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큰느타리버섯의 아미노산을 함량을 분석하고, 70% 메탄올, 95% 발효주정,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미노산 17종류 분석결과 필수아미노산에서는 체내 단백질을 구성하는 Ph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비필수아미노산에서는 감칠맛을 내는 Glu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ASI 2887이 70% 메탄올, 95% 발효주정, 열수 추출용매별로 $34.37{\pm}1.19$, $34.66{\pm}5.46$, $40.97{\pm}1.65mg/g$으로 소거능을 보였고, 아질산염 소거능 역시 열수추출물이 다른 추출물보다 소거능이 높았으며 ASI 2820이 70% 메탄올, 95% 발효주정,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21.45{\pm}2.73$, $33.32{\pm}1.06$, $33.31{\pm}2.65mg/g$으로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다. 폴리페놀 함량도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것은 ASI 2887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은 아미노산과 생리활성 물질의 다량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 및 건강식품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70% methanol, fermented ethanol and hot-water extracts of Pleurotus eryngii were investigat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 eryngii extract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limination of DPPH radicals. Their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의 추출용매에 따른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고자 아미노산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큰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식품 및 건강식품으로서의 가치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느타리버섯은 무엇인가? 버섯은 지방함량이 낮고 비타민과 각종 무기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Kim et al, 2007), 섬유질이 많은 저칼로리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Yoon et al, 2010). 큰느타리버섯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주름버섯목(Agaricales), 느타리버섯과(Pleurotaceae), 느타리버섯속(Pleurotus)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Hilber, 1989; Boekhout, 1990) 우리나라에서는 새송이버섯이라는 명칭으로 더 익숙하다. 큰느타리버섯은 맛과 향이 좋아 소비가 늘고 있으며 다른 버섯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고 저장성이 좋아 수출 상품으로 기대가치가 큰 버섯이다(Kanget al, 2000; Cho et al, 2001).
큰느타리버섯의 아미노산 성분 분석 결과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은 각각 무엇인가? 큰느타리버섯의 아미노산을 함량을 분석하고, 70% 메탄올, 95% 발효주정,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미노산 17종류 분석결과 필수아미노산에서는 체내 단백질을 구성하는 Ph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비필수아미노산에서는 감칠맛을 내는 Glu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ASI 2887이 70% 메탄올, 95% 발효주정, 열수 추출용매별로 $34.
큰느타리버섯이 수출 상품으로 기대가치가 큰 이유는? 큰느타리버섯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주름버섯목(Agaricales), 느타리버섯과(Pleurotaceae), 느타리버섯속(Pleurotus)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Hilber, 1989; Boekhout, 1990) 우리나라에서는 새송이버섯이라는 명칭으로 더 익숙하다. 큰느타리버섯은 맛과 향이 좋아 소비가 늘고 있으며 다른 버섯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고 저장성이 좋아 수출 상품으로 기대가치가 큰 버섯이다(Kanget al, 2000; Cho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1-1200. 

  2. Boekhout T. 1990. Pleurotus. flora agaricina neelandica. 2: 20-24. 

  3. Cho SH, Lee SD, Ryu JS, Kim NG, Lee DS. 2001. Changes in quality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67-373. 

  4. Chung SY, Kim NK, Yoon S. 1999.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ethanol fraction obtained from green yellow vegetable ju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42-347. 

  5.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 1-42. 

  6.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7. Gardner PR, Fridovich I. Superoxide sensitivity of Escherichia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J. Biol. Chem. 266: 1478-1783. 

  8.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9. Hilber O. 1989. Valid, invalid and confusing taxa of the genus Pleurotus. Mushroom Sci. 12: 241-248. 

  10. Hui YF, Den ES, Chi TH. 2002.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J. Food Lipids. 9: 35-46. 

  11. Hwang YJ, Nam HK, Chang MJ, Noh GW, Kim SH. 2003. Effect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erngii extracts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Korean J. Food Sci. Nutr. 32: 217-222. 

  12. Jeong CH, Shim K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mushroom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6-722. 

  13. Kang MS. 1999. Studies on the artifical cultiva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Masters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4. Kang MS, Kang TS, Kang AS, Shon HR, Sung JM. 2000. Studies on mycelial growth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Korean J. Mycol. 28: 73-80. 

  15.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6. Kim HK, Han HS, Lee GD, Kim KH. 2005.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resh Pleurotus eryngi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39-445. 

  17. Kim HS, Ha HC, Kim TS. 2003. Research and prospects in new functional mushroom-Tremella fuciformis, Grifora frondosa, and Hypsizigus marmoreus. Food Sci. Ind. 36: 42-46. 

  18. Kim JY, Moon KD, Lee SD, Cho SH, Kang HI, Lee ST, Seo KI.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347-351. 

  19. Kim MU, Kwon OJ, Woo HS, Cho YJ. 2007. Culture condition for biomass of Pleurotus eryngii. J.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5. 

  20.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1. Lee DJ. 2002.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isolates, bioactivity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quel. Ph.D. degree thesis, Dankook University. 

  22.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23. Lee HJ, Do JR, Chung MY, Kim HK. 2014. Antioxidant acticities of Pleurotus cornucopoae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836-841. 

  24. Lee SJ, Moon SH, Kim T, Kim JY, Seo JS, Kim DS, Kim J, Kim YJ, Park YI. 2003. Anticanc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culture extracts cultivated in the citrus extracts. J. Microbiol Biotech. 31: 362-367. 

  25. Pamela M, Loreta G, Stefania M, Vittorio V, Laura P. 1999. Nutrients in edible mushroom: an inter-species comparative study. Food Chemistry. 65: 477-482 

  26. Pamela M, Stefania M, Altero A, Laura P. 2004. Commercial mushrooms: nutritional quality and effect of cooking. Food Chemistry. 84: 201-206. 

  27. Seo SY, Ahn MS, Choi SR, Song EJ, Choi MK, Kim YS. 2011.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grocybe aegerita. J. Mushroom Sci. Production. 9: 116-122. 

  28. Wang SY, Chang HN, Lin KT, Lo CP, Yang NS, Shyur LF. 2003.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J. Agric Food Chem. 26: 1506-1512. 

  29. Yoon DY, Park KM, Lee JH. 2010.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monosodium glutamate-enriched media. KSBB Journal. 25: 277-2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