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해안 저소성 준설매립 지반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with Low Plasticity from Western Coastal Site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4 no.4, 2015년, pp.97 - 104  

정상국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ongw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제 현장에서 준설매립공사를 수행하기 전의 설계 단계에서, 연약지반 개량설계를 수행할 때, 압축지수와 비배수 전단강도와 같은 설계정수를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최적공사비 산정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 준설매립 현장에서 실시된 원위치 전단강도시험 및 불교란 시료 채취를 통해서 압밀 및 강도정수를 평가하였다. 이때, 배사관을 이용한 준설매립방법으로 투기된 준설매립층의 함수비 및 압축지수는 원지반 조건보다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압밀시험에 의해 준설매립지반의 압축지수와 함수비의 관계, 원위치 베인전단 시험으로 비배수 전단강도와 함수비의 관계를 각각 평가하였으며, 저소성 실트지반에 대한 Schmertmann의 압축지수 보정방법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실제 침하량과 설계 예측침하량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carrying out design for soft ground improvement before reclamation of dredged soil,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priately evaluate design parameters such as compression index and undrained strength in order to estimate optimum construction cost. In this study, consolidation and strength parame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러나, 국내에서는 전체 공정에 해당되는 설계를 완료한 후에 공사가 착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준설매립 후 투기완료된 지반조건을 어떻게 하면 보다 실제상황에 부합하도록 예측하느냐에 따라 전체공사일정 및 공사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준설매립이 이루어진 유사현장들에서 투기완료 후 현장조사를 통해서 실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지반개량 설계 시 필요한 설계정수(비배수전단강도, 압축지수, 압밀계수, 투수계수)를 산정한 후 이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그리고, 여수토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연약한 토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위치별 토질특성은 인천북항, 인천송도 6, 8공구, 국제업무지구 등에서 준설토 투기완료 후 실시된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Fig.
  • (2008, 2014). 우선 준설매립지반의 표층부에서 지반개량 시 장비주행성 확보여부에 대한 평가를 위해 요구되는 심도별-비배수 전단강도를 현장에서 실시된 베인시험 및 피에조콘 관입시험, 실내에서 실시된 일축압축시험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침하량 산정 시 필요한 함수비, 압축지수, 압밀계수 등을 실내압밀시험을 통해서 산정하였다.
  • 원지반에서 실시된 지반조사결과를 토대로 압밀정수인 압축지수, 압밀계수 등을 산정하게 되지만, 실제 시공이 이루어지기 전에 준설매립지반에서 이러한 설계정수를 합리적으로 평가 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실제 상황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준설토가 투기 완료된 유사현장에서 배사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여수토 위치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압밀시험을 실시하였다. Fig.
  • 따라서, 지반개량을 위해 장비주행성 확보를 위한 별도의 표층처리공법의 필요성을 검토해야 된다. 표층처리 및 지반개량을 위해 이용되는 주요장비의 표층 접지압은 Table 1과 같으며, PBD 타입장비의 무게는 60ton으로 상당한 접지압이 작용되므로, 표층처리에 대한 비용절감 차원에서 폭 6m, 길이 10m 제원의 경량 보강판 사용 시에 대한 값을 적용하였다.
  •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이구역과 여수토 구역에서는 장비주행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것으로 검토된 반면에 일반구역에서는 별도의 표층처리공법이 필요 없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한편, 일반구역에서는 별도의 표층처리공법이 필요 없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나, 확실한 장비주행성 확보 및 재하성토 시공중 안정성을 위해 저면매트 98kN/m를 포설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으며, 수평 배수층인 샌드매트와 재하토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구역에 분리용 매트 49kN/m를 포설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준설투기 위치에 따라 강도정수(점착력)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은 정수값을 적용하여 지지력을 산출하였다.
  • 한편, 일반구역에서는 별도의 표층처리공법이 필요 없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나, 확실한 장비주행성 확보 및 재하성토 시공중 안정성을 위해 저면매트 98kN/m를 포설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으며, 수평 배수층인 샌드매트와 재하토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구역에 분리용 매트 49kN/m를 포설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준설투기 위치에 따라 강도정수(점착력)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은 정수값을 적용하여 지지력을 산출하였다.
  • 한편, 연약지반 압밀과정에서 발생하는 간극수의 원활한 배수를 통한 압밀지연 방지를 위해 계획된 수평배수층인 샌드매트를 매립토 특성에 따라 일부구간에서 포설하지 않도록 계획하였으며, 이와 같은 조건에서도 원활한 간극수 배출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 Schmertmann(1953) 보정방법은 1950년대에 만들어졌으므로 그 당시의 시료채취 기술과 현재 약 60년이 지난 시점에서의 지반조사 기술은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점토지반에 대해 많은 실험을 통해서 제시된 보정방법을 저소성 지반조건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유사 준설매립 현장에서 실시된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강도 및 압밀정수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설계단계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준설투기가 진행되기 전에 준설매립이 완료된 상태를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 본 연구에서는 준설매립이 완료된 현장에서 현장베인시험으로 얻어진 강도특성 및 불교란 시료채취 후 실내시험을 통해 평가된 압밀정수의 적용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대상 데이터

