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안 일부해역 해수의 세균학적 위생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Microbiological Safety for the Seawater in a Part of the South Coast,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4, 2015년, pp.350 - 358  

박영민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윤현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함인태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유헌재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최종덕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패류가 다량으로 양식되고 있는 남해안 일부해역 해수의 세균학적 위생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해역 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해수 14곳을 선정하여 2014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6차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수는 수온이 평균 $21.2^{\circ}C$, 염분농도는 32.43‰, pH는 7.92, 용존산소는 7.83 mg/L으로 조사되어 우리나라 수질환경기준으로 볼 때 1등급으로 조사되었다. 전도도는 44,600 us/cm, 탁도는 1.93 NTU로 조사되었다. 남해안 일부 조사해역 해수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대장균군은 평균 < 1.8~790 MPN/100 mL, 90번째 값이 168.1 MPN/100 mL, 기하학적 평균이 12.8 MPN/100 mL으로 나타났고, 분변계대장균은 < 1.8~790 MPN/100 mL, 90번째 값이 50.5 MPN/100 mL, 기하학적 평균값이 6.5 MPN/100 mL로 조사되어 정착성 수산물 생산해역 위생관리기준 중 청정해역의 기하학적 평균 기준치인 14 MPN/100 mL를 넘지 않아 청정해역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월과 7월에 43 MPN/100 mL를 초과하는 시료가 35.7%와 28.6%로 KSSP 기준치인 10%를 초과하여 계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은 폐쇄성 내 만으로 적은 오염원에도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계절에 따라서 철저한 해역의 관리가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anitary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in a part of the south coast, Korea and to check the seawater which is in compliance with the recommended bacteriological criteria for shellfish cultivation. The samples of sea water were collected at 14 sampling sta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폐쇄성 내만 해역 해수의 세균학적 안전성 평가를 통하여 패류위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굴 양식이 성행하고 있는 조사해역 내에 14개 조사점을 선정하여 2014년 3월부터 11월까지 해양수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 등의 세균학적 위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여 보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사해역이 수질 환경기준으로 볼 때 1등급인 수치적 근거는 무엇인가? 해수는 수온이 평균 21.2oC, 염분농도는 32.43 ‰, pH는 7.92, 용존산소는 7.83 mg/L으로 조사되어 우리나라 수질 환경기준으로 볼 때 1등급으로 조사되었다. 전도도는 44,600 us/cm, 탁도는 1.
비사도, 읍도를 비롯한 몇 개의 섬이 분포하고 있는 조사해역의 양식 현황은 어떠한가? 조사해역의 안쪽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비사도, 읍도를 비롯한 몇 개의 섬이 분포하고 있으며, 해역의 해류는 사량도 앞 수로를 통하여 들어오는 남해안 연안수의 영향을 받는 해역이다. 이 해역에서는 주로 굴 양식업이 성행하고 있고 바지락 및 기타 어종의 양식어장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배수유역 주변은 여객선터미널과 오토캠핑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 산재하고 있고, 해안선을 따라 많은 음식점이 분포하여 이 유역 내에서 생산되는 어패류의 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패류 서식 해수의 위생적인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오염된 해역에서 생산된 패류가 장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패류는 섭이활동을 통하여 그들 주위의 해수 중에 부유하고 있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공해물질을 섭취하고 이들 물질을 쉽게 축적한다는 점이나 패각을 제외하고 내장을 포함한 전 생체를 식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식 해수의 위생적인 관리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ukhari, Z., Smith, H.V., Sykes, N., Humphreys, S.W., Parton, C.A., Girdwood, R.W., Fricker, C.R.: Occurence of Crytosporidium spp. cysts and Giardia spp. cysts and influence and effluents from treated plants in England. Water Sci. Technol, 35, 385-390 (1977). 

  2. Geldreich, E.E.: Pathogenic agents in freshwater resources. Hydrol. Ptod, 10, 315-333 (1996). 

  3. Jensen, E.T.: Shellfish and public health. J. Milk and Food Tech, 19, 281-283 (1966). 

  4. Sherwood, H.P.: Some observation of the viability of sewage bacteria in relation to self-purification of mussels. Proceeding of Soc. for Appl. Bact, 15, 21-28 (1952). 

  5. Codex.: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HACCP) system and guidelines for its application. CAC/RCP 1-1969, Rev.4-2003-Annex (2003). 

  6.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Fish and Fisheries Products and Hazards Controls Guidance, 4th 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240, 402-2300 (2011). 

  7.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NSSP)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2013 Revision (2013). 

  8. http://www.fda.gov/Food/GuidanceRegulation/FederalState FoodPrograms/ucm2006754.htm. 

  9. Choi W.K., Chang D.S., Lee J.G., Kwon J.G.: Sanitary survey of oyster growing area in Geoje Bay. Bull. Pusan Fish. Coll, 14, 28-42 (1974). 

  10. Cho C.H. and Kim Y.S.: Micro environment in oyster farm area, 1. On the eutrophication and raft density in Geoje Bay. J. Kor. Fish. Soc, 10, 259-265 (1977). 

  11. Cho C.H. and Kim Y.S.: Environment in oyster farm area Chungmu. J. Kor. Fish. Soc, 11, 243-247 (1978). 

  12. Environmental Report on the Fish Farms in the Southeast Sea, Korea(December 2014).: Southeast Sea Fisheries Rese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5). 

