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의 PM2.5 중 OC와 EC의 특성 및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Variations of OC and EC for PM2.5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14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4 no.6, 2015년, pp.578 - 592  

박종성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  송인호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  박승명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  신혜정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  홍유덕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OC와 EC의 지역적, 계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은평구 불광동에 위치한 수도권 대기오염집중측정소에서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Semi-Continuous OC/EC Analyzer (Sunset Laboratory INC., USA)를 사용하여 $PM_{2.5}$ 중 OC와 EC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도권 지역의 OC와 EC의 연평균 농도(${\mu}g/m^3$)는 각각 $4.1{\pm}2.7$, $1.6{\pm}1.0$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봄: $4.0{\pm}2.2$, $1.8{\pm}0.8$; 여름: $3.6{\pm}2.7$, $1.4{\pm}0.9$; 가을: $3.6{\pm}2.4$, $1.3{\pm}0.9$; 겨울: $5.2{\pm}3.3$, $2.0{\pm}1.3$으로 나타나 겨울 > 봄 > 여름 > 가을 순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OC/EC 비는 2.4 ~ 3.4 수준으로 여름이 가장 높고 봄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시간별 OC, EC 농도 변화를 살펴보면, 출 퇴근시간인 아침과 저녁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OC/EC 비 역시 출 퇴근시간대의 교통량 증가로 인한 EC농도 증가로 인해 급격히 낮아지는 현상을 보여 수도권 지역의 탄소성 입자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자동차와 같은 교통수단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수도권 지역 탄소성분의 배출특성 및 계절별 특징, 농도 수준을 파악하고, 대기질 개선 정책의 효과적인 수립을 위한 과학적인 기초자료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variations of carbonaceous species for $PM_{2.5}$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we measured organic carbon (OC) and elemental carbon (EC)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4 using a semi-continuous OC/EC Analyzer (Model-4, Sunset Lab.). M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한지현 등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의 1시간 간격 준실시간 분석으로 탄소성 입자의 농도 특성 및 계절 별, 시간별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수도권 지역 탄소성 입자 농도 저감을 위한 대기질 관리의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C가 중요한 대기오염 물질의 지표로 활용되는 이유는? , 2007; Ramanathan and Carmichael, 2008; 임세희 등, 2010). 또한 EC는 OC에 비해 대기 중에서의 체류시간이 길며, 인위적인 일차 배출원이 주발생원이라는 특성 때문에 중요한 대기오염 물질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He et al., 2004).
전 지구적 혹은 지역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탄소성 입자의 역할과 특성을 파악하는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여지에 24시간 동안 시료를 채취하여 하루 단위로 탄소성분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반휘발성 물질들의 질량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시간변화에 대한 측정자료를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Pang et al., 2001; 이시혜 등, 2008; 임세희 등, 2010). 또한 준 실시간 분석장비를 사용한 경우에도 단기간의 분석결과로 인해 장기적인 농도변화 및 시간변화에 대한 대표성 있는 자료 획득에 어려움이 있었다(Bea et al., 2007; Lee et al.
탄소성 유기분진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2009; 한지현 등, 2013). 탄소성 유기분진은 시정거리(visibility) 감소, 기후 강제력(climate forcing) 등의 변화에 크게 기여하고,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es et al., 2000; Jacobson, 2001; Lec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문광주, 박승명, 박종성, 송인호, 장성기, 김종춘, 이석조. 2011. 2010년도 서울시 대기 중 $PM_{2.5}$ 의 성분특성 및 발생원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7(6), 711-722. 

  2. 박진수, 김신도. 2005. 서울과 인천지역 $PM_{10}$ 과 $PM_{2.5}$ 중 2차생성 탄소성분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1), 131-140. 

  3. 이시혜, 김영성, 김상우, 윤순창. 2008. 서울과 고산의 에어로졸 화학성분과 광학특성의 계절변화,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4), 470-482. 

  4. 이영재, 박미경, 정선아, 김선정, 조미라, 송인호, 유영숙, 임용재, 김정훈, 정해진, 이상욱, 최원준, 안준영, 이민희, 강현정, 박승명, 서석준, 정동희, 현주경, 박종성, 황태경, 홍유덕, 홍지형, 신혜정. 2015. 한반도 권역별 대기 중 입자상 탄소 특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31(4), 330-344. 

  5. 임세희, 이미혜, 강경식. 2010. 제주도 고산 $PM_{10},\;PM_{2.5},\;PM_{1.0}$ 중 OC와 EC의 계절적 변화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6(5), 567-580. 

  6. 한지현, 방병조, 이미혜, 윤순창, 김상우, 장임석, 강경식. 2013. 준실시간 연속관측을 통한 제주 고산 $PM_{2.5}$ OC와 EC의 계절별 사례별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9(3), 237-250. 

  7. 환경부. 2014.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 대책 그 성과와 미래. 

