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성장애가 있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와 비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장애 중증도와 유형에 따른 자기보고식 음성평가 차이
Comparison of Self-Reporting Voice Evaluations between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Voice Users with Voice Disorders by Severity and Typ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4, 2015년, pp.67 - 76  

김재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치료교육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ofessional (Pro) and non-professional (Non-pro) voice users with voice disorders in self-reporting voice evaluation using Korean-Voice Handicap Index (K-VHI) and Korean-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In addition, those were compared by voice qu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음성장애가 있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와 비직업적 음성사용자 간의 자기보고식 주관적 음성평가인 K-VHI와 K-VRQOL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직업적 음성사용 유무에 따라 음성문제가 직업 활동이나 일상생활에 미치는 불편함 또는 핸디캡의 정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음성장애의 중증도나 유형에 따라 대상자가 느끼는 음성과 관련된 문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음질로 평가한 음성장애의 중증도(G 척도)와 음성장애 유형에 따른 차이도 함께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음성장애가 있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와 비직업적 음성사용자 간의 자기보고식 주관적 음성평가인 K-VHI와 K-VRQOL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직업적 음성사용 유무에 따라 음성문제가 직업 활동이나 일상생활에 미치는 불편함 또는 핸디캡의 정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음성장애의 중증도나 유형에 따라 대상자가 느끼는 음성과 관련된 문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음질로 평가한 음성장애의 중증도(G 척도)와 음성장애 유형에 따른 차이도 함께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음성장애군을 대상으로 직업적 음성사용 유무에 따라 음성문제로 인한 직업 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 또는 그로 인한 핸디캡의 차이가 있는지를 자기보고식 주관적 음성평가로 비교하고, 이와 더불어 음성장애의 중증도나 유형에 따라 대상자들이 느끼는 문제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차이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A. 음성장애군의 직업적 음성사용 유무(집단 간)에 따라 자기보고식 음성평가의 차이가 있는가?
  • C. 음성장애군의 직업적 음성사용 유무(집단 간)와 음성장애 유형에 따른 자기보고식 음성평가의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문제로 대상자가 느끼는 장애 정도가 직업적 음성사용의 여부 또는 음성 사용의 수준에 따라 다르다는 예는 무엇인가? 음성문제로 인해 대상자가 느끼는 장애 정도는 직업적 음성사용의 여부 또는 음성 사용의 수준에 따라 다를 것이다. 가수나 교사, 방송인과 같이 직업적으로 음성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은 음성 문제가 직업 활동이나 업무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음성을 직업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필요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음성문제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음성문제에 대한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민감도가 높아지는 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음성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음성장애로 초래되는 문제점을 인식하는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수들, 가령 연령, 성별, 음성장애의 정도, 음성장애의 유형 등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교하였기 때문에 왜곡된 결과가 도출되었을 수 있다. 즉 연령이 낮거나 직업 활동이 활발한 시기일수록, 민감한 여성일수록, 음성장애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만성적이거나 치료가 어려운 음성장애일수록 음성문제에 대한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민감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하고 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다만, 연령이나 성별은 자기보고식 주관적 음성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보고들[14-16, 22,26,27]은 있지만 음성장애의 중증도나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음성장애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객관적인 평가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음성장애를 평가할 때 일반적으로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후두내시경 등의 객관적인 평가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음성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능이나 심리적 측면의 장애를 평가하지 못한다[8,9]. 음성문제로 인해 제한되는 전반적인 상태를 다루기 위해서는 대상자가 경험하는 주관적인 음성장애의 정도를 음성평가에 반영함으로써 음성이 대상자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나 중재에 대한 효율성을 개별화하여 평가하고, 이를 치료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oufman, J. A. (2003). "What are voice disorders and who gets them?" DOI:, http://speechpathology.com. 

  2. Koufman, J. A. & Isaacson, G. (1991). The spectrum of vocal dysfunction.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24(5), 985-988. 

  3. Pyo, H. Y. (2011). A qualitative study on voice use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 voice us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6, 346-359. (표화영 (2011). 직업적 음성사용인의 음성문제에 대한 질적 연구(1). 언어청각장애연구, 16권, 346-359.) 

