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요로감염의 원인 Escherichia coli 균의 계통 분류와 독성인자 분석
Phylogenetic Groups and Virulence Factors of Escherichia coli Causing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2 no.3, 2015년, pp.194 - 200  

김지목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조은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재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요로감염은 소아에서 흔한 세균 감염이며, Escherichia coli가 주요 원인균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소아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E. coli의 계통 분류와 독성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33명의 소아 환자로부터 검출된 E. coli균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E. coli의 계통 분류 및 5가지 독성인자(fimH, sfa, papA, hylA, and cnf1)를 조사하였다. E. coli의 분자유전학적 특징을 환자의 임상적 진단과 동반된 방광요관 역류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요로병원성 E. coli 는 계통 분류에서 B2군(84.8%)에 속했으며, 나머지는 모두 D군(15.2%)에 해당되었다. 독성인자는 fimH (100%), sfa (100%), hylA (63.6%), cnfI (63.6%), 그리고 papA (36.4%)의 분포를 보였다. 임상 진단에 따른 계통 분류에서 급성 신우신염의 경우 B2군이 92.3%, D군이 7.7%를 나타냈으며, 방광염에서는 B2군에서 57.1%, D2군은 42.9%였다. 독성인자는 양 군에서 비슷하게 분포하였다. 급성 신우신염에서 방광요관 역류의 유무에 따른 계통 분류의 분포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독성인자의 경우 papA 유전자가 방광요관 역류가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보다 방광요관 역류 군에서 적게 나타났다(43.8% vs. 20.0%, P=0.399).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소아 요로감염의 원인 E. coli 균주의 분자유전학적 역학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소아 요로감염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s a common bacterial infection in children and Escherichia coli is a predominant patho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hylogenetic groups and virulence factors of E. coli causing UTI in children in Korea. Methods: From October 2010 to April 20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E. coli 의 계통 분류 및 독성인자를 조사함으로써 급성 신우신 염과 방광염에 따른 세균의 특성 차이, 그리고 급성 신우신염 환자에서 방광요관 역류의 동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분자 유전학적 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E.
  • 본 연구는 소아에서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E. coli의 계통 분류 및 독성인자의 종류를 조사하고, 소아의 요로감염에서 임상적 진단 및 방광요관 역류의 동반 여부에 따른 세균성 요인의 분포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에게 요로감염은 어떤 질환이며, 유병률이 가장 높은 층은 어디인가? 요로감염은 신생아기를 포함한 소아의 전 연령층에서 흔한 세균 질환이며, 특히 영아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1). 소아가 급성 신우신염에 이환 될 경우 신 반흔의 위험이 높아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비가역적 신 손상을 일으켜 고혈압과 신기능 저하를 유발할수 있으며, 심한 경우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어 신 이식까지도 필요할 수 있다2).
병원 내 요로감염의 주 원인 균은 무엇인가 요로 병원성(Uropathogenic) E. coli는 지역사회 획득및 병원 내 요로감염의 주요한 원인이며(75-90%), 전 세계적으로 유병율과 사망률이 높고, 의료 비용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8). 이러한 요로 병원성 E.
요로 병원성 E. coli의 독성 결정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coli는 크게네 종류(A, B1, B2, and D)의 계통적 분류(phylogenetic group)로 나뉘며, 대부분의 통상적인 균주는 A군에 속하는데, 독성이 강한 주요 장외 균주는 대부분 B2군에 속하고, D군은 B2군에 비해 독성이 덜하다16). 독성 결정인자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surface virulence factor인 fimbriae (Type 1, P, F1c, S), adhesins, flagella, capsule polysaccharide, lipopolysaccharide 등과 secreted virulence factors로 분류되는 α-haemolysin (hlyA), cytotoxic necrotizing factor 1 (cnf1), secreted auto transporter toxin (sat) 등이 있다17). 이러한 세균성 독성인자는 질병의 발현과 중증도의 차이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숙주의 위험 요인에 따라 다른 분포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haikh N, Morone NE, Bost JE, Farrell MH. Preval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hood: a meta-analysis. Pediatr Infect Dis J 2008;27:302-8. 

  2. Roberts KB, Akintemi OB.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presenta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of age. Pediatr Ann 1999;28:644-9. 

  3. Faust WC, Diaz M, Pohl HG. Incidence of post-pyelonephritic renal scarring: a meta-analysis of the dimercapto-succinic acid literature. J Urol 2009;181:290-8. 

