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상숲의 중요도-만족도 평가 - 광주광역시 중학교를 대상으로 -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Meditation Forest in Schools - Focusing on Middle Schools in Gwang-Ju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4, 2019년, pp.68 - 80  

강태순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정문선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교 명상숲의 물리적 환경특성과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중요도-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향후 중학교 명상숲 조성에서 이용자 중심의 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명상숲 대상지의 부지특성, 자연성 기능성, 효과성을 바탕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24항목을 선정하였다. 광주광역시의 중정형 A, B 중학교 두 곳에서 대상지 현황조사분석과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명상숲에 대한 인식과 이용정도는, 두 학교 모두에서 학생의 명상숲 인식정도와 이용률이 교사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교 간 집단비교 결과는 A학교가 B학교에 비해 이용 및 인식정도가 매우 양호하였다. 둘째, 명상숲 이용행태는 휴식(49.6%), 주중 점심시간(63.6%), 친구(65.0%) 또는 동료(60%)와 함께 10분 이하(68.6%)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이 피는 식물(30.0%)과 녹음수(28.9%)를 좋아하며, 주로 쉼터(57.9%)와 산책로(37.1%)를 이용하였다. 셋째, 중요도,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 24개 항목에 대한 평균은 중요도(3.81)가 만족도(3.62)보다 높았다. I사분면(지속적 유지)의 항목들은 9개, II사분면(우선적 시정)의 항목들은 3개, III사분면(관리운영 시 저우선순위)의 항목들은 7개, IV사분면(과잉노력의 지양)의 항목들은 5개이다. 두 학교 간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16개 항목에 대해서 A학교 만족도가 B학교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A학교 명상숲에 규모가 더 큰 숲과 산책로가 확보되어 있고, 접근성이 더 용이하며, 다양한 식재유형 및 식재면적이 제공되고 있어 B학교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전반적 만족도 분석결과에서 A학교(68.0%)와 B학교(47.2%)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A학교의 주요 만족공간인 산책로와 쉼터가 B학교보다 더 잘 조성되어 있어 만족도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를 대상으로 한 가장 만족하는 공간의 순위로 산책로(1위), 쉼터(2위)가 선정되었고, 만족하는 이유는 A와 B학교 모두 휴식(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함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user-oriented design for a middle school meditation forest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existing middle school meditation forests, the users' utilization behavior, and the degree of the importance satisfaction.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명상숲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중요도-만족도 등을 파악하여 향후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명상숲 공간의 계획 및 설계 시 이용자 의견을 반영한 설계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명상숲의 공간유형별 물리적 환경특성을 조사하고,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결과를 통합하여 중학교 명상숲의 공간 구성요소 및 조성환경의 특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명상숲 평가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 결과, 학교부지의 물리적 특성, 숲의 조성(공간, 식재 및 시설), 숲의 효과와 기능, 관리방안 및 운영프로그램에 관한 평가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상숲 대상지의 부지특성, 자연성(식재기법 및 수종 구성), 기능성(공간 구성, 시설 적합성 등), 효과성(교육, 정서함양)을 바탕으로 명상숲 평가를 위한 지표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중학교 명상숲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중요도-만족도 등을 파악하여 향후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명상숲 조성시 고려해야할 기본요소 및 방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명상숲의 공간유형별 물리적 환경특성과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결과를 통합하고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향후 중학교 명상숲 조성을 위해 기존에 조성된 중학교 명상숲 이용자를 대상으로 명상숲의 이용행태,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여 이용자 중심의 명상숲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평가지표의 개발에 있어서 식재의 구조 및 수종 다양성, 숲의 자연스러움 등 명상숲의 물리적 설계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여 이에 대한 학생 및 교사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의 명상숲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공간적 범위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총 14개소(2019년 기준: 초등학교(8개소), 중학교(3개소), 고등학교(3개소))의 명상숲이 조성된 학교 중 중학교를 중심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방법은 크게 이론적 고찰, 현황조사, 설문조사와 분석으로 나뉜다. 우선 학교 명상숲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위해 명상숲의 개념과 설문항목 도출에 위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 Satisfaction Analysis: ISA)은 Martilla and James(1977)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이용자 스스로가 평가한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만족도를 실행격자의 4사분면상에 나타내는 것이다(L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청이 도시림 기본계획에 따라 명상숲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이유는? 도시의 생태 네트워크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학교의 녹지공간은 ‘학교 숲 가꾸기 운동’, ‘아름다운 학교숲 만들기‘, ‘학교 안 작은 숲속 만들기’, ‘명상숲 조성사업’ 등 다양한 이름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특히 산림청은 도시림 기본계획에 녹색의 양과 질의 향상을 위하여 명상숲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Yang, 2018), 사업대상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제2조 및 제60조의 3에 해당하는 학교(초․중등학교, 공민학교, 고등공민학교, 고등기술학교, 특수학교, 대안학교 등)로 대상면적 500m2 이상으로 하고, 학교구성원 등이 설계·시공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서에 반영할 것을 조성사업시행지침에 명시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4).
학교의 녹지공간의 다양한 이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도시의 생태 네트워크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학교의 녹지공간은 ‘학교 숲 가꾸기 운동’, ‘아름다운 학교숲 만들기‘, ‘학교 안 작은 숲속 만들기’, ‘명상숲 조성사업’ 등 다양한 이름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특히 산림청은 도시림 기본계획에 녹색의 양과 질의 향상을 위하여 명상숲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Yang, 2018), 사업대상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제2조 및 제60조의 3에 해당하는 학교(초․중등학교, 공민학교, 고등공민학교, 고등기술학교, 특수학교, 대안학교 등)로 대상면적 500m2 이상으로 하고, 학교구성원 등이 설계·시공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서에 반영할 것을 조성사업시행지침에 명시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4).
학생들에게 명상숲 조성사업에 따른 효과는 어떠한가? 명상숲이 조성된 학교의 학생들은 적대감, 행동공격성, 분노감 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폭력 예방에 유용하다고 평가되었고(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명상숲에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에너지, 쾌락, 즐거움 등 긍정적 정서는 향상되며, 스트레스, 분노지수가 감소함을, 특히 ADHD(주의력결핍행동장애) 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oe and Aspinal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rowing Gardens (2016) Portland school garden assessment. http://www.growing-gardens.org/wp-content/uploads/2017/01/SchoolGardenSurveyReportFinal.pdf 