  4. Niebudek-Bogusz, E., Woznicka, E., Zamyslowska-Szmytke, E., & Sliwinska-Kowalska, M., (2010). Correlation between acoustic parameters and Voice Handicap Index in dysphonic teach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2(1-2), 55-60. 

  5. Lee, E. J. (2015). A survey on the voice symptoms and vocal-health service related experience of occupational voice us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397-405. (이은정 (2015).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증상 및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 조사. 디지털융복합연구, 13권 1호, 397-405.) 

  6. Franco, R. A. & Andrus, J. G. (2007). Common diagnoses and treatments in professional voice users.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40(5), 1025-1061. 

  7. Guss, J., Sadoughi, B., Benson, B., & Sulica, L. (2014). Dysphonia in performers: Towards a clinical definition of larynoglogy of the performing voice. Journal of Voice, 28(3), 349-355. 

  8. Wingate, J. M., Brown, W. S., Shrivastav, R., Davenport, P. & Sapienza, C. (2007). Treatment outcomes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Journal of Voice, 21(4), 433-449. 

  9. Sampaio, M. C., dos Reis, E. J., Carvalho, F. M., Porto, L. A., & Araujo, T. M. (2012). Vocal effort and voice handicap among teachers. Journal of Voice, 26(6), 820.e15-820.e18. 

  10. Steen, I. N., MacKenzie, K., Carding, P. N., Webb, A., Deary, I. J., & Wilson, J. A. (2008). Optimizing outcome assessment of voice intervention, II: Sensitivity to change of self-reported and observer-rated measures. Journal of Laryngology and Otology, 122, 46-51. 

  11. Kim, J. & Choi, H. S. (2009). Comparison of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nd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of Voice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2), 223-235. (김재옥, 최홍식 (2009). 평가자의 청지각적 음성평가와 대상자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14권 2호, 223-235.) 

  12. Kim, J., Choi, S., Lim, S., Choi, J., & Choi, H. (2007a). Comparison of patient's subjective rating scales for voice evaluation in professional voice users with vocal fold lesions. Proceedings of 81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 166. (김재옥, 최성희, 임성은, 최재남, 최홍식 (2007a). 전문직 음성 사용자의 주관적 음성평가도구간의 비교. 제 81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6.) 

  13. Castelblanco, L., Habib, M., Stein, D. J., de Quadros, A., & Cohen, S. M. (2014). Singing Voice Handicap and videostrobolaryngoscopy in healthy professional singers, Journal of Voice, 28(5), 608-613. 

  14. Cohen, S. M., Jacobson, B. H., Garrett, C. G., Noordzij, J. P., Stewart, M. G., Attia, A., Ossoff, R. H., & Cleveland, T. F. (2007). Creation and validation of the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Th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116(6), 402-406. 

  15. Dassie-Liete, A. P., Delazeri, S., Baldissarelli, B., Weber, J., & de Lacerda Filho, L. (2014). Vocal self-assessment: relation with the type of instrument, gender, age, and profession in individuals without vocal complaints. Codas, 26(6), 531-534. 

  16. Maertens, K. & de Jong, F. I. (2008). The voice handicap index as a tool for assesment of the biopsychosocial impact of voice problems. B-ENT, 3(2), 61-66. 

  17. Martinello, J. G., Lauris, J. R. P., & Brasolotto, A. G. (2011). Psychometric assessments of life quality and voice for teachers within the municipal system in Bauru, SP, Brazi. Journal of Applied Oral Science, 19(6), 573-578. 

  18. Niebudek-Bougusz, E., Woznicka, E., & Zamyslowska-Szmytke, E. (2010). Correlation between acoustic parameters and voice handicap index in dysphonic teach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2, 55-60. 

  19. Thomas, G., Kooijman, P. G., Donders, A. R., Cremers, W. R., de Jong, F. I. (2007). The voice handicap of student-teachers and risk factors perceive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voice. Journal of Voice, 21(3), 325-336. 

  20. Timmermans, B., De Bodt, M. S., Wuyts, F. L., Boudewijns, A., Clement, G., Peeters, A., Van de Heynin, P. H. (2002). Poor voice quality in future elite vocal performers and professional voice users. Journal of Voice, 16(3), 372-382. 

