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직장여성의 가족건강성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Family Strength of Married Working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6, 2015년, pp.900 - 909  

홍영선 (단국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  한금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edictive factors related to family strength and develo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explains family strength among married working women. Methods: A hypothesized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predictor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를 토대로 기혼 직장여성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각 변인들의 직·간접효과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따라서, 다른 연령대 보다 결혼이라는 커다란 과도기 과정을 거치면서 다중적인 역할 수행에 의해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30~40대 기혼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을 설명하는 변수들의 직·간접 영향력과 인과성을 알아보고자 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관계 변수를 긍정적 요인으로서 자아탄력성, 가족의 지지, 기능적 부부의사소통, 부정적 요인으로서 가족스트레스로 설정하고, 가족건강성 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변인들의 관계 및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한 가설적인 모형을 세우고 검증하였다.(Figure 1)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30~40대 기혼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을 설명하는 변수들의 직·간접 영향력과 인과성을 알아보고, 기혼 직장여성 개인보다는 가족을 단위로 하는 기능적 부부의사소통 증진, 가족스트레스 관리 및 가족건강성 회복을 위한 가족 간호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자아탄력성, 가족의 지지, 기능적 부부의사소통 및 가족스트레스는 가족건강성에 정적·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고, 그 결과, 경로의 추가 및 수정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적합한 수정모형을 나타냈다. 무엇보다 다른 연령층에 비해 다중적 역할로 인한 가족 간의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는 30~40대 기혼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의 요인을 사회적 현상이나 방향이 아닌 가족의 관계성과 관련된 요인을 탐구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 본 연구는 30~40대 기혼 직장여성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Yoo [10]의 가족모델을 근거로 기혼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가족의 지지, 기능적 부부의사소통, 가족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가족건강성을 둘러싼 변인들 간 관련성과 그 수준을 파악하거나 기혼직장여성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및 정책의 필요성을 언급하였지만, 특정 연령층에서 기혼 직장여성의 갈등극복을 위한 가족관계성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거나 예측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자아탄력성, 가족의 지지, 기능적 부부의사소통, 가족스트레스, 가족건강성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직장기혼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가족건강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 및 분석하고자 시도된 구조모형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여성이 결혼을 하게 됨으로써 겪는 일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여성은 결혼을 하게 되면서 새로운 가정생활에 적응하고 아내와 며느리, 어머니의 다중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역할긴장을 경험하고, 출산과 자녀양육을 병행함으로써 정신적 고단함, 경제적 부담감, 자기시간의 부족, 사회적 고립감, 육체적 피로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1]. 더욱이 외국과는 달리 고부간에는 절대적 약자에 위치해 있는데다가 자녀 교육에 대한 열정이 남다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결혼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라 받아들여서 여성자신이 관심을 받지 못하고,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 가볍게 생각하는데 문제가 있다[1,2].
우리나라 기혼여성이 외국 기혼여성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여성은 결혼을 하게 되면서 새로운 가정생활에 적응하고 아내와 며느리, 어머니의 다중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역할긴장을 경험하고, 출산과 자녀양육을 병행함으로써 정신적 고단함, 경제적 부담감, 자기시간의 부족, 사회적 고립감, 육체적 피로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1]. 더욱이 외국과는 달리 고부간에는 절대적 약자에 위치해 있는데다가 자녀 교육에 대한 열정이 남다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결혼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라 받아들여서 여성자신이 관심을 받지 못하고,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 가볍게 생각하는데 문제가 있다[1,2]. 특히, 기혼여성이 직업을 갖는 경우 스트레스가 증가될 수밖에 없는데 한국에서 기혼 직장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결혼으로 인한 여성의 가족 내 책임과 직장생활로 인한 사회적 역할이 가중됨을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한국에서 기혼 직장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더욱이 외국과는 달리 고부간에는 절대적 약자에 위치해 있는데다가 자녀 교육에 대한 열정이 남다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결혼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라 받아들여서 여성자신이 관심을 받지 못하고,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 가볍게 생각하는데 문제가 있다[1,2]. 특히, 기혼여성이 직업을 갖는 경우 스트레스가 증가될 수밖에 없는데 한국에서 기혼 직장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결혼으로 인한 여성의 가족 내 책임과 직장생활로 인한 사회적 역할이 가중됨을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기혼 직장 여성은 가사와 육아의 책임을 강요받거나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직장 내 지위 및 고용구조 속에서 가정생활을 동시에 이끌어 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가족 내 갈등을 유발하고 심각하게 하고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m SD. The prediction model of mid-life women's family stress and mental health: Focused on perfectionism, self-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Chung Ang University; 2009. 

