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요인 : 원가족경험요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Family Strength of Married Adults : Focused o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9, 2015년, pp.184 - 194  

박형원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사이버대학교 재학생 중 사회복지학 전공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기혼 성인남녀 249명을 대상으로 원가족경험을 포함하여 현재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기혼 성인남녀의 가족건강성은 5점 척도 기준으로 3.86정도로 중상수준이었고, 결혼상태, 종교, 소득, 경제문제, 부부문제, 고부/장서갈등, 자녀문제, 원가족경험이 가족건강성과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원가족경험의 하위요인인 전반적인 건강성, 갈등해소, 분리와 상실의 수용, 다른 가족원에 대한 허용성, 가족의 화목, 공동체의식, 확대가족내의 독립성, 가족의 공평성 중에서 공동체의식, 가족화목 요인이 현재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가족주의 특성과 관련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가족간의 화목과 융화를 중시하는 전통 가치가 세대를 통해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strength. The sample consisted of 249 male and female married adults who were in the class of social welfare in S cyber university. Analysis revealed that married adults' family strength level was 3.86(above the moderate). Amo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원가족경험 요인은 응답자의 주관적 지각이며, 과거에 대한 회상을 바탕으로 수집된 것이기 때문에 응답의 정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가족 구성원들이 자신의 가족환경을 어떻게 지각하느냐 하는 것은 그들이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하기 때 문에 본 연구에서 원가족경험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 적요인, 가족문제요인과 더불어 원가족경험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가족건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요인 중 경제문제, 결혼상태 등에 도움을 주기는 어렵지만, 가족관계에서의 문제나 원가족에 대한 인식, 현재 가족에 대한 낙관적 관점 등은 사회복지서비스 및 상담을 통하여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 정도와 관련 요인을 살펴보았으며, 아동기 원가족 경험이 현재 가정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 가족유형이 다양화되며, 가족관련 가치와 태도가 변화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전반적인 가족건강성을 파악하며, 이와 관련된 요인을 탐색하는 것은 가족을 이 해하는데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서 원가족경험을 포함하여 현재 가족의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가족건강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은 무엇인가?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 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가족관련요인 등이 연구되고 있는데,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생활수준, 가족형태, 학력수준[13-15] 등이 가족건강성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우울 등이 있는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신과 환경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어 가족관계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16], 높은 우울수준은 낮은 가족 건강성과 관련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7]. 또한 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자본이 논의되고 있는데, 여성결혼이 민자의 사회자본 중 가족, 친구, 이웃, 제도에 대한 신뢰가 있을 때 그들의 가족건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원가족경험은 무엇인가? 한 개인의 현재 자아상, 가치, 행동, 태도 및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양식의 발달은 원 가족이라는 맥락안에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초기경험은 일생동안 개인의 여러 발달 영역에 계속 영향을 미친다[7]. 원가족경험이란 개인이 출생하여 성장하는 동 안 정서적·사회적 소속감을 갖는 가족내에서 부모형제를 비롯한 가족과의 상호작용에서 가졌던 특별한 경험이며, 이러한 경험은 자신과 타인, 대인관계에서 큰 영향을 주고, 결혼 후 새로이 만든 자신의 가족에서 되풀이하는 경향이 있다. 원가족의 경험을 중시하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강하고, 가족유대를 강조하는 우리나라에 서는 결혼을 하더라도 원가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고, 결혼하여 구성한 가족에서도 원가족에 서 습득한 상호작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어 현재 가족의 결혼생활을 예견하는데 원가족경험은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8].
현재 가족의 결혼생활을 예견하는데 원가족경험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원가족경험이란 개인이 출생하여 성장하는 동 안 정서적·사회적 소속감을 갖는 가족내에서 부모형제를 비롯한 가족과의 상호작용에서 가졌던 특별한 경험이며, 이러한 경험은 자신과 타인, 대인관계에서 큰 영향을 주고, 결혼 후 새로이 만든 자신의 가족에서 되풀이하는 경향이 있다. 원가족의 경험을 중시하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강하고, 가족유대를 강조하는 우리나라에 서는 결혼을 하더라도 원가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고, 결혼하여 구성한 가족에서도 원가족에 서 습득한 상호작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어 현재 가족의 결혼생활을 예견하는데 원가족경험은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유영주,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2호, pp.119-151, 2004. 

  2. 최희진, 유영주,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pp.15-28, 2003. 

  3. 최정혜,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3호, pp.11-26, 2005. 

  4. 전서영, 박정윤, 김양희, "기혼 남녀의 일-가족 갈등에 다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12권 제3호, pp.59-79. 

  5. 박선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자본과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 M. E. Kerr and M. Bowen,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1988. 

  7. M. Rovers, L. DesRoches, P. E. Hunter, and B. Taylor, "A family of origin workshop: Process and evaluation", Family Journal, Vol.8, No.4, pp.368-375, 2000. 

  8. 최현미, 원가족척도 연구-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9. D. H. Olson, C. S. Russell, and D. H. Sprenckle,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Process, Vol.1, pp.3-28, 1979. 

  10. 최희진,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도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1. N. Stinnet, "Strengtheni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s, Vol.13, 1979. 

  12. J. Defrain, "Qualities of strong families around the world", 경희가족상담교육센터 해외석학초청특별강연회 자료집, 2003. 

  13. 강희경,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p.93-102, 2005. 

  14. 양순미, 유영주, "부모와 자녀세대가 인지한 농촌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의 특성연구-맏자녀가 중등학교 이상에 다니는 농가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5권, 제1호, pp.67-91, 2000. 

  15. 어은주,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996. 

  16. 권대희, 오윤자,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15-127, 2004. 

  17. 배경의, 김은하,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가족기능, 자아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아동간호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57-366, 2007. 

  18. 권정란, 이인수,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이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35-56, 2006. 

  19. E. A. Skowron and M. I. Friedlander,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45, pp.235-246, 1998. 

  20. R. M. Sabatelli and B. H. Suzann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adjustment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65(February), pp.159-169, 2003. 

  21. A. J. Hovestadt, W. T. Anderson, F. A. Piercy, S. W. Cochran, and M. A. Fine,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11, No.3, pp.287-297, 1985. 

  22. 어은주, 유영주, "가족의 건강도'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45-156, 1995. 

  23. 이선미, "성인남녀의 가족건강성 관련변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5호, pp.129-142, 2011. 

  24. 최성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파주:나남출판, 2005. 

  25. 이윤로, 유시순, 사회복지사를 위한 SPSS, 서울: 학지사. 

  26. 박필현, 기혼여성이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현재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7. 장선웅, 정혜정, 이주연,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1호, pp.71-8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