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