  2. Kim KW, Doh HS, Kim S, Rhee SH.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0; 31(5):101-113. 

  3. Aryee S, Srinivas ES, Tan HH. Rhythms of lif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balance in employed par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5;90(1):132-146. http://dx.doi.org/10.1037/0021-9010.90.1.132 

  4. Kirchmeyer C. The different effect of family on objective career success across gender: A tes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6;68(2):323-346. http://dx.doi.org/10.1016/j.jvb.2005.05.002 

  5. Song DY, Jang SJ, Kim EJ.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work-family conflict of Korean working people: Focusing the effect of workplace support and familial support. Social Welfare Policy. 2010;37(3):27-52. 

  6. Statistics Korea.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ternet]. Daejeon: Author; 2008 [cited 2015 January 1].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 

  7. Grice MM, Feda D, McGovern P, Alexander BH, McCaffrey D, Ukestad L. Giving birth and returning to work: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women's health after childbirth. Annals of Epidemiology. 2007;17(10):791-798. http://dx.doi.org/10.1016/j.annepidem.2007.05.002 

  8. Marshall NL, Tracy AJ. After the baby: Work-family conflict and working mothers' psychological health. Family Relations. 2009;58(4):380-391. http://dx.doi.org/10.1111/j.1741-3729.2009.00560.x 

  9. Lee SM, Kim KS. The effect of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on depression of married peopl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12;17(3):3-22. 

  10. Yoo Y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for strengthening the fami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04;9(2):119-151. 

  11. Olson DH, DeFrain J. Marriage and the family: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3rd ed. Mountain View, CA: Mayfied; 2003. 

  12. Koo MR, Song JA. A case study of the family art therapy on the enhancement of family communication and health of family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0;17(2):443-472. 

  13. Ledermann T, Bodenmann G, Rudaz M, Bradbury TN. Stress, communication, and marital quality in couples. Family Relations. 2010;59(2):195-206. http://dx.doi.org/10.1111/j.1741-3729.2010.00595.x 

  14. Voydanoff P.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05;67(4)822-836.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5.00178.x 

  15. Brooks RB. The power of parenting. In: Goldstein S, Brooks RB, editor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New York, NY: Springer; 2006. p.297-314. 

  16. Laliberte S, Bohn U, Bartlett KR, West C, Englehart R. Families and family nursing. Journal of Family Nursing. 2002;8(1):3-10. http://dx.doi.org/10.1177/107484070200800101 

  17. Lim SC, Rhee CW.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elf-management of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The mediating effect of diabetes-related family support.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1;32(6):235-260. 

  18.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361. 

  19. Yoo SK, Shim HW.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2;16(4):189-206. 

  20. King LA, Mattimore LK, King DW, Adams GA. Family support inventory for workers: A new measu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6;16(3):235-258. http://dx.doi.org/10.1002/job.4030160306 

  21. Yoon OH. A study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married working women: Focused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effecting factors [dissertation]. Namwon: Seonam University; 2009. 

  22. McCubbin HI, Patterson JM, Wilson L.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S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1979. 

  23. Satir VM. A partial portrait of a family therapist in process. In: Fishman HC, Roseman BL, editors. Evolving models for family change: A volume in honor of Salvador Minuchin. New York, NY: Guilford Press; 1986. p. 278-193. 

  24. Park MY. Effects of role strain and parenting stress of married nurses on communication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2. 

  25. Eo EJ, Yoo YJ.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95;13(1):145-156. 

  26. Ha OR, Kwon JH. Mental health and rol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Role conflict, perfectionism, and family/spouse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6;25(3):675-696. 

  27. Kim H, Ha C. A study on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in adolescents from remarried famil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17(4):67-101. 

  28. Kim EJ, Hwang KR, Kwun YU. Relationship among spouse's psychological type,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2007;10(1):15-26. 

  29. Lee EH. Study on the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o family stress: Application of the resiliency model.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9;14(1):73-94. 

  30. Chang YS, Park YS.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perceived parent-child communication, ego-resilience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children's friendship.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8;16(3):271-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