  21. Salturk, Z., Kumral, T. L., Aydogdu, A., Berkiten, G., Yildirim, G., Uyar, Y. (2015). Psychological effects of dysphonic in voice professionals. The Laryngoscope, 17, doi: 10.1002/laryn.25319. [Epub ahead of print] 

  22. Van Houtte, E., Claeys, S., Wuyts, F., & Van Lierde, K. (2011). The impact of voice disorders among teachers: Vocal complaints, treatment-seeking behavior, knowledge of vocal care, and voice-related absenteeism. Journal of Voice, 25(5), 570-575. 

  23. Watson, N. A., Oakeshott, P., Kwame, I., & Rubin, J. S. (2013). A comparison of the voice handicap index-10 scores between medical and musical theater students. Journal of Voice, 27(1), 129.e21-129.e23. 

  24. Song, Y. & Pyo, H. (2010). A preliminary study on voice symptoms and Korean Voice Handicap Index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2(2), 123-133. (송윤경, 표화영 (2010). 언어치료사의 음성증상 및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에 대한 예비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2권 2호, 123-133.) 

  25. Hong, J. & Hwang, Y. (2012). VHI, V-RQOL, and voc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and sing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7), 3048-3056. (홍주혜, 황영진 (2012). 교사 및 성악가의 VHI, V-RQOL, 음향학적 특성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권, 7호, 3048-3056.) 

  26. Marie, B. S., Natour, Y. S., & Hai-Tas, M. A. (2014). Jourdanian teachers' perceptions of voice handicap.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9(2), 81-86. 

  27. Paoliello, K., Oliveira, G., Behlau, M. (2013). Singing voice handicap mapped by different self-assessment instruments. Codas, 25(5), 463-468. 

  28. Yoo, J. Y., Hwang, Y. J., Han, J. Y., & Lee, O. B. (2014). Voice and Voice Disorders. Seoul: Sigma Press. (유재연, 황영진, 한지연, 이옥분 (2014). 음성과 음성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29.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Springer-Verlag. 

  30. Jacobson, B. H., Johnson, A., Grywalski, C., Silbergleit, A., Jacobson, G., & Benninger, M. S. (1997). The voice handicap index (VHI): Development and validation. Americ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6, 66-70. 

  31. Hogikyan, N. D., & Sethuraman, G. (1999).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RQOL). Journal of Voice, 13(4), 557-569. 

  32. Kim, J., Lim, S. E., Park, S. Y., Choi, S. H., Choi, J. N., Choi, H. S. (2007b).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Version of Voice Handicap Index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Speech Sciences, 14(3), 111-125. (김재옥, 임성은 박선영, 최성희, 최재남, 최홍식 (2007b).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와 음성관련 삶의 질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음성과학, 14권 3호, 111-125.) 

  33. Behlau, M., Zambon, F., Guerrieri, A. C., & Roy, N(2012). Epidemiology of voice disorders in teachers and nonteachers in Brazil: prevalence and adverse effects. Journal of Voice, 26(5), 665.e9-18. 

  34. Houtte, E. V., Claeys, S., Wuyts, F., Van Lierde, K. (2011). The impact of voice disorders among teachers: Vocal complaints, treatment-seeking behavior, knowledge of vocal care, and voice-related absenteeism. Journal of Voice, 25(5), 570-575. 

  35.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s. (2014). Warning sign for vocal health, "vocal nodule." www.129.go.kr/news/news02_view.jsp?n7884. (국민건강보험 보도자료 (2014). 목소리 건강의 적신호 "성대결절.") www.129.go.kr/news/news02_view.jsp?n7884.) 

  36. Ohlsson, A. C., Andersson, E. M., Sodersten, M., Simberg, S., Claesson, S., Barregard, L. (2015). Voice Disorders in Teacher Students-A Prospective Study an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Voice, pii: S0892-1997(15)00204-0. doi: 10.1016, Epub ahead of print. 

  37. Guzman, M., Barros, M., Espinoza, F., Herrera, A., Parra, D., Munoz, D., & Lloyd, A. (2013). Laryngoscopic, acoustic, perceptual,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voice in rock sing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5(5), 248-256. 

  38. Rosen, C. A. & Murry, T. (2000). Voice Handicap Index in singers. Journal of Voice, 14(3), 370-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