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 영양표시 인식 여부에 따른 영양표시 만족도, 구매행동 변화 및 식생활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ing, Change of Purchase Behaviors, and Dietary Life Care, based on the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at Expressway Rest Area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6, 2015년, pp.995 - 1003  

공정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  문진아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  김종욱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제협력담당관실) ,  연지영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ing, change of purchase behaviors, and dietary life care, based on the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at expressway rest areas. The subjects (n=903)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nutr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영양표시 확인율은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군에서 높게 나타나(Kim & Lee 2010), 영양표시 확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소의 영양 표시가 자율적으로 시행된지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소비자의 영양표시 인지 정도와 개선점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확대와 올바른 정착을 위하여 연구되었으며, 영양 표시의 효과적인 적용방안과 휴게소 영양표시 확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소 영양표시와 관련하여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자들의 영양표시 인식 여부에 따라 영양표시 이용 여부 및 행동변화, 영양표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영양표시 만족도, 영양표시 확대의 필요성들을 알아보고자 고속도로 휴게소 영양표시 시범 실시 중인 휴게소 2곳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평소 건강을 위한 식생활관리 노력 정도는 ‘매우 노력한다/노력하는 편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영양표시 인식군은 영양표시를 인식하지 않는 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속도로 휴게소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할것이라고 예상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경제적 성장으로 인한 차량 증가와 주 5일 근무제 확대 등으로 고속도로 이용자의 지속적 증가와 더불어 고속도로 휴게소를 이용하는 소비자들 역시 증가할 것을 예상하고 있다(Kim & Lee 2013; Kim WJ 2006).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은 휴식을 위한 목적뿐 아니라, 식사나 간식 섭취를 위한 이용이 23.
외식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7% 증가한 것으로 보고하였다(KNS 2014). 외식빈도 증가는 영양불균형을 비롯해 열량 과잉 섭취로 인한 비만과 만성질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ielsen 등 1996; Binkely 등 2000; Nielsen 등 2002; Suh 등 2010, Yu 등 2012). 올바른 가공식품 선택을 위해 1996년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영양성분 표시 제도를 실시하였고, 2009년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에 근거하여 식품접객영업자 중 주로 어린이 기호식품을 조리·판매하는 업소가 직영점과 가맹점을 포함한 점포 수 100개 이상인 영업자가 판매하는 조리·판매 식품에 대하여 영양성분 표시를 의무화하였다(MFDS 2015).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중 식사나 간식 섭취를 위한 이용비중은 어떠한가? 우리나라는 경제적 성장으로 인한 차량 증가와 주 5일 근무제 확대 등으로 고속도로 이용자의 지속적 증가와 더불어 고속도로 휴게소를 이용하는 소비자들 역시 증가할 것을 예상하고 있다(Kim & Lee 2013; Kim WJ 2006).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은 휴식을 위한 목적뿐 아니라, 식사나 간식 섭취를 위한 이용이 23.5%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Jung & 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YJ, Yeon JY. 2011.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 Assoc 17:387-402 

  2. Binkely JK, Eales J, Jekanowski M. 2000. The relation between dietary change and rising US obesity. Int J Obes 24:1032-1039 

  3. Burton S, Cyeyer EH, Kees J, Huggins K. 2006. Attacking the obesity epidemic: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in restaurants. Am J Public Health 96:1669-1675 

  4. Choi M, Lee JW. 2011. Consumer awareness, use,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ing at bakery and ice-cream stores in DaeJeon. Korea J Food Culture 26:417-428 

  5. Chung JY,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ro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 J Community Nutr 12:417-425 

  6. Jun SM, Kwon SH, Park HK, Kim SH, Kwon KI, Jung HR. 2009. Consumers' use and demand of restaurant foods nutrition labeling. J Consumer Studies 20:279-306 

  7. Jung BD, Kim H. 2011. A study on analysis of factor influencing choice of the highway service area. J Korean Planners Association 46:299-307 

  8. Kim HS, Lee HS. 2013. An empirical analysis for sales and rent on expressway service areas. Korea Real Estate Review 23:35-52 

  9. Kim NY, Lee JS 2009. A study on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by age in Busan resi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801-1810 

  10. Kim SY, Lee JH. 2010. Effect of nutrition labeling use on consumers' food choices. J Consumer Studies 21:107-128 

  11. Kim WJ. 2006. Menu demand and menu choice factor of the restaurant customer at resting places on the highways. J Human Ecology 10:123-133 

  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I-1) pp. 429, 437, 555, 556 

  13. Kwon KI, Yoon SW, Kim SJ, Kang HN, Kim HN, Kim JY, Kim SY, Kim KY, Lee JH, Jung SM, Oek SW, Lee EJ, Kim JW, Kim MC, Park HK. 2010. A survey on customers' perceptions of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Korean J Nutr 43:181-188 

  14. Lee HY, Kim MK. 2008.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Koraen J Nutr 41:839-850 

  15. Lee MA, Yang IS. 2004. Analysis of customer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for new menus in multi-chain family restaurants. Korean J Community Nutr 9:734-741 

  16. Lee MY, Lee JW. 2011. Recognition and use of nutrition labeling among hamburger and pizza restaurant consumer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16:227-238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1. Nutrition label at highway rest area and restaurants.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 [cited 2015 September 23]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cited 2015 September 23] 

  19. Nielsen Sj, Soega-Riz AM, Popkin BM. 1996. Trends in energy intake in U.S. between 1977 and 1996 : Similar shifts seen across age groups. Obes Res 10:370-378 

  20. Nielsen Sj, Soega-Riz AM, Popkin BM. 2002. Trends in food locations and source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re Med 35:107-113 

  21. Shin DJ, Jung KW, Lee GC, Kwon KI, Kim JY, Kim JW, Moon GI, Park HK, Cho YM, Kim YK. 2010. Understanding and use of nutrition labeling based on one serving size among female consumer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5:725-733 

  22. Sohn CY. 2009.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on restaurant menus among adults in Suwon. Korean J Community Nutr 14:420-429 

  23. Suh YS, Kang JH, Kim HS, Chung YJ.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citizens by frequency of eating out. Korean J Nutr 42:171-180 

  24. Yoo JA, Jeong HS. 2011.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Korean J Food Nutr 24:282-290 

  25. You YJ, Kim YN. 2009. Survey of cookie consumption and nutrition labelling of cookie consumed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4:147-157 

  26. Yu KH, Kim MJ, Ly SY. 2012. A comparison of convenience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food habits: How female college students use nutrition labelings. Korean J Food Nutr 25: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