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유로 심하게 오염된 쿠웨이트 토양 정화를 위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토양세척법 적용
Application of the Nonionic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to the Kuwait Soil Seriously Contaminated with the Crude Oil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o.6, 2015년, pp.491 - 500  

허효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민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유로 심각하게 오염된 쿠웨이트 토양에 대하여 대표적인 비이온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토양세척법의 적용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세척조건에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쿠웨이트 지역의 증발된 원유소호(oil pond) 주변에서 채취한 토양의 평균 TPH농도는 223,754 mg/kg으로, 기존의 토양세정/세척 연구에서는 거의 적용되지 않았던 오염이 매우 심한 쿠웨이트 토양과, 유류나 유기오염물에 대하여 토양세척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된 비이온계면활성제 9종(Tween 계열 4종, Tergitol 계열 4종, TritonX-100)을 사용하였다. 먼저 각 계면활성제 용액의 농도에 따른 원유의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고, 높은 원유 용해도를 나타낸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토양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계면활성제 중에서 TritonX-100이 5% 농도에서 67%의 가장 높은 원유 제거율을 나타냈지만, 1회 세척만으로는 정화목표(TPH 농도: 10,000 mg/kg)에 도달하지 않아 연속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2% 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연속세척 실험 결과, 세척 횟수가 증가할수록 원유의 제거율이 증가하였고, 5회 연속세척 후 96%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며 제거목표에 도달하였다. 연속세척 실험 후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탈착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앞서 실시한 연속세척 실험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카 비드와 오염 토양을 TritonX-100 2%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5회 세척한 경우, 각각 7.8%와 19.6%의 계면활성제가 흡착되어 비드와 토양 내에 잔류하였다. 계면활성제가 흡착된 비드와 토양을 증류수를 이용해 동일한 세척방법으로 추가 물세척을 실시한 결과, 비드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는 0.2%로,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는 4.3%로 감소하여 흡착된 대부분의 계면활성제가 추가 물세척에 의해 탈착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TritonX-100, Tergitol S-15-7, Tergitol S-15-9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척법이 유류 오염이 매우 심한 원유오염 토양(TPH 농도 200,000 mg/kg 이상)을 정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tch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process at various washing conditions for the Kuwait soil seriously contaminated with the crude oil. The soil was sampled at a dried oil pond in Kuwait and its average TPH concentration was 223,75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속세척 실험 후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토양 탈착능을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50℃ 오븐에서 1일 건조시킨 본">1979). 실험에서는 이미 상용화가 되어 구입이 용이하고,기존 연구에서 유기오염물 제거능이 뛰어난 Tween 계열의 계면활성제 4종, Tergitol 계열 계면활성제 4종,그리고 TritonX-100 등 총 9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로 제조한 계면활성제 용액에 대하여 원유의 용해도를 측정함으로써, 동일한 농도를 가지는 계면활성제 용액 중 원유의 용해도가 높은 계면활성제 종류를 선정하여 토양세척 실험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상온에서 250 mL 유리병에 100 mL 증류수와 계면활성제를 넣고, 자력교반기를 이용해 1시간 이상 혼합하여 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유기오염물 제거 효율이 높다고 보고된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원유로 심하게 오염된 쿠웨이트 유전 주변 토양(TPH 농도: 223,754 mg/kg)을 토양세척법으로 정화할 수 있음을 다양한 배치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들은 고농도 유류(원유 포함)로 오염된 부지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1인당 석유소비량은 순위는? , 2006). 특히 우리나라는 인구 1인당 석유소비량 세계 5위를 차지할 정도로 석유 의존도가 매우 높고,산유국으로부터 원유를 수입하여 정제과정을 거치는 정유산업이 발전하여 원유를 운반, 저장, 정제하는 과정에서 누출사고나 관리 소홀에 의해 오염토양이 생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BP, 2015). 우리나라의 경우 부산시 문현동 군부대를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유류로 오염된 부지의 정화가 시작되었으나, 아직도 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유류 오염부지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MOE, 2009; MOE, 2012).
동일한 방법으로 정화 작업을 해도 지역에 따라 정화효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지하에 유출된 유류는 지하의 불균질성 때문 만 아니라, 종류별로 다양한 물리·화학적 반응특성을 나타내므로 부지 내 거동과 분포를 예측하기 어려워 같은 정화기술이 적용되더라도 지역에 따라 정화효율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Fetter, 2008). 특히 유류오염과 관련된 우리나라 오염부지는 대부분 군부대 유류저장소, 주유소, 산업단지의 유류 저장 탱크 누출과 관련되어 존재하고, 오염원은 가솔린 성분인 BTEX,디젤, 벙커유 등으로 분류되며, 정화방법에 대한 연구도 주로 이러한 유종을 제거하는데 집중되어왔다(MOE, 2010; KEITI, 2015).
유류 오염부지의 주요 오염원으로 주목되는 것은? 지하에 유출된 유류는 지하의 불균질성 때문 만 아니라, 종류별로 다양한 물리·화학적 반응특성을 나타내므로 부지 내 거동과 분포를 예측하기 어려워 같은 정화기술이 적용되더라도 지역에 따라 정화효율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Fetter, 2008). 특히 유류오염과 관련된 우리나라 오염부지는 대부분 군부대 유류저장소, 주유소, 산업단지의 유류 저장 탱크 누출과 관련되어 존재하고, 오염원은 가솔린 성분인 BTEX,디젤, 벙커유 등으로 분류되며, 정화방법에 대한 연구도 주로 이러한 유종을 제거하는데 집중되어왔다(MOE, 2010; KEITI, 2015). 지난 5년간 국내 유류오염 부지에 적용되었던 토양 정화방법을 분석한 결과토양경작법(Soil land farming)이 전체의 6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cantara, M.T., Gomez, J., Pazos, M. and Sanroman, M.A. (2010)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PAH mixtures from kaoli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 179, p.1156-1160. 

