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 폴리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재고 - 제 1차 광주폴리를 중심으로 -
A Critical Reconsideration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Follies in Gwangju - Focused on the First Gwangju Follie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6, 2015년, pp.41 - 51  

한성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조경학부 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조성된 폴리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강화하고, 공동화 되어가는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도시 재생적 목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애초의 목적과는 달리 옛 읍성 터 가장자리에 조성된 10여개의 폴리는 주변 상인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보행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활발한 이용 대신 방치되어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정적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폴리와 주변공간을 활성화하여 도시재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폴리들 간의 물리적 통일감을 부여하는 맥락이 없으며, 각각의 독립된 작가 중심의 작품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의 부족, 그리고 폴리 형성과정에서 시민과의 교감이 부족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폴리조성 본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결정적 해법으로써 폴리에 인간의 활동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인간 활동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효과적 방안으로 스트리트 퍼포먼스(street performance)를 제안하였다. 원래 폴리라는 시설물은 어떠한 특정 활동이 정해진 공간이 아니나, 현재와 같이 그것이 이용되지 못하고, 외면 당하거나 방치될 때 스트리트 퍼포먼스의 적용은 부정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광주폴리에 새로운 관계맺음, 창의적인 활동의 무대, 일상의 공간 등의 영역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현재 광주시가 최근 선보인 2차 폴리는 도서관, 화장실과 같은 명확한 목적을 가진 구조물 및 소규모 이동식 포장마차 등으로서 1차 폴리와는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1차 폴리는 개관을 앞 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이나 철거가 되지 않고, 일부 폴리는 직접 아시아문화전당을 전망할 수 있는 설치물임에 따라 이들 폴리에 대한 지속적이며 효율적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계속될 100여개의 폴리 설치계획에 의미 있는 지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Follies that were constructed for the Gwangju-Biennale were for urban regeneration, to activate the empty old-town areas, and to strengthen the tradition and sense of place of the city. However, the ten Follies constructed around the wall of the old castle reveal many problems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도시재생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 장소의 역사성을 강화한다는 목적 아래 조성된 십여 개의 폴리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을 조사, 파악하고, 둘째, 도출된 문제점들을 다각적으로 해석하여 현재 야기되고 있는 부정적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석하며, 셋째, 각 폴리와 주변공간의 특성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구도심의 폴리 및 주변 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구도심 재생은 최근 많은 관심과 함께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다수 논의되고 있는데, 광주의 경우 폴리라는 매체를 통하여 구도심의 역사성을 강화하고, 동시에 침체된 구도심을 활성화 시키고자 의도한 사례인 바, 본 연구는 구도심 활성화와 같은 도시 재생적 차원에서 폴리 혹은 조형물, 나아가 도시 공공미술이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놓쳐서는 안 될 핵심적인 기능 및 의미를 광주 폴리 조성 사례의 부정적 결과와 그 원인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 활동을 이끌어 내는 매개로 다양한 스트리트 퍼포먼스(street performance)가 문화적 도시재생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폴리의 당초 목적과 그 기능을 회복하고, 공간의 역사·정치·문화적 맥락과 결합하는 긍정적인 촉매 활동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광주 비엔날레 참여 작품으로서 다양한 국가 출신의 유명 작가들에 의해 광주 구도심의 옛 읍성 터 가장자리를 대상으로 조성된 십여 개의 제 1차 폴리들이 설치된 이후, 그 주변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을 고찰하고, 현재 문제시 되고 있거나, 부정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도시재생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 장소의 역사성을 강화한다는 목적 아래 조성된 십여 개의 폴리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을 조사, 파악하고, 둘째, 도출된 문제점들을 다각적으로 해석하여 현재 야기되고 있는 부정적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석하며, 셋째, 각 폴리와 주변공간의 특성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구도심의 폴리 및 주변 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구도심 재생은 최근 많은 관심과 함께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다수 논의되고 있는데, 광주의 경우 폴리라는 매체를 통하여 구도심의 역사성을 강화하고, 동시에 침체된 구도심을 활성화 시키고자 의도한 사례인 바, 본 연구는 구도심 활성화와 같은 도시 재생적 차원에서 폴리 혹은 조형물, 나아가 도시 공공미술이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놓쳐서는 안 될 핵심적인 기능 및 의미를 광주 폴리 조성 사례의 부정적 결과와 그 원인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1차 폴리 활성화 방안들과 최근 설치된 2차 폴리에 대한 현황과 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차 폴리의 형태 및 공간적 특성별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10개의 1차 광주 폴리 각각의 구조물과 그 주변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에 대해 관찰하고, 디자인과 공간과의 관련성, 이용자들의 행태, 주변 건물과의 마찰 및 안전성 등 현재 진행형 및 잠재적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폴리와 폴리 주변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고 장소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폴리 및 주변 