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작업자를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바탕의 안전 교육전달 매체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Training Delivery Method Using 3D Simulation Technology for Construction Worker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5 no.6, 2015년, pp.621 - 629  

안성진 (Engineering School of Sustainable Infrastructure & Environmental,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  박영준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Military Academy) ,  박태환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김태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산업에 있어 작업자 안전은 지속적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안전교육의 수준제고를 안전교육 내용매체 개선을 통한 효율성 증진과 전달 매체 수준 향상에 의한 효과성 증진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별된 공종별 안전재해유형 내용을 바탕으로 건설현장의 3차원 시뮬레이션의 안전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안전교육 내용매체는 안전보건기술 지침과 미 산업안전보건청의 건설 산업 안전규정을 토대로 재해유형을 선별하였으며 교육 전달 매체로 3차원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하였다. 제시된 교육 자료의 적절성을 평가하기위해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교육내용의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3차원 시뮬레이션 바탕의 안전교육 방법을 현실성, 적합성, 능동성 및 흥미유발성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기존 재래식 안전교육보다 효과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worker safety and safety training continue to be main issu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promote safety awareness among worker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safety training. This study compared two methods in construction worker safety tra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당 작업자의 업무에 따라 이동 경로 및 작업 위치를 변경해 감으로서 작업자에게 실제 작업의 공간감, 환경 요소 및 특수성을 시각적으로 제공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 진행 중인 1300세대 다세대 공동주택의 2D 도면을 바탕으로 Auto Desk 社의 Revit Architecture 2013를 이용하여 2개 동을 다자인 하였으며 동일 사의 Navisworks 201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빌딩에서 재래식 교육에서 사용된 동일한 재해유형 및 교육내용을 탐사기능을 통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거쳤다. 애니메이션의 제작과정은 안전교육 진행의 용이성과 재래식 교육과 비교를 위해 제한 된 교육시간 위한 과정이며 이전 단계에서 탐사 지점을 이동해가며 교육에 필요한 요소들을 포함 시킬 수 있어 적용의 유연성을 가진다.
  • 최근 교육환경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의 공학교육 및 건설교육은 전통적인 교육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를 당한 근로자 대부분이 작업미숙과 안전의식이 부족한 데서 비롯되며 교육을 통해 학습내용을 실제 작업에 적용하여 건설재해를 줄이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라는 부분에 초점을 두고 보다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위하여 3D시뮬레이션 바탕의 안전교육 매체를 개발하였다. 먼저, 건설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해사고 유형도출을 위하여 KOSHA와 OSHA 기준에 의하여 세부 작업유형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작업자 안전교육 콘텐츠 및 3D 시뮬레이션 기반의 교육 전달매체를 개발하고 전문가들의 설문 조사 분석을 통해 효과적 안전교육 자료로서의 적절성을 가지는가를 평가함에 있다. 이를 위해 안전교육을 위한 콘텐츠로서 다세대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일어나는 공종별 재해유형을 산업안전 보건지침을 통해 선별한다.
  • 또한 안전교육의 전달은 작업 현장 및 현장 교육장에서 이루어지기 적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실제 건설 현장 안전교육장의 환경을 고려하여 교육자 및 환경여건을 바탕으로 적합성을 판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접적 경험의 핵심은 무엇인가? 안전사고의 특성은 인간의 직접적 피해와 연관이 되기에 실제 체험을 통하여 학습 할 수 없으며 간접적 경험을 통하여 가능하다. 이 간접적 경험의 핵심은 실제 환경요소 조합이 얼마만큼 현실감 있게 구성되었는가에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정밀하고 현실성 있는 실제 환경 표현과 구체적 경험의 제공이 가능하다.
안전교육의 내용과 현장안전교육간의 관계는?  안전 작업 교육 내용은 작업자가 이해해야할 필수적 교육내용의 포두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 이수자에게 적합한 수준의 내용으로 구성되고 있어야한다. 또한 안전교육의 전달은 작업 현장 및 현장 교육장에서 이루어지기 적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실제 건설 현장 안전교육장의 환경을 고려하여 교육자 및 환경여건을 바탕으로 적합성을 판단한다.
안전사고의 특성은? 안전사고의 특성은 인간의 직접적 피해와 연관이 되기에 실제 체험을 통하여 학습 할 수 없으며 간접적 경험을 통하여 가능하다. 이 간접적 경험의 핵심은 실제 환경요소 조합이 얼마만큼 현실감 있게 구성되었는가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ung YM. A Study on the Safety Education for Accident Prevention for the Construction Site [master's thesis]. [Seoul (Korea)]: Inha university; 2005. 87 p. 

  2. Kim MJ. Improvement plan of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for accident prevention in construction site [master's thesis]. [Seoul (Korea)]: Dongguk University; 2003. 82 p. 

  3. Kim EJ, Kim KR, Shin DW. A Model for Safety Education Fit for Individual Personality of Construction Worker.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8 Oct;9(5):116-26. 

  4. Tam CM, Zeng SX, Deng ZM. Identifying elements of poo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 China. Safety Science. 2004 Aug;42(7):569-86. 

  5. Aksorn T, Hadikusumo B. Critical success factors influencing safety program performance in Thai construction projects. Safety Science. 2008 Apr;46(4): 709-27. 

  6. Choudhry RM, Fang D. Why operatives engage in unsafe work behavior: Investigating factors on construction sites. Safety Science. 2008 Apr;46(4):566-84. 

  7. Toole T. Construction Site Safety Rol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2 May; 128(3):203-10. 

  8. Dale E. Audio-visual methods in teaching. 3rd ed.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69. 108 p. 

  9. Burke MJ, Sarpy SA, Smith-Crowe K, Chan-Serafin S, Salvador RO, Islam 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worker safety and health training method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6 Feb;96(2):315-24. 

  10. Kang J, Anderson S, Clayton M. Empirical Study on the Merit of Web-Based 4D Visualization in Collaborative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7 Jun;133(6):447-61. 

  11. Li H, Chan G, Skitmore M. Visualizing safety assessment by integrating the use of game technology,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2 Mar;22:498-505. 

  12. Clevenger C, Ozbek M, Glick S, Porter D. Integrating BIM into construction management education. EcoBuild Conference Proceedings, EcoBuild 2010 BIM Academic Forum; 2010; Washington, DC. 

  13. Sacks R, Perlman A, Barak R.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us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Construction Management Economics. 2013 Sep;31(9):1005-17. 

  14. Dickinson JK, Woodard P, Canas R, Ahamed S, Lockston D. Game-based trench safety education: development and lessons learned.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2011 Jan;16(Special Issue) :118-32. 

  15. Li H, Chan G, Skitmore M. Multiuser Virtual Safety Training System for Tower Crane Dismantlement.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012 Sep;26(5):638-47. 

  16. Lin KY, Son JW, Rojas EM. A pilot study of a 3D game environment for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2011 Jan;16(Special Issue):69-83. 

  17. Sherif A, Mekkawi H. Developing a computer aided learning tool for teaching construction engineering decision making. The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and decision making in civil and building engineering; 2006 Jun 14-16; p.3986-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