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중 유통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농도 조사
Survey Study on Radioactivity of Domestic Fishery Produc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6, 2015년, pp.789 - 792  

김창종 (한국원자력연구원) ,  임충섭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이완로 (한국원자력연구원) ,  장미 (한국원자력연구원) ,  지영용 (한국원자력연구원) ,  정근호 (한국원자력연구원) ,  강문자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농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상시 수산물의 방사능 농도에 대한 기초자료 생산을 목표로 수행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사고 상황에 맞는 신속한 분석 방법과 최소검출가능농도 설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민건강통계의 섭취빈도를 참고로 하여 수산물 시료의 종류를 결정하였고, 전처리 과정을 간소화하여 $^{40}K$, $^{137}Cs$, $^{134}Cs$, $^{131}I$의 방사능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0}K$는 21.9-3050 Bq/kg의 방사능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인공방사성 핵종인 $^{137}Cs$, $^{134}Cs$, $^{131}I$의 방사능 농도는 최소검출가능농도 이하였다. 따라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한 국내 유통 수산물에 대해서는 후쿠시마사고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선량적인 측면에서 역시 분석한 핵종에 의한 추가적인 방사선 피폭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최소검출가능농도의 경우 $^{137}Cs$ 0.140-1.97, $^{134}Cs$ 0.0900-1.89, $^{131}I$ 0.124-1.94 Bq/k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시료량 및 $^{40}K$의 농도에 최소검출가능농도 변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시간, $^{40}K$의 농도, 검출기 종류 등의 인자에 따른 최소검출가능농도 설정에 관한 논의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ples of fishery products were tested for radioactivity by using the intake frequency data from Korea Health Statistics. The radioactivity of $^{40}K$, $^{137}Cs$, $^{134}Cs$, and $^{131}I$ was analyzed using gamma spectrometry with a simplified sampl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농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상시 수산물의 방사능 농도에 대한 기초자료 생산을 목표로 수행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사고 상황에 맞는 신속한 분석 방법과 최소검출가능농도 설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민건강통계의 섭취빈도를 참고로 하여 수산물 시료의 종류를 결정하였고, 전처리 과정을 간소화하여 40K, 137Cs, 134Cs, 131I의 방사능 농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에 대해 신뢰성 있는 방사능 농도를 제시하고자 2013년부터 3년간 전국의 대형수산시장의 수산물을 무작위로 채취하여 조사하였으며, 사고 상황에 맞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시중유통 수산물의 후쿠시마 사고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특정 시료에 대해서 같은 검출기로 분석을 할 경우, 최소검출가능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백그라운드의 불확도와 측정시간이다. 백그라운드 역시 같다고 가정한다면 측정시간이 길어질수록 최소검출가능농도가 작아지게 된다(Fig. 1).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능 농도 분석에서 최소검출가능농도는 무엇을 바탕으로 결정되는가? 방사능 농도 분석에서 최소검출가능농도는 검출한계치(lower limits of detection, LLD)를 바탕으로 해서 결정된다. 검출한 계치는 Currie에 의해 제안되었으며(6), 계측의 통계적인 부분만을 고려해서 방사능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검출한 계치란? 방사능 농도 분석에서 최소검출가능농도는 검출한계치(lower limits of detection, LLD)를 바탕으로 해서 결정된다. 검출한 계치는 Currie에 의해 제안되었으며(6), 계측의 통계적인 부분만을 고려해서 방사능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현재 방사능 분석 분야에서는 검출한계치 중 검출한계(LD: detection limit)에 효율, 시료량, 측정시간 등 방사능 농도에 영향을 주는 모든 인자가 들어가 있는 최소검출가능농도라는 값을 사용하여 방사능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식 2에 의해 계산되었다.
우리나라가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농도 기준을 좀 더 보수적으로 설정한 계기가 된 사건은?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발생 이후 국내에서는 각종 식품의 방사성 물질 오염에 대한 불안감이 야기되었다. 특히, 후쿠시마 사고는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해양으로 누출 됐다는 점에서 주변국들이 수산물에 대한 관리를 강화토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후쿠시마 등 8개현의 일본 수산물을 수입금지 하고 있으며, 일본산 수산물을 포함한 일본산 식품중 방사성 세슘에 대해 좀 더 보수적인 방사능 농도 기준을 설정해서 관리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ndard of radioactivity safety management.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1253. Accessed Sep. 18, 2015 

  2. Lim CM.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jong, Korea (2012) 

  3. Samat SB, Green S, Beddoe AH. The $^{40}K$ activity of one gram of potassium. Phys. Med. Biol. 42: 407-413 (1997) 

  4. IAEA. Measurement of radionuclides in food and the environment.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Vienna, Austria (1989) 

  5. IAEA. Quantifying uncertainty in nuclear analytical measurements.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Vienna, Austria (1989) 

  6. Currie LA. Limits for qualitative detec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al. Chem. 40: 586-593 (1968) 

  7. Kwon KS, Hong JH, Han SB, Lee EJ, Kang KJ, Chung HW, Park SG, Jang GH, An JS, Kim DS, Kim MC, Kim CM, Chung KH, Lee CW. Monitoring on radioactivity in foodstuff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83-187 (2004) 

  8. Byun JI. Radioactivity concentration of $^{40}K$ for some of marine fish. p. 60. In: 2010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June 18-19, KAERI, Daejeo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Seoul, Korea (2010) 

  9. Jeong GY. Food composition table. 8th ed.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Jeonju, Korea (2011) 

  10. KINS. Marine Environmental Radioactivity Survey.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Daejeon, Korea (2014) 

  11. KINS. Radiation Environment of Korea.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Daejeon, Korea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