공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광주 폴리 조성 후의 현상에 대한 객관적 해석 및 담론의 필요성과 함께, 향후 도시 재생적 차원에서 폴리 조성과 같은 매체 활용 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광주 구도심의 활성화와 역사성 및 장소성 강화라는 폴리 조성의 애초의 목적 아래, 광주 폴리라는 존재가 현재 도심 공간에서 어떠한 현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추적하고,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근본적 원인에 대하여 일련의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0개의 1차 광주 폴리 각각의 구조물과 그 주변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에 대해 관찰하고, 디자인과 공간과의 관련성, 이용자들의 행태, 주변 건물과의 마찰 및 안전성 등 현재 진행형 및 잠재적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폴리와 폴리 주변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고 장소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폴리 및 주변 공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10개의 폴리와 주변공간을 조사, 분석한 결과, 공간의 특성을 첫째, 오브제(object)적, 정적·수동적 공간(열린 장벽, 99칸, 유동성 조절), 둘째, 행위 유발적, 동적·적극적 공간(광주 사랑방, 열린 공간, 잠망경과 정자, 소통의 오두막, 서원문 제등의 서원문), 셋째, 방치되고 존재감이 없는 공간(기억의 현재화)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공간별 특성에 따른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이용자의 활동을 유도하는 방안, 즉 폴리라는 물리적 환경에 인간의 활동과 그에 따른 의미 형성의 매개로서 본 연구는 스트리트 퍼포먼스를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광주 비엔날레 참여 작품으로서 다양한 국가 출신의 유명 작가들에 의해 광주 구도심의 옛 읍성 터 가장자리를 대상으로 조성된 십여 개의 제 1차 폴리들이 설치된 이후, 그 주변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을 고찰하고, 현재 문제시 되고 있거나, 부정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도시재생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 장소의 역사성을 강화한다는 목적 아래 조성된 십여 개의 폴리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을 조사, 파악하고, 둘째, 도출된 문제점들을 다각적으로 해석하여 현재 야기되고 있는 부정적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석하며, 셋째, 각 폴리와 주변공간의 특성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구도심의 폴리 및 주변 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 여기서 말하는 스트리트 퍼포먼스는 일반적인 퍼포먼스의 개념이나 정의에서 더욱 확장하여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를 설정하였다. 즉, 스트리트 퍼포먼스의 개념을 단순히 연행(演行)적인 활동(Activity)에만 국한하지 말고, 배너(banner)나 만장 등의 설치, 설치미술이나 이를 활용한 이벤트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부가활동도 포함하여 그 개념을 넓힐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주시의 구도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광주시의 구도심은 현재 우리나라 여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 중 하나인 구도심 낙후 현상, 즉, 구도심의 건물 및 시설 등의 물리적 환경이 노후되고 이용자들이 줄어들어 예전의 활기를 잃고 점차 낙후되는 도심 공동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광주 구도심 공간에 2011년 광주 비엔날레 행사의 일환으로 구도심, 특히 옛 읍성 터의 역사성과 장소성의 강화를 목적으로 세계 각국의 작가들이 옛 읍성 터 가장자리에 십여 개의 폴리(Folly)를 조성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조성된 폴리의 목적은 무엇인가?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조성된 폴리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강화하고, 공동화 되어가는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도시 재생적 목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애초의 목적과는 달리 옛 읍성 터 가장자리에 조성된 10여개의 폴리는 주변 상인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보행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활발한 이용 대신 방치되어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조성된 폴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조성된 폴리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강화하고, 공동화 되어가는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도시 재생적 목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애초의 목적과는 달리 옛 읍성 터 가장자리에 조성된 10여개의 폴리는 주변 상인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보행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활발한 이용 대신 방치되어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정적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폴리와 주변공간을 활성화하여 도시재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ang, H. J.(2014) A study on the case of Folly project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fter Parc de la Villett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3): 146, 147, 150. 

  2. Kim, S. J.(2011) 유럽의 건축을 말한다. 건설경제 

  3. Kim, Y. J.(2013)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Place Interventional Public Art : Focused on Graffiti Arts around Asian Culture Complex.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Korea. 

  4. Landry, C.(2006) The Art of City Making, Routledge 

  5. Pollcok, V. L. and R. Paddison(2010) Embeding public art: Practice, policy and problems. Journal of Urban Design 15(3): 35-336. 

  6. Relph, E.(1976) Place and Place, Pion Limited. 

  7. Seung, H. S.(2011) 광주폴리, 보이지 않는 것들의 재현. JEONGYE.C Publisher. 

  8. Zoh, K. J.(2014) The coordinated public art strateg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Case studies of beyond Leische Rijn, muster sculpture project and Chicago Millennium Park public art. Urban Design 15(1): 89. 

  9. http://eng.gwangjufolly.org 

  10. http://www.cnews.c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