  • 대상위치는 인천 송도경제자유구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현장으로 안벽 및 호안시공 후 배면에 준설매립을 완료한 다음 지반개량을 실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해안 지역에 위치한 부산 및 광양지역과 비교할 때 서해안에 위치한 인천지역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조위치가 약 9m 이상으로 매우 크며, 압축성이 비교적 낮은 저소성 실트질 지반특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론/모형

  • Terzaghi(1967) 지지력식을 이용하여 국부전단파괴조건에서 일반구역, 전이구역, 여수토 구역에서의 습지도져에 대한 장비주행성을 검토하였다.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이구역과 여수토 구역에서는 장비주행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것으로 검토된 반면에 일반구역에서는 별도의 표층처리공법이 필요 없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준설작업시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 인천 및 새만금 등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준설매립을 통한 부지조성 공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준설작업은 해성점성토로 구성된 원지반토를 펌프준설로 배사관을 이동시키면서 매립을 진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투기된 준설토는 원지반 점성토와 비교할 때 고함수비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침강 및 자중압밀 과정을 거치게 된다. Imai(1980)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점토입자의 침강형태는 자중압밀침강, 간섭침강, 응집성 자유침강, 단독입자 자유침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투기된 준설토가 침강 및 자중압밀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인천 및 새만금 등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준설매립을 통한 부지조성 공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준설작업은 해성점성토로 구성된 원지반토를 펌프준설로 배사관을 이동시키면서 매립을 진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투기된 준설토는 원지반 점성토와 비교할 때 고함수비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침강 및 자중압밀 과정을 거치게 된다. Imai(1980)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점토입자의 침강형태는 자중압밀침강, 간섭침강, 응집성 자유침강, 단독입자 자유침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준설 매립된 지반의 예측해석시 통상적으로 침강과정이 무시되고 자중압밀과정만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Yano(1985)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상, 펌프로 준설된 토사의 함수비는 1,000% 정도이며, 해상에 투기되는 경우, 준설토의 함수비가 2,000% 정도에 이르고, 이 정도의 함수비를 갖는 점토는 간섭침강으로 분류되는 침강형태를 띄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응집 침강 과정을 거친 후 점토입자는 자중압밀과정에 놓이게 된다. 점토의 침강과정에 관한 이론적・실험적인 검토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응집·침강과정은 그 이후에 진행되는 자중압밀과정과 비교할 때 상당히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준설 매립된 지반의 예측해석은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침강과정을 무시하고 자중압밀과정만을 대상으로 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m Sangkwi, Yea Geuguwen, Kim, Kilsu, Kim, Honeyeon., (2011), Compression Characteristics among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Marine Clays - Incheon.Mokpo.Gwangyang.Busan,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2, No.6, pp. 43-51. 

  2. Imai. G., (1980). Settling behavior of caly suspension, Soils and Foundations 20(2), pp.61-77. 

  3. Egashira, K, Iwataki, K., Sato, T., Katagiri, M., and Yoshifuku, T. (2002), Predition and assessment of reclamation by dreged and marine clay, Journal of JSCE, No.715, III-60, pp.147-164. 

  4. Samsung C&T. (2008). Report on geotechnical investigation,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project at Incheon new port, pp.40-53. 

  5. Samsung C&T. (2014). Report on geotechnical investigation after dredged and reclamation and settlement monitoring,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project at Incheon new port, pp.88-93. 

  6. Schmertmann J. H. (1953). Estimating the true consolidation behavior of clay from laboratory test results, Proceedings ASCE 79, pp.1-26. 

  7. Terzaghi K. (1967). Soil mechanics in engineering practice, 2nd ed, Wiley, pp.72-83. 

  8. Yano. K., (1985). Properties of very soft ground reclaimed by dredged marine clay and their prediction, Journal of Japanese society civil engineers 365(4),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