  8. Andreae MO, Rosenfeld D. 2008. Aerosol-cloudprecipitation interaction. Part 1. The nature and sources of cloud-active aerosol, Earth-Sci. Rev., 89(1-2), 13-41. 

  9. Bea MS, Hong CS, Kim YJ, Han JS, Moon KJ, Kondo Y, Kamazaki Y, Miyazaki Y. 2007. Inter-comparison of two different thermaloptical elemental carbons and optical black carbon during ABC-EAR-EX2005, Atmos. Environ., 41(13), 2791-2803. 

  10. Chow JC, Watson JG, Lu Z, Lowenthal DH, Frazier CA, Solomon PA, Thuillier RH, Magliano K. 1996. Descriptive analysis of $PM_{2.5}$ and $PM_{10}$ at regionally representative locations during SJVAQS/AUSPEX, Atmos. Environ., 30(12), 2079-2112. 

  11. Chow JC, Watson JG, Crow D, Lowenthal DH, Merrifield T. 2001. Comparison of IMPROVE and NIOSH carbon measurement, Aerosol Sci. Technol., 34(1), 23-34. 

  12. Chow JC, Watson JG, Louie PK, Chen LW, Sin D. 2005. Comparison of $PM_{2.5}$ carbon measurement methods in Hong Kong, China, Environ Pollut, 137(2), 334-344. 

  13. Coa JJ, Lee SC, Ho KF, Zhang XY, Zou SC, Fung K, Chow JC, Watson JG. 2003. Characteristics of carbonaceous aerosol in pearl River Delta Region, China during 2001 winter period, Atmos. Environ., 37(11), 1451-1460. 

  14. Dan M, Zhuang G, Li X, Tao H, Zhuang Y. 2004.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aceous species and their sources in $PM_{2.5}$ in Beijing, Atmos. Environ., 38, 3443-3452. 

  15. Gray HA, Cass GR, Huntzicker JJ, Heyerdahl EK, Rau JA. 1986.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particle concentration in Los Angeles, Environ. Sci, Technol., 20, 580-582. 

  16. Han Y, Cao J, Chow JC, Watson JG, An Z, Jin Z, Fung K, Liu S. 2007. Evaluation of the thermal/optical reflectance method for discrimination between char- and soot-EC, Chemosphere, 69(4), 569-574. 

  17. He Z, Kim YJ, Ogunjobi KO, Kim JE, Ryu SY. 2004. Carbonaceous aerosol characteristics of $PM_{2.5}$ particles in Northeastern Asia in summer 2002, Atmos. Environ., 38(12), 1795-1800. 

  18. Ho KF, Lee SC, jimmy CY, Zou SC, Fung K. 2002. Carbonaceous characteristic of atmospheric matter in Hong Kong,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00, 59-67. 

  19. Hopke P. 2009. Contemporary threats and air pollution, Atmos. Environ., 43, 87-93. 

  20. Jacobson M. 2001. Global direct radiative forcing due to multicomponent anthropogenic and natural aerosols, J. Geophys. Res., 106(D2), 1551-1568. 

  21. Kim YP, Lee JH, Baik NJ, Kim JY, Shim SG, Kang CH. 1998. Summertime characteristics of aerosol composition at Cheju Island, Korea, Atmos. Environ., 32(22), 3905-3915. 

  22. Kim YP, Moon KC, Lee JH, Baik NJ. 1999. Concentrations of carbonaceous species in Particles at Seoul and Cheju in Korea, Atmos. Environ., 33, 2751-2758. 

  23. Leck C, Norman M, Bigg E, Hillamo R. 2002.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s of high Arctic aerosol relevant for cloud formation, J. Geophys. Res., 107(D12), 4135. 

  24. Lee M, Song M, Moon KJ, Han JS, Lee G, Kim KR. 2007. Origin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ne aerosols during the northeastern Asia regional experiment (Atmospheric Brown Cloud-East Asia Regional Experiment 2005), J. Geophys. Res., 112(D22), D22S29. 

  25. Lin JJ, Tai HS. 2001.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s of carbonaceous species in ambient particles in Kaohsiung city, Taiwan, Atmos. Environ., 35, 2627-2636. 

  26. Mader BT, Schauer JJ, Seinfeld JH, Flagan RC, Yu JZ, Yang H, Lim HJ, Turpin BJ, Deminter JT, Heidemann G, Bea MS, Quinn P, Bates T, Eatough DJ, Huebert BJ, Bertram T, Howell S. 2003. Sampling methods used for the collection of particle-phase organic and carbon during ACE-Asia, Atmos. Environ., 37(11), 1435-1449. 

  27. Maria SF, Gilles MK, Myneni SCB. 2004. Organic aerosol growth mechanisms and their climate-forcing implications, Science, 306(5703), 1921, doi:10.1126/science.1103491. 

