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하여 담그는 전통 김치
A Study on Traditional Kimchi made with Heat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6, 2015년, pp.1033 - 1044  

안용근 (충청대학 식품영양외식학부) ,  문영자 (우송정보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초록

조선시대 김치는 재료를 가열하여 담그는 김치가 많았다. 소금이 비쌌기 때문에 소금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채소를 가열하여 세포벽을 파괴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맥이 끊겨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조선시대 김치 조리서를 분석하여 가열하여 담그는 김치를 밝혔다. 그 결과, 재료를 데쳐서 담그는 김치는 27가지였다. 김치가 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료를 백반물에 담그는 김치는 2가지, 재료를 석회물에 데쳐서 담그는 김치는 3가지였다. 재료를 식초로 가열하여 담그는 김치는 7가지, 재료를 삶아서 담그는 김치는 5가지, 재료를 볶아서 담그는 김치는 6가지, 재료를 소금에 볶아서 담그는 김치는 2가지, 재료를 쪄서 담그는 김치는 3가지였다. 잡균을 죽이고 유산균만 잘 번식하게 하기 위하여 끓인 담금액을 부어서 담그는 김치는 25가지였다. 말똥이나 두엄으로 김칫독을 가열하여 숙성시키는 김치는 17가지였다. 치아와 소화력이 좋지 않은 노인을 위한 익혀 담그는 김치는 7가지였고, 그 중 3가지가 숙깍두기였다. 노인용 김치인 채김치 3가지와 채깍두기 3가지도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Joseon period, kimchi was mostly made by heating the ingredients. Since salt was pricey at the time, in order to save salt and time, people used a method that involved destroying the cell wall by heating the vegetables. However, this method is no longer passed down. Thus, in this paper,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바닷물을 끓이는 자염(煮鹽) 방식으로 소금을 만들어서 생산량이 적고 운반도 어려웠기 때문에 소금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데치거나 볶아서 세포 벽을 파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소금이 비쌌기 때문에 소금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채소를 가열하여 세포벽을 파괴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맥이 끊겨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조선시대 김치 조리서를 분석하여 가열하여 담그는 김치를 밝혔다. 그 결과, 재료를 데쳐서 담그는 김치는 27가지였다.
  • 익혀서 담그는 김치는 노인을 위한 김치가 중심이지만, 본고에서는 폭을 넓혀서 가열하는 김치 전반은 물론, 노인용 채 김치까지 조사 분석하였다. 이들 김치를 노인과 환자를 위한 김치로 복원 ․ 개량하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병원과 노인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로 채소의 가격 안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 김치가 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료를 백반물에 담그는 김치는 2가지, 재료를 석회물에 데쳐서 담그는 김치는 3가지였다. 재료를 식초로 가열하여 담그는 김치는 7가지, 재료를 삶아서 담그는 김치는 5가지, 재료를 볶아서 담그는 김치는 6가지, 재료를 소금에 볶아서 담그는 김치는 2가지, 재료를 쪄서 담그는 김치는 3가지였다. 잡균을 죽이고 유산균만 잘 번식하게 하기 위하여 끓인 담금액을 부어서 담그는 김치는 25가지였다.
  • 조선시대 조리서에 실린 김치는 전통김치를 모두 풀이하여 분류한 전통김치 저서(Ann YG 2008)와 이성우(Lee SW 1992)가 영인한 한국고식문헌 집성집,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 필사본 토대연구 데이터베이스(http://ffr.krm.or.kr/base/td003/browse_bible.html)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 의궤, 공문서 등의 국고문헌, 한국문집총간, 국학원전, 경서경독 등의 김치는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http://db.

대상 데이터

  • html)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 의궤, 공문서 등의 국고문헌, 한국문집총간, 국학원전, 경서경독 등의 김치는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를 통하여, 의궤와 공문서 등의 김치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kyujanggak.snu.ac.kr)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조리서에 기록된 전통김치의 종류는 무엇인가? 이들 문헌을 제외한 조선시대 조리서에 기록된 전통김치는 섞박지, 무김치, 동치미, 당근김치, 순무김치, 오이김치, 가지김치, 오이-가지김치, 갓김치, 동아김치, 박김치, 마늘김치, 부들김치, 부추김치, 생강김치, 연근김치, 죽순김치, 육류김치, 생선김치, 기타 김치 등으로 분류된다(Ann YG 2008).
전통김치와 제작 방법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전통김치 중에는 조상들의 슬기로운 방법을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 소금 절약과 살균의 목적과 이가 약한 노인을 위하여 재료를 데치거나 볶거나 익혀서 담는 방법, 김치의 푸른색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전이나 유기그릇을 닦은 수세미를 넣는 방법, 김치가 무르지 않게 석회․백반․잿물을 넣는 방법, 우거지를 이용하여 골마지를 방지하는 방법, 현재는 사라진 술지게미형 김치와 식해형 김치, 무염김치를 만드는 방법 등이 있다(Ann YG 2008).
조선시대 김치는 재료를 가열하는 김치가 많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조선시대 김치는 재료를 가열하여 담그는 김치가 많았다. 소금이 비쌌기 때문에 소금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채소를 가열하여 세포벽을 파괴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맥이 끊겨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조선시대 김치 조리서를 분석하여 가열하여 담그는 김치를 밝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handong J. 1670. Wumsikdeemeeba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36-278. Suhaksa 

