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포닌 전환 활성 Stenotrophomonas rhizopilae Strain GFC09 균주의 분리 동정 및 전환 사포닌의 주름 개선 효과
Isolation of Stenotrophomonas rhizopilae Strain GFC09 with Ginsenoside Converting Activity and Anti-wrinkle Effects of Converted Ginsenoside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4, 2015년, pp.375 - 382  

민진우 ((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  김혜진 (네오바이오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 ,  주광식 (네오바이오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 ,  강희철 ((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세노사이드(인삼 사포닌)는 인삼의 대표적 약리성분 중의 하나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배당체 화합물이다. 이들 사포닌가수분해 되어 저분자화 되었을 때, 항주름 및 항산화, 항암 등에 높은 약리효능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 esculin 배지를 활용하여 ${\beta}$-glucosidase 활성을 가진 균주를 분리하였고 인삼 사포닌 전환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균주들을 16S rRNA sequencing을 통하여 동정하여 본 결과 Stenotrophomonas rhizopilae strain GFC09로 확인되였다. 균주의 최적 활성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조효소 1 mM와 인삼사포닌 $Rb_1$과 함께 배양한 후 생물학적 전환을 TLC, HPL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조효소에 의한 인삼 사포닌 $Rb_1$의 전환 경로는 다음과 같다. LB: RbNeobio R&D center, Gyeonggi-do 16954, Korea${\rightarrow}$Rd${\rightarrow}$FNeobio R&D center, Gyeonggi-do 16954, Korea${\rightarrow}$compound K, TSB: $Rb_1{\rightarrow}Rd{\rightarrow}F_2$. 가수분해된 생성된 물질은 NMR로 구조 동정하였다. 전환 산물의 효능 분석결과, 콜라겐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nsenoside $F_2$와 compound K 함유 인삼 전환 산물의 주름 개선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senosides (ginseng saponin) as the one of important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inseng and is responsible for the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These ginsenoside produces diverse small molecules ginsenoside which have more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wrinkle, anti-can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의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균주를 분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compound K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를 통해 인삼사포닌 변환기술을 개발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compound K를 생산하고 이의 항주름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은 무엇인가? A. Meyer)은 오가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 다년생 숙근초로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약재로 활용되어 왔다[1]. 인삼의 대표적인 약리성분인 인삼사포닌 즉 ginsenoside는 구조적으로 triterpenoid dammarane 골격의 aglycone에 glucose, arabinose, xylose, rhamnose 등의 당이 결합되어 생성된 배당체로서 인삼의 가장 중요한 약리활성성분으로 인정되고 있다[2].
인삼의 대표적 약리성분인 ginsenoside의 효능 중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인삼의 대표적인 약리성분인 인삼사포닌 즉 ginsenoside는 구조적으로 triterpenoid dammarane 골격의 aglycone에 glucose, arabinose, xylose, rhamnose 등의 당이 결합되어 생성된 배당체로서 인삼의 가장 중요한 약리활성성분으로 인정되고 있다[2]. 특히, 항암작용[3], 항당뇨[4], 항스트레스[5], 항산화[6], 항알러지 및 면역 기능 강화[7]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증명되면서 합성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인삼 사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계의 담마란(dammarane)계 사포닌으로서 인삼 속 식물에만 주로 존재하는 특유의 사포닌으로, 비당부분에 따라 4환성의 담마렌계 사포닌과 5환성의 올레아난계 사포닌의 2종류로 구별된다.
담마렌계 사포닌은 구조에 따라 무엇으로 나뉘는가? 인삼 사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계의 담마란(dammarane)계 사포닌으로서 인삼 속 식물에만 주로 존재하는 특유의 사포닌으로, 비당부분에 따라 4환성의 담마렌계 사포닌과 5환성의 올레아난계 사포닌의 2종류로 구별된다. 담마렌계 사포닌은 다시 비당부분에 붙어있는 수산기(-OH)의 수에 따라 2개인 경우 protopanaxadiol (PPD)계 사포닌, 3개인 경우 protopanaxatriol (PPT)계 사포닌으로 나누어진다[8]. 현재까지 인삼 사포닌은 약 40여 종 이상이 보고되어 있으며, 당의 결합의 위치나 종류에 따라 효능 활성이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E. Shin, E. K. Park, E. J. Kim, Y. H. Hong, K. T. Lee, and D. H. Kim, Cytotoxicity of compound K (IH-901) and ginsenoside Rh2, main biotransformants of ginseng saponins by bifidobacteria, against some tumor cells, J. Ginseng Res., 27(3), 129 (2003). 

  2. M. Karikura, T. Miyase, H. Tanizawa, T. Taniyama, and Y. Takino, Studies on absorption, distribution, excretion and metabolism of ginseng saponins. VII. Comparison of the decomposition modes of ginsenoside- Rb1 and Rb2 in the digestive tract of rats, Chem. Pharm. Bull., 39(9), 2357 (1991). 