  2. Ali-Hussain, A. and Drury, G.J. (1997) Kuwait post-capping: the return to production. SPE/IADC Middle East Drilling Conf, Bahrain, Nov., 1997, Paper SPE-39259, Society of Petroleum Engineers, Richardson, TX. 

  3. Bou-Yabes, A.A. and Akbar, S.H. (1993) The aftermath of the Kuwait fires. SPE/IADC Drilling Conf, Amsterdam, Feb., 1993, Paper SPE-25699, Society of Petroleum Engineers, Richardson, TX. 

  4. BP (British Petroleum) (2015)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Annual Report, Pureprint Group, UK from bp.com/statisticareview. 

  5. Chang, J.H., Qiang, Z., Huang, C.P. and Ellis A.V. (2009) Phenanthrene removal in unsaturated soils treated by electrokinetics with different surfactants-Triton X-100 and rhamnolipid. Colloids and Surface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v.348, p.157-163. 

  6. Chang, S. (2010) Characterization and feasibility study of soil washing process applied to soil having high uranium and cesium content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7. Clint, J.H. (1992) Surfactant Aggregation, Chapman & Hall, New York, USA. 

  8. CONCAWE (European Oil Company Organization for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1984) Capability of oil industry installation for the disposal of split oil. Annual Report, The Hague, Netherlands. 

  9. Gomes, H.I., Celia, D.F. and Ribeiro, A.B. (2012)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organochlorines in soil-Enhancement techniques and integration with otherremediation technologies. Chemosphere, v.87, p.1077-1090. 

  10. Deshpande, S., Shiau, B.J., Wade, D., Sabatini, D.A. and Harwell, J.H. (1999) Surfactant selection for enhancing ex situ soil washing. Water Research, v.33, p.351-360. 

  11. Fetter, C.W. (2008) Contaminant Hydrogeology, Waveland Press, Inc., Illinois, USA. 

  12. Google (2015) Google Maps (from https://www.google.co.kr/maps). 

  13. Griffiths, R.A. (1995) Soil-washing technology and practic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40, p.175-189. 

  14. Heo, H. (2015) Application of the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to crude oil contaminated soils in Kuwait.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15. Huguenot, D., Moisset, E., van Hullebusch, E.D. and Oturan, M.A. (2015) Combination of surfactant enhanced soil washing and electro-Fento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soils contaminated by petroleum hydrocarbon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153, p.40-47. 

  16. Kantar, C. and Honeyman, B.D. (2006) Citric acid enhanced 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uranium by soil flushing and soil washing.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132, p.247-255. 

