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조문화재 흰개미 서식환경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Termite Inhabitation Environment on Wooden Cultural Heritag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1 no.4, 2015년, pp.387 - 393  

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조창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수지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영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홍진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정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정소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따라 다양한 생물종에 의한 목조문화재의 피해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생물에 의한 부후와 곤충 종에 의한 생물피해는 목조문화재의 외형적인 변화와 구조적인 문제점의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목조문화재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풍화되고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물리적, 환경적 요인 뿐 만 아니라 흰개미라는 목재 가해 곤충에 의해서도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전라남도, 전라북도, 그리고 제주도에 있는 목조문화재를 중심으로 흰개미의 서식 실태와 건물의 내 외부 환경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거주하면서 난방시설이 설비되어 있는 건축물과 비거주하면서 난방시설이 구비되어있지 않는 목조건축물들의 온도, 습도, 함수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사람이 활동하는 건축물일수록 온도는 높지만, 습도와 함수율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흰개미와 같은 목부재를 가해하는 곤충들의 서식 조건에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조문화재 흰개미 피해 조사는 대상 문화재와 주변 서식환경 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화학적 방제방법을 제시하는 것과 함께, 건축물의 난방 설비, 거주 유무, 주기적 관리 방법 등 친환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제방안도 함께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ages of wooden cultural heritages caused by various bio-species have been a trend that is increasing on climate change. The decay and bio-damage caused by microbial organisms or insect species are also known to factors of the shape changes and structural problems of wooden cultural heritage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라남도, 전라북도, 그리고 제주도에 있는 목조문화재를 중심으로 흰개미의 서식 실태와 건물의 내·외부 환경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목조건축물의 활용과 방제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육안관찰과 함께 피해가 의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흰개미 서식유무와 이동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흰개미 탐지장비(Termatrac-T3i)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피해가 있는 건물부위만이 아니라 주변으로의 확산 가능성도 함께 조사하였다. 흰개미 탐지장비는 흰개미 피해 범위를 인지한 후 조사를 할 수 있는 기기이기에 외부에서의 피해흔적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사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 또한 사찰에서는 비거주하면서 흰개미 피해가 다수 발견된 건축물로는 대웅전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거주와 비거주 목조건축물에서도 흰개미 피해 정도의 차이는 발생하지만 두 건축물을 종합적으로 비교해 본 사례는 아직까지 없기에, 조사 결과를 근거로 두 건축물의 환경인자 변화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했다. 우선 중요민속문화재의 안채는 보일러를 주로 사용하는 난방시설이 설비되어 있었으며, 조사 대상 중 30% 정도만이 온돌을 사용하고 있었다.
  • 목조건축물 주변의 온도와 습도, 기둥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함수율 등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건물의 난방 및 거주 여부에 대해서도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사 대상 건물들의 평균 온습도와 함수율을 난방과 거주 여부에 대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흰개미 피해의 서식환경과 목조건축물의 활용과의 상관관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조문화재에 대한 흰개미의 침입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목조문화재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풍화되고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물리적,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흰개미라는 목재 가해 곤충에 의해서도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Kim, 2007). 지중에 서식하는 흰개미가 목재를 먹이로 이용하고자 목조문화재의 기둥이나 하방 내부로 침입하여 섭식 또는 서식을 하게 되는데, 흰개미가 내부로 침입한 초기단계에서는 목재의 손상 여부를 외부에서는 확인 할 수 없다(Jo, 2012). 목조문화재 내부가 흰개미에 의해 어느 정도 손상이 되는 중기단계에서는 일부 목재에 구멍이 나거나 기둥을 두들겼을 경우 내부가 비어 있는 소리로 흰개미의 침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 또는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서 흰개미 피해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목조문화재의 기둥, 벽채의 균열, 변형된 지붕의 외형 등을 통하여 흰개미의 피해여부를 최종단계에서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흰개미와 같은 생물열화원이 유해곤충으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인가? 흰개미와 같은 생물열화원은 목조문화재의 외관을 오염시키거나 손상을 야기하며, 심각하게는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는 유해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흰개미는 목조문화재의 옥외 기둥이나 대들보 등의 표층을 얇게 남겨두고 내부를 침해하기 때문에 결국은 속이 빈 기둥이 되어 건축물의 파손을 일으킨다.
흰개미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조사와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이유는? 목조문화재 내부가 흰개미에 의해 어느 정도 손상이 되는 중기단계에서는 일부 목재에 구멍이 나거나 기둥을 두들겼을 경우 내부가 비어 있는 소리로 흰개미의 침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 또는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서 흰개미 피해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목조문화재의 기둥, 벽채의 균열, 변형된 지붕의 외형 등을 통하여 흰개미의 피해여부를 최종단계에서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최종 단계에서는 건물의 부분 보수가 반드시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건물 전체를 다시 지어야 하는 상황도 생길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Kim, Y. K., 2007,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estive Enzyme Properties of Termite in Seoul, Korea. MS Thesis of Kookmin University, 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Jeong, S. Y., 2010, Study on the Investigating Termite Damages of Wooden Structure using Detector Dog. Conservation Studies, 122-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eong, S. Y., 2013,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Termite Control of Wooden Structures(II). Conservation Studies, 84-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o, C. W., Kim, Y. H., Hong, J. Y., Kim, S. J., Lee, J. M., Choi, J. E., 2012, Influence of Wood Decaying Fungi for Termite Ecology. Conservation Studies, 99-1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K. S., Jeong, S. Y., Chung, Y. J., 2001, Termite Monitoring and Control Managements for Wooden Building. Conservation Studies, 4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Park, H. C., 2006, The Role of Termites in an Ecosyste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2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