  2. Akiho GK. 1927. Gajeongyori. pp.55-56. Seongmoondang 

  3. Ann YG. 2005. Food Process and Preservation. pp.50-70. Hyoil 

  4. Ann YG. 2008. Traditional Korean Kimchi. pp.3-71. Kyomunsa 

  5. Author unknown. 1200. Geogapilyo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72-139. Suhaksa 

  6. Author unknown. 1680. Yorok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82-288. Suhaksa 

  7. Author unknown. 1795. Jusikba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534-544. Suhaksa 

  8. Author unknown. 1800a. Goonhakhoedeu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255-1282. Suhaksa 

  9. Author unknown. 1800b. Shieuijeonse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447-1522. Suhaksa 

  10. Author unknown. 1800c. Ryeokjoobangmoon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291-1307. Suhaksa 

  11. Bang SY. 1917. Chosunyorijebeop. pp.89-116. Sinmoonkwan 

  12. Bang SY. 1939. Yeoseong. 7:50-54. Chokwangsa 

  13. Bang SY. 1940. Yeoseong. 9:30-35. Chokwangsa 

  14. Bang SY. 1946. Chosunumsikmandununbeop. pp.420-462. Daeyanggongsa 

  15. Beengheogak LS. 1815. Gyuhapchongse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578-641. Suhaksa 

  16. Bingheogak LS. 1915. Booinpilji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526-1545. Suhaksa 

  17. Cho WK. 2010. A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radish kimchi. J Korean Society Food Culture 25:428-455 

  18. Choi HG. 1830. Nongjeonghoiy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933-997. Suhaksa 

  19. Dongailbo. 1922. 11. 6-1959. 11. 21. Dongailbosa 

  20. Ga SH. 530. Jeminyosul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55. Suhaksa 

  21. Ha SW. 1600. Jubangmoon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99-310. Suhaksa 

  22. Hong MS. 1715. Sanrimgyeongje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321-351. Suhaksa 

  23. Jeon SE. 1450. Sangayorok in Hong KY, Yoon TS. 2004. Gonogseogukyeokchongseo. pp.89. Nongchonjinhungcheong. 

  24. Jinju J. 1700. Wumsikb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315-320. Suhaksa 

  25. Jo JH. 1939. Chosunyoribeop. pp.65-80. Kwanghanseorim 

  26. Jo JS. 1994. Historical review of kimchi. J East Asian Society Dietary Life 4:93-108 

  27. Ju K. 1400. Guseonsineunse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42-187. Suhaksa 

  28. Kang HM. 1483. Sasichanyoch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88-198. Suhaksa 

  29. Kang W. 1691. Chisaengyoram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311-314. Suhaksa 

  30. Kim EJ, Hahn YS. 2008.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sauce-kimchi. Korean J Food Cookery Science 24:517-524 

  31. Kim S. 1500. Soounjapba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98-209. Suhaksa 

  32. Korea Classic Collection DB(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33. Kwon GH. 2004.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ition of kimchi. MS Thesis, Gyeongju University 

  34. Kyujanggak Institude for Korea Studies(kyujanggak.snu.ac.kr) 

  35. Lee CH, Ahn BS. 1995. Literature review on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 I. History of kimchi making. Korean J Dietary Culture 10:311-319 

  36. Lee GG. 1850. Ohjooyeonmoojangjeonsang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006-1175. Suhaksa 

  37. Lee GY. 1924. Chonsunmoossangsinsikyorijebeop. pp.128-139. Yeongchangseorim 

  38. Lee S, Ji MS, Kim HS. 2014. A study of cultural aspects of kimchi in Banchandeungsok. Korean J Food Cookery Science 30:486-497 

  39. Lee SM. 1934. GanpyeonChosunyorijebeop. pp.113-130. Sammoonsa 

  40. Lee SM. 1935. Shinyoengyangyoribeop. pp.151-178. Singookseorim 

  41. Lee WG. 1940. Chosunyori(Japanese). pp.23-40. Ilhanseobang Oh. 960. Joonggwerok 

  42. Park SD. 1676. Saekkyeo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79-281. Suhaksa 

  43. Park SO.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elderly-friendly Kkakdugi. MS Thesis, Sejong University 

  44. Seo HS. 1799. Haedongnongseo in No JJ, Yoon TS, Hong KS. 2004. Gonogseogukyeokchongseo. pp.87-147. Nongchonjinhungcheong 

  45. Seo ME. 1771. Gosasinse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478-499. Suhaksa 

  46. Seo YG. 1787. Gosashipeejip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352-373. Suhaksa 

  47. Seo YG. 1800. Onghuijapjee 

  48. Seo YG. 1827. Imwonshipyookjee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642-794. Suhaksa 

  49. Shin S. 1655. Nonggajeepseong in Shin S. 2004. Gonogseogukyeokchongseo. pp.166. Nongchonjinhungcheong 

  50. Son JG. 1948. Woorieumsik. pp.20-49. Samjoogdang 

  51. Wang SJ. 1621. Goonbangbo 

  52. Yoo JL. 1766. Jeungbosanrimgyeongje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404-458. Suhak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