  17. Karagunduz, A., Gezer, A. and Karasuloglu, G. (2007) Surfactant enhanced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DDT from soil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385, p.1-11. 

  18. Khalladi, R., Benhabiles, O., Bentahar, F. and Moulai- Mostefa, N. (2009) Surfactant remediation of diesel fuel polluted soil.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164, p.1179-1184. 

  19. KEITI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2015)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inventory for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processes. Annual Report. 

  20. KNOC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2015) Korea Monthly Oil Statistics, Monthly Report, Petronet (from http://www.petronet.co.kr). 

  21. Kolosov, A.Y., Popov, K.I., Shabanova, N.A., Artem'eva, A.A., Kogut, B.M., Frid, A.S., Zel'venskii, V.Y. and Urinovich, E.M. (2001) Electrokinetic removal of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from soil. Russian Journal of Applied Chemistry, v.74, p.631-635. 

  22. KOSSG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2001) Soil Environmental Engineering,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23. Kuyukina, M.S., Ivshina, I.B., Makarov, S.O., Litvinenko, L.V., Cunningham, C.J. and Philp, J.C. (2005) Effect of biosurfactants on crude oil desorption and mobilization in a soil system. Environment International. v.31, p.155-161. 

  24. Lee, M., Kang, H.M. and Do, W.H. (2005) Application of nonionic surfactant-enhanced in situ flushing to a diesel contaminated site. Water Research, v.39, p.139-146. 

  25. Lee, M., Kim, J. and Kim, I. (2011) In-situ biosurfactant flushing, coupled with a highly pressurized air injection, to remediate the bunker oil contaminated site. Geosciences Journal, v.15, p.313-321. 

  26. Lima, A.T., Kleingeld, P.J., Heister, K. and Loch, J.P.G. (2011) Removal of PAHs from contaminated clayey soil by means of electro-osmosi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v.79, p.221-229. 

  27. Mittal, K.L. (1979) Solution Chemistry of Surfactants,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New York, USA. 

  28. 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The master plan for soil conservation in Korea, Final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9. 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Standardization for the promoting of soil remediation industry and the counterplan for the world competition. Final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30. K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Development of bioremediation technology to clean up of oil contaminated soil in Kuwait, Final Report/2010-13004-0004-0,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31. 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ssessment of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for industrial complex in Korea, Annual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32. Mulligan, C.N., Yong, R.N. and Gibbs, B.F. (2001) Surfactant-enhance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 review. Engineering Geology, v.60, p.371-380. 

  33. Omastova, M., Trchova, M., Kovarova, J. and Stejskal, J. (2003) Synthesis and structural study of polypyrroles prepared in the presence of surfactants. Synthetic Metals, v.138, p.447-455. 

  34. Park, S.W., Lee, J.Y., Yang, J.S., Kim, K.J. and Baek, K. (2009)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with waste-lubricant oils and zinc.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169, p.1168-1172. 

  35. Rosen, M.J. and Kunjappu, J.T. (2012)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John Wiley & Sons, USA. 

  36. Saenger, P. (1994) Cleaning up the Arabian Gulf: Aftermath of an Oil Spill, School of Environment, Science and Engineering Papers, Southern Cross University, USA. 

  37. Simmons, M.R. (2002) The World's Giant Oilfields, M. King Hubbert Center for Petroleum Supply Studies, Simmons and Company International, Final Report. 

  38. Urum, K., Grigson, S., Pekdemir, T. and McMenamy, S. (2006) A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of different surfactants for removal of crude oil from contaminated soils. Chemosphere, v.62, p.1403-1410. 

  39. USEPA (1991) Guide for Conducting Treatability Studies Under CERCLA: Soil Washing, Interim Guidance, Office of Emergency and Remidial Response Washington, D.C., EPA/540/2-91/020A. 

  40. West, C.C. and Harwell, J.H. (1992) Surfactants and subsurface remediatio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26, p.2324-2340. 

  41. Wikipedia (2015) The Free Encyclopedia. (from https://en.wikipedia.org/wiki/Burgan_field). 

  42. Yang, J.W., Yang, J.S., Lee, Y.J., Kim, S.H. and Shin, H.J. (2008) Effect of surfactant types on washing of dieselcontaminated soil. Journal of soil & groundwater environment, v.13, p.8-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