  28. Monks PS, Granier C, Fuzzi S, Stohl A, Williams ML, Akimoto H, Amann M, Baklanov A, Baltensperger U, Bey I, Blake N, Blake RS, Carslaw K, Cooper OR, Dentener F, Fowler D, Fragkou E, Frost GJ, Generoso S, Ginoux P, Grewe V, Guenther A, Hansson HC, Henne S, Hjorth J, Hofzumahaus A, Huntrieser H, Isaksen ISA, Jenkin ME, Kaiser J, Kanakidou M, Klimont Z, Kulmala M, Laj P, Lawrence MG, Lee JD, Liousse C, Maione M, McFiggans G, Metzger A, Mieville A, Moussiopoulos N, Orlando JJ, O'Dowd CD, Palmer PI, Parrish DD, Petzold A, Platt U, Poschl U, Prevot ASH, Reeves CE, Reimann S, Rudich Y, Sellegri K, Steinbrecher R, Simpson D, ten Brink H, Theloke J, van der Werf GR, Vautard R, Vestreng V, Vlachokostas C, von Glasow R. 2009. Atmospheric composition change-global and regional air quality, Atmos. Environ., 43(33), 5269-5350. 

  29. Pang Y, Ren Y, Fida O, Robert H, Delbert E, William W. 2001. Semi-volatile species in PM2.5: comparison of integrated and continuous samples for $PM_{2.5}$ research or monitoring, J. Air Waste manage. Assoc., 51(1), 25-36. 

  30. Park SS, Kim YJ, Fung K. 2002. PM2.5 carbon measurement in two urban areas: Seoul and Kwangju, Korea, Atmos. Environ., 36, 1287-1297. 

  31. Raes F, Bates T, McGovern F, van Liedekerke M. 2000. The 2nd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ACE-2): general overview and main results, Tellus B., 52, 111-125. 

  32. Ramanathan V, Carmichael G. 2008. Global and regional climate changes due to black carbon, Nature Geoscience, 1, 221-227. 

  33. Rattigan O, Felton H, Bae M, Schwab J, Demerjian K. 2010. Multi-year hourly PM2.5 carbon measurements in New York: Diurnal, day of week and seasonal patterns, Atmos. Environ., 44, 2043-2053. 

  34. Russell LM, Maria SF, Myneni SCB. 2002. Mapping organic coatings on atmospheric particles, Geophys. Res. Lett., 29(16), 1779, doi: 10.1029/2002GL014874. 

  35. Salma I, Chi X, Maenhaut W. 2004. Elemental and organic carbon in urban canyon and background environments in Budapest, Hungary, Atmos. Environ., 38, 27-36. 

  36. Schmidt M, Noack A. 2000. Black carbon in soils and sediments: analysis, distribution, implications, and current challenges, Global Biogeochem. Cycles, 14(3), 777-793. 

  37. Solomon P, Baumann K, Edgerton E, Tanner R, Eatiugh D, Modey W, Marin H, Savoie D, Natarajan S, Meyer MB, Norris G. 2003. Comparison of integrated samplers for mass and composition during the 1999 Atlanta Supersites project, J. Geophys. Res., 108(D7), 8423, doi:10.1029/2001JD001218. 

  38. Streets DG, Gupta S, Waldhoff ST, Wang MQ, Bond TC, Yiyun B. 2001. Black carbon emissions in China, Atmos. Environ., 35(25), 4281-4296. 

  39. Streets DG, Bond TC, Carmichael GR, Fernandes SD, Fu Q, He D, Kilmont Z, Nelson SM, Tsai NY, Wang MQ, Woo JH, Yarber KF. 2003. An inventory of gaseous and primary aerosol emissions in Asia in the year 2000, Geophys. Res., 108(D21), 8809, doi:10.1029/2002JD003093. 

  40. Szidat S, Ruff M, Perron N, Wacker L, Synal HA, Hallqusit M, Shannigrahi AS, Yttri KE, Dye C, Simpson D. 2009. Fossil and non-fossil sources of organic carbon (OC) and elemental carbon (EC) in Goteborg, Sweden, Atmos. Chem. Phys., 9, 1521-1535. 

  41. Viana M, Maenhaut W, ten Brink HH, Chi X, Weijers E, Querol X, Alastuey A, Mikuska P, Vecera Z.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concentrations in carbonaceous aerosols in three European cities, Atmos. Environ., 41(28), 5972-5983. 

  42. Watson JG, Chow JC, Lowenthal DH, Pritchett LC, Frazier CA. 1994. Differences in the carbon composition of source profiles for Diesel- and Gasoline-powered vehicles, Atmos. Environ., 28(15), 2493-2505. 

  43. Yang F, He K, Ye B, Chen X, Cha L, Cadle SH, Chan T, Mulawa PA. 2005. One-Year record of organic and elemental carbon in fine particles in downtown Beijing and Shanghai, Atmos. Chem. Phys., 5, 1449-1457. 

  44. Yu XY, Cary RA, Laulainen NS. 2009. Primary and secondary organic carbon downwind of Mexico City, Atmos. Chem. Phys., 9(18), 6793-68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