  4. Park YS. Renal scar formation after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12;55:367-70. 

  5. Lee YJ, Lee JH, Park YS. Risk factors for renal scar formation in infants with first episode of acute pyelonephritis: a prospective clinical study. J Urol 2012;187:1032-6. 

  6. Pecile P, Miorin E, Romanello C, Vidal E, Contardo M, Valent F, et al. Age-related renal parenchymal lesions in children with first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s. Pediatrics 2009;124:23-9. 

  7. Jung HJ, Aum JA, Jung SJ, Huh JW. Different characteristic between Escherichea coli and non-Escherichea coli urinary tract infection. Korean J Pediatr 2007;50:457-61. 

  8. Foxman B. Epidemiology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cidence, morbidity, and economic costs. Am J Med 2002;113: 5-13. 

  9. Bien J, Sokolova O, Bozko P. Role of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virulence factors in develop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 and kidney damage. Int J Nephrol 2012;2012:681473. 

  10. Bonacorsi S, Houdouin V, Mariani-Kurkdjian P, Mahjoub-Messai F, Bingen E. Comparative prevalence of virulence factors in Escherichia coli causing urinary tract infection in male infants with and without bacteremia. J Clin Microbiol 2006;44:1156-8. 

  11. Lee DG, Cho JJ, Park HK, Kim DK, Kim JI, Chang SG, et al. Preventive effects of hyaluronic acid on Escherichia coli -induc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rat. Urology 2010;75:949-54. 

  12. Chiou YY, Chen MJ, Chiu NT, Lin CY, Tseng CC. Bacterial virulence factors are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acute pyelonephritis but not renal scarring. J Urol 2010;184:2098-102. 

  13. Billips BK, Forrestal SG, Rycyk MT, Johnson JR, Klumpp DJ, Schaeffer AJ. Modulation of host innate immune response in the bladder by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 Infect Immun 2007;75:5353-60. 

  14. Schilling JD, Mulvey MA, Hultgren SJ.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host and pathogen during acute urinary tract infections. Urology 2001;57:56-61. 

  15. Song J, Abraham S.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in the urinary tract. Eur J Clin Invest 2008;38:21-8. 

  16. Clermont O, Bonacorsi S, Bingen E. Rapid and simple determination of the Escherichia coli phylogenetic group. Appl Environ Microbiol 2000;66:4555-8. 

  17. Tarchouna M, Ferjani A, Ben-Selma W, Boukadida J. Distribution of uropathogenic virule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atie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Int J Infect Dis 2013;17:e450-3. 

  18. Newman TB, Bernzweig JA, Takayama JI, Finch SA, Wasserman RC, Pantell RH. Urine testing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febrile infants seen in office settings: the Pediatric Research in Office Settings' Febrile Infant Study. Arch Pediatr Adolesc Med 2002;156:44-54. 

  19. Mak RH, Kuo HJ. Pathogenesis of urinary tract infection: an update. Curr Opin Pediatr 2006;18:148-52. 

  20. Johnson JR, Owens K, Gajewski A, Kuskowski MA. Bacteri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clinical source of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women with acute cystitis or pyelonephritis and uninfected women. J Clin Microbiol 2005;43:6064-72. 

  21. Tiba MR, Yano T, Leite Dda S.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virulence factors in Escherichia coli strains from patients with cystitis. Rev Inst Med Trop Sao Paulo 2008;50:255-60. 

  22. Houdouin V, Bonacorsi S, Mahjoub-Messai F, Mariani- Kurkdjian P, Bidet P, Sebag G, et al. Phylogenetic groups and virulence factors of Escherichia coli strains causing pyelonephriti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urinary tract abnormalities. Clin Microbiol Infect 2007;13:740-2. 

  23. Brauner A, Jacobson SH, Kuhn I. Urinary Escherichia coli causing recurrent infections--a prospective follow-up of biochemical phenotypes. Clin Nephrol 1992;38:318-23. 

  24. Foxman B, Gillespie B, Koopman J, Zhang L, Palin K, Tallman P, et al. Risk factors for second urinary tract infection among college women. Am J Epidemiol 2000;151:1194-205. 

  25. Ikahelmo R, Siitonen A, Heiskanen T, Karkkainen U, Kuosmanen P, Lipponen P, et al. Recurr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a primary care setting: analysis of a 1-year follow-up of 179 women. Clin Infect Dis 1996;22:9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