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4 no.4, 2015년, pp.97 - 104
When carrying out design for soft ground improvement before reclamation of dredged soil,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priately evaluate design parameters such as compression index and undrained strength in order to estimate optimum construction cost. In this study, consolidation and strength parame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준설작업시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 최근 인천 및 새만금 등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준설매립을 통한 부지조성 공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준설작업은 해성점성토로 구성된 원지반토를 펌프준설로 배사관을 이동시키면서 매립을 진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투기된 준설토는 원지반 점성토와 비교할 때 고함수비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침강 및 자중압밀 과정을 거치게 된다. Imai(1980)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점토입자의 침강형태는 자중압밀침강, 간섭침강, 응집성 자유침강, 단독입자 자유침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 |
투기된 준설토가 침강 및 자중압밀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최근 인천 및 새만금 등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준설매립을 통한 부지조성 공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준설작업은 해성점성토로 구성된 원지반토를 펌프준설로 배사관을 이동시키면서 매립을 진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투기된 준설토는 원지반 점성토와 비교할 때 고함수비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침강 및 자중압밀 과정을 거치게 된다. Imai(1980)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점토입자의 침강형태는 자중압밀침강, 간섭침강, 응집성 자유침강, 단독입자 자유침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 |
준설 매립된 지반의 예측해석시 통상적으로 침강과정이 무시되고 자중압밀과정만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 Yano(1985)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상, 펌프로 준설된 토사의 함수비는 1,000% 정도이며, 해상에 투기되는 경우, 준설토의 함수비가 2,000% 정도에 이르고, 이 정도의 함수비를 갖는 점토는 간섭침강으로 분류되는 침강형태를 띄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응집 침강 과정을 거친 후 점토입자는 자중압밀과정에 놓이게 된다. 점토의 침강과정에 관한 이론적・실험적인 검토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응집·침강과정은 그 이후에 진행되는 자중압밀과정과 비교할 때 상당히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준설 매립된 지반의 예측해석은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침강과정을 무시하고 자중압밀과정만을 대상으로 하게 된다. |
Kim Sangkwi, Yea Geuguwen, Kim, Kilsu, Kim, Honeyeon., (2011), Compression Characteristics among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Marine Clays - Incheon.Mokpo.Gwangyang.Busan,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2, No.6, pp. 43-51.
Imai. G., (1980). Settling behavior of caly suspension, Soils and Foundations 20(2), pp.61-77.
Egashira, K, Iwataki, K., Sato, T., Katagiri, M., and Yoshifuku, T. (2002), Predition and assessment of reclamation by dreged and marine clay, Journal of JSCE, No.715, III-60, pp.147-164.
Samsung C&T. (2008). Report on geotechnical investigation,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project at Incheon new port, pp.40-53.
Samsung C&T. (2014). Report on geotechnical investigation after dredged and reclamation and settlement monitoring,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project at Incheon new port, pp.88-93.
Schmertmann J. H. (1953). Estimating the true consolidation behavior of clay from laboratory test results, Proceedings ASCE 79, pp.1-26.
Terzaghi K. (1967). Soil mechanics in engineering practice, 2nd ed, Wiley, pp.72-83.
Yano. K., (1985). Properties of very soft ground reclaimed by dredged marine clay and their prediction, Journal of Japanese society civil engineers 365(4), 1-14.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