  3. Y. Kikuchi, H. Sasa, T. Kita, J. Hirata, and T. Tode, Inhibition of human 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vitro by ginsenoside-Rh2 and adjuvant effects of cisplatin in vivo, Anti-cancer Drugs, 2(1), 63 (1991). 

  4. V. Vuksan, M. K. Sung, J. L. Sievenpiper, P. M. A. L. Jenkins, M. D. Buono, K. S. Lee, L. A. Leiter, K. Y. Nam, J. T. Armason, M. Choi, and A. Naeem,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improves glucose and insulin regulation in well-controlled, type 2 diabetes: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of efficacy and safety, Nutr. Metab. Cardiovasc. Dis., 18, 46 (2008). 

  5. H. Kaneko and K. Nakanishi, Proof of the mysterious efficacy of ginseng: basic and clinical trials: clinical effects of medical ginseng, Korean red ginseng: specifically, its anti-stress action for prevention of disease, J. Pharmacol. Sci., 95, 158 (2004). 

  6. B. J. Park, Y. S. Lim, H. J. Lee, W. S. Eum, J. Park, K. H, Han, and K. S. Lee, Anti-oxidativ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red ginseng extracts on oxidative stress-induced DNA damage, BMB Rep., 42, 500 (2009). 

  7. E. K. Park, M. K. Choo, M. J. Han, and D. H. Kim, Antiallergic and anti inflammatory activities of ginsenoside Rh1, Int. Arch. Allergy Immunol., 133, 113 (2004). 

  8. S. Shibata, O. Tanaka, T. Ando, M. Sada, S. Tsushima, and T. Ohsawa, Chemical studies on oriental plant drugs. XIV. Protopanasadiol, a genuine sapogenin of ginseng saponins, Chem. Pharm. Bull., 14, 595 (1966). 

  9. J. D. Park, D. K. Lee, and Y. H. Lee, Biological activities and chemistry of saponins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Phytochem. Reviews, 4(2), 159 (2005). 

  10. Z. Y. Luo, Q. H. Lu, S. P. Liu, X. H. Chen, J. Q. Luo, L. J. Tan, and W. X. Hu,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novel genes involved in viosynthesis of ginsenoside in Panax ginseng plant, ACTA Biochem. Biophys. Sin., 35(6), 554 (2003). 

  11. M. K. Kim, J. W. Lee, K. Y. Lee, and D. C. Yang, Microbial conversion of major ginsenoside rb1 to pharmaceutically active minor ginsenoside Rd, J. Microbiol., 43, 456 (2005). 

  12. K. S. Kim, M. S. Kim, J. R. Lee, and C. H. Choi, Ginsenosides compound K and Rh2 inhibit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duced activation of the NF- ${\kappa}B$ and JNK pathways in human astroglial cells, Neuroscience letters, 421, 37 (2007). 

  13. D. He, J. Sun, X. Zhu, S. Nian, and J. Liu, Compound K increases type I procollagen level and decreases matrix metalloproteinase-1 activity and level in ultraviolet-A-irradiated fibroblasts, J. Formos. Med. Assoc., 110(3), 153 (2011). 

  14. L. Q. Cheng, J. R. Na, M. K. Kim, M. H. Bang, and D. C. Yang, Microbial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to minor ginsenoside F2 and gypenoside XVII by Intrasporangium sp. GS603 isolated from Soil, J. Microbiol. Biotech., 17(12), 1937 (2007). 

  15. M. Mochizuki, Y. C. Yoo, and K. Matsuzawa, Inhibitory effect of tumor metastasis in mice by saponins, ginsenoside Rb2, 20(R)- and 20(S)-ginsenoside Rg3, of red ginseng, Biol. Pharm. Bull., 18(9), 1197 (1995). 

  16. J. H. Su, J. H. Xu, W. Y. Lu, and G. Q. Lin, Enzymatic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g3 to Rh2 using newly isolated Fusarium proliferatum ECU2042, J. Molecul. Catal., 38, 113 (2006). 

  17. M. Kimura, Preponderance of synonymous changes as evidence for the neutral theory of molecular evolution, Nature, 267, 275 (1977). 

  18. S. Kumar, K. Tamura, and M. Nei, MEGA3: Integrated software for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nd sequence alignment, Brief. Bioinform., 5(2), 150 (2004). 

  19. K. Meada and M. Fukuda, In vitro effectiveness of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 J. Soc. Cosmet. Chem., 42(6), 361 (1991). 

  20. L. Q. Cheng, J. R. Na, M. H. Bang, M. K. Kim, and D. C. Yang, Conversion of major ginsenoside Rb1 to 20 (S)-ginsenoside Rg3 by Microbacterium sp. GS514, Phytochemistry, 69(1), 218 (2008). 

  21. S. R. Ko, Y. Suzuki, K. Suzuki, K. J. Choi, and B. G. Cho, Marked production of ginsenosides Rd, F2, Rg3, and compound K by enzymatic method, Chem. Pharm. Bull., 55(10), 152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