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일부 대학생의 영양표시 활용 실태 및 과자류 1회 제공량 기준 영양표시 인지도
Use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of Snacks based on One Serving Siz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5, 2015년, pp.858 - 865  

김미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연우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원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current nutrition labeling of processed foods and examine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of nutrition information given current nutrition labels, and also awareness of the one-serving size of snacks that come in differently sized packag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포장 크기가 다른 과자류의 영양표시 해독은 스낵류 중 일반 소비자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N사의 스낵 과자류 중 포장 크기가 다른 5종의 실물을 준비하여 실제 포장에 표시된 영양표시를 보고, 문항에 대한 답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하는 단계에서 영양표시의 해독과 이를 통한 제품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포장은 뜯지 않고 포장된 상태로 포장의 외형과 영양표시만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조사내용은 총열량, 1회 제공량당 열량, 총 제공횟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에서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이용실태 및 영양표시 관련 교육경험 여부를 조사하고, 포장 크기가 다른 과자류의 영양표시 정보 해독률을 조사하여 포장의 크기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영양정보 해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영양 표시제도의 개선점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북지역의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영양표시 활용실태 및 과자류의 1회 제공량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대학생의 과반수 이상이 영양성분 표시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이에 대한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은 낮아 영양성분 표시에 대한 교육이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의 이용 빈도가 높고, 영양표시에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20대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고, 이를 실생활에서 얼마나 확인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최근에 1회 제공량에 대한 혼란이 제기되고 있는 과자류 중 포장 크기와 제공횟수가 다른 5종을 선별하여, 포장에 표시된 1회 제공량을 올바르게 해독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영양표시의 활용도를 높이고, 1회 제공량 영양표시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의 이용 빈도가 높고, 영양표시에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20대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고, 이를 실생활에서 얼마나 확인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최근에 1회 제공량에 대한 혼란이 제기되고 있는 과자류 중 포장 크기와 제공횟수가 다른 5종을 선별하여, 포장에 표시된 1회 제공량을 올바르게 해독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회 제공량 당’ 영양표시의 요구사항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6년부터 제품의 ‘1회 제공량 당’ 함유된 영양성분의 값을 제공하도록 하는 새로운 영양성분표시제가 도입되었다(KFDA 2006). ‘1회 제공량 당’ 영양표시는 특정 식품군을 대상으로 식품유형별로 설정된 1회 제공기준량에 따라 영양성분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도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현행 1회 제공기준량은 2004년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2002년 계절별 국민영양조사의 식품섭취량 분석한 식품참고량 및 1회 분량 설정 연구를 통해 설정된 67개의 식품참고량을 근간(KHIDI & KFDA 2004)으로 식품공전상의 92개의 세부식품유형에 대하여 2005년 제정되었다.
‘1회 제공량 당’ 영양표시에서 참고하는 1회 제공기준량의 근간은? ‘1회 제공량 당’ 영양표시는 특정 식품군을 대상으로 식품유형별로 설정된 1회 제공기준량에 따라 영양성분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도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현행 1회 제공기준량은 2004년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2002년 계절별 국민영양조사의 식품섭취량 분석한 식품참고량 및 1회 분량 설정 연구를 통해 설정된 67개의 식품참고량을 근간(KHIDI & KFDA 2004)으로 식품공전상의 92개의 세부식품유형에 대하여 2005년 제정되었다. 이러한 1회 제공량 기준량을 기준으로, 1회 제공량은 1회 제공 기준량의 67~200% 미만의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KFDA 2006).
우리나라의 초기 영양표시의 문제는? 우리나라의 초기 영양표시는 100 그램(g)당 100 미리리터 (mL)당 또는 1 포장 당 함유된 값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어(식품등의 표시기준 (다) (1)), 소비자들이 정보를 혼동하거나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6년부터 제품의 ‘1회 제공량 당’ 함유된 영양성분의 값을 제공하도록 하는 새로운 영양성분표시제가 도입되었다(KFDA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tonuk B, Block LG. 2006. The effect of single serving versus entire package nutritional information on consumption norms and actual consumption of a snack food. J Nutr Educ Behav 38:365-370 

  2. Bae YJ. 2014.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 Based on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47:193-205 

  3. Chung JY,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417-425 

  4. FDA-2004-N-0258. 2014. Food labeling: Serving sizes of foods that can reasonably be consumed at one-eating occasion;Dual-column labeling; Updating, modifying, and establishing certain reference amounts customarily consumed; Serving size for breath mints; and Technical amendments. Federal Register 79:11989-12029 

  5. Jung HW, Jung LH. 2008. A study on use of processed food for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Human Ecology 11:21-33 

  6. Kim MH, Kim H, Lee WK, Kim SJ, Yeon JY. 2013.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18:372-385 

  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1995. Food Labeling Standards. 1995-67 

  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14a. Food Labeling Standards. 2014-19 

  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6. Food Labeling Standards. 2006-40 

  1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14b. High Calorie?Low Nutrition Food Standrds. 2014-32 

  1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DI),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Study on Determination of Reference Amounts of Food and Serving Size. 2004 

  12. Lando AM, Lo SC. 2013. Single-larger-portion-size and dualcolumn nutrition labeling may help consumers make more healthful food choices. J Acad Nutr Diet 113:241-250 

  13. Lee IS, Choi BS, You DR, Park YM. 2002.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the nutrition labels on food pack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7: 299-308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p 436 

  15. Shin DJ, Jung KW, Lee GC, Kwon KI, Kim JY, Kim JW, Moon GI, Park HK, Cho YM, Kim YK. 2010. Understanding and use of nutrition labeling based on one serving size among female consumer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5:725-733 

  16. Wansink B, Kim J. 2005. Bad popcorn in big buckets: portion size can influence intake as much as taste. J Nutr Educ Behav 37:242-245 

  17. Wansink B. 1996. Can package size accelerate usage volume? J Marketing 60:1-14 

  18. Won HR. 2010. A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food labeling system according to residence type in Won Ju provin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s 21:581-5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