  13. Lee P.Y.: Occurre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oxygen-deficient watermass in Wonman Bay. J. Kor. Fish.. Soc, 26, 392- 400 (1993). 

  14. Choi W.J., Na G.H., Chun Y.Y., Park C.K.: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eutrophic Buk Bay by DO mass balance. J. Kor. Fish. Soc, 24, 21-30 (1991). 

  15. Choi W.J., Chun Y.Y., Park J.H., Park Y.C.: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on the fatnes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Hansan-Koje Bay. J. Kor. Fish. Soc, 30, 794-803 (1997). 

  16. Chang D.S., Shin I.S., Choi S.T., Kim Y.M.: Distribution and bacteriologicalc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J. Kor. Fish.. Soc, 19, 118-126 (1986). 

  17. Chang D.S., Kim C.H., Yu H.S., Kim S.H., Jeong E.T., Shin I.S.: Relationship between pathogenic vibrios and zooplankton biomass in coastal area, Korea. J. Kor. Fish. Soc, 29, 557- 566 (1996). 

  18. Choi J.D.: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and coliform groups in Puksin Bay, Korea. J. Kor. Fish. Soc, 28, 202-208 (1995). 

  19. Choi J.D., Jeong W.G., Kim P.H.: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Charan Bay, Korea. J. Kor. Fish. Soc, 31, 429-436 (1998). 

  20. Choi, J.D. and Jeong W.G.: A bacteriological study on the sea water and oyster in Puk Man, Korea. Korean J. Malacol, 14, 19-26 (1998). 

  21. Choi, J.D.: Marine bacteriological quality and dynamics in Tongyeong coastal area, Gyung-nam, Korea. J. Fd Hyg. Safety, 14, 372-379 (1999). 

  22. Choi J.D. and Jeong W.G.: Bacter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of seawater in Tongyeong Harbor, Korea. J. Kor. Fish. Soc, 34(6), 611-616 (2001). 

  23. Choi J.D. and Kim J.G.: Bacter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 of Sea Water and Sediments in South Wester Part of Jinhae Bay, Korea. J. Kor. Fish. Soc, 35(6), 621-626 (2002). 

  24. Park J.Y., Kim Y.I., Bae K.S., Oh K.S., Choi J.D.: Bacter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of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s in Sacheon Bay. J.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4(2), 7-15 (2010). 

  25. Park J.Y., Kim Y.I., Bae K.S., Oh K.S., Choi J.D.: Sanitary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Sediments in Togyeong Harbor. J. Fd Hyg. Safety, 25(4), 367-375 (2010). 

  26. Shim K.B., Ha K.S., Yoo H.D., Kim J.H., Lee T.S.: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Jaranman.Saryangdo area, Korea. J. Kor. Fish. Aquat. Sci, 42, 442-448 (2009). 

  27.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Mok J.S., Byun H.S., Park Y.J., Cho K.C.: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Waters in Taean Area, Korea. J. Kor. Fish. Soc, 41(3), 155-162 (2008). 

  28. Ha K.S., Shim K.B., Yoo H.D., Kim J.H., Lee T.S.: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Hasan-Geojeman, Korea. Korea. J. Kor. Fish. Soc, 42(5), 449-455 (2009). 

  29. Yoo, H.D, Ha K.S., Shim K.B., Kang J.Y., Lee T.S., Kim J.H.: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Shellfish-growing Waters and Mussels in Changseon, Namhae, Korea. J. Kor. Fish. Soc, 43(4), 298-306 (2010). 

  30. Byun H.S.,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Sea waters in Secheon Area, Korea. J. Kor. Fish. Soc, 43(1), 25-32 (2010). 

  31. Lee, T.S., Oh E.G., Yu H.D., Ha K.S., Yu H.S., Byun H.S., Kim J.H.: Impact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Korea. J. Kor. Fish. Soc, 43(5), 406-414 (2010). 

  32. Kwon J.Y., Park K.B.W., Song K.C., Lee H.J., Park J.H., Kim J.D. and Son K.T.: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ea. J. Fish.. Sci. Technol, 11, 7-14 (2007). 

  33. APHA.: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U.S.A., 17-51 (1970). 

  3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Food Standards codex. 9, 3.1-3.25 (2014). 

  35. Goseong-gun. Goseong-gun Yearbook (2013). 

  36. Choi Y.K., Yang J.Y., Lee Y.S., Yu J., Kim D.K., Han I.S., Go W.J.: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in the dry and wet seas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J. Environ Sci, 16, 459-466 (2007). 

  37. Ackerman D. and Weisberg S.B.: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beach bacterial concentrations on santa monica bay beaches. J. Water and Health, 1, 85-89 (2003). 

  38. Park K.B.W., Jo M.R., Kim Y.K., Lee H.J., Kwon J.Y., Son K.T., Lee T.S.: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inland pollution sources after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Narodo area, Korea. J. Kor. Fish. Aquat. Sci, 45, 414-422 (2012). 

  39. U.S.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Model Ordinance.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Seafoo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on June 18. 2009 (2014). 

  40. MOMAF (Ministry of Marine Affairs & Fisheries): Sanitary Criteria of Producing.Processing Facilities and Seawater Area for Fisheries Products. The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Article, 2002, 74 (2002). 

  4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notice 2013-154 number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