  2. Hue, Y. S., S. K. Lee, Y. K. Sim, I. H. Kim, K. S. Han, S. Yoon, C. G. Oh and Y. S. Jung (2014) A study on the composition principl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forest movement: Based on the performance in 15 years and value of school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27 (2): 174-186. 

  3. Jang, C. K., S. G. Jung, J. S. Jang, K. T. Kim and J. H. Oh (2009) The direction of school forest plans considering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 (4): 42-51. 

  4. Jang, D. S. and K. S. Sin (2010) A study on the planting index of school forest: The case of Gyeonggid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 (6): 12-18. 

  5. Kang, S. M., J. H. Lee and Y. O. Jeong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perience activity using school forest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 (2): 105-124. 

  6. Kim, I. H., S. J. Choi and S. H. Lee (2000) 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y and state of school forest movemen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000 13 (1): 111-121. 

  7. 10.5322/JESI.2018.27.7.519 Kim, J. H., S. H. Lee and Y. H. Yoon (2018) 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student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7 (7): 519-529. 10.5322/JESI.2018.27.7.519 

  8. Kim, S. and D. J. Kim (2014) Effect of the school forest satisfaction on the school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 (4): 49-62. 10.34272/forest.2014.18.4.005 

  9. Korea Forest Service (2014) Meditation Forest Guideline. 

  10. Korea Forest Service (2018) Meditation Forest Design Guideline. 

  11.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The Effects of School Forests on Children and Youth. Forest Policy Issue No. 13. 

  12. Kuk, J. H., Y. H. Yoon, B. J. Park and W. T. Kim (2008) Effects of school forest on satisfaction with greenspa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 (4): 57-66. 

  13. Lee, A. R., S. C. Kim, H. J. Lee and B. J. Park (2012) Effects of school forest on middle schools student's satisfactin with school landscaping.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 (3): 73-79. 10.34272/forest.2012.16.3.008 

  14. Lee, S. G., J. S. Jang, S. G. Jung and J. H. You (2009)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 using triangular fuzzy numb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 (3): 1-10. 

  15. Lim, H. J., M. W. Lee and M. S. Jeong (2015) User assessment about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of Jeonjuche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 (3): 217-232. 10.14249/eia.2015.24.3.217 

  16. 10.1177/002224297704100112 Martila, J. A. and J. C. James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 (1): 77-79. 10.2307/1250495 10.1177/002224297704100112 

  17. 10.1016/j.ufug.2011.03.003 Roe, J. and P. A. Aspinall (2011) The restorative outcomes of forest school and conventional school in young people with good and poor behaviour.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0 (3): 205-212. 10.1016/j.ufug.2011.03.003 

  18. Song, J. H. and H. C. Lee (2018)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tu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1 (3): 182-192. 

  19. Yang, G. M. (2018)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the Meditation Forest.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Korea. 

  20. Yun, H. J., J. S. Byeon and I. H. Kim (2008) A study on the value analysis of school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 (3): 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