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벤치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개인적 거리 - 여의도 공원을 대상으로 -
Use Behaviour and Personal Distance of the Bench Users in Urban Parks - Focused on Yeouido Park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6, 2015년, pp.52 - 61  

윤희정 (강원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김현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  신상현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인적 거리는 동시대 도시민들의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 사회심리적 수용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심리학의 기초개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 조경공간 중 하나인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벤치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개인적 거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의도 공원의 벤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Blind observation과 Pictorial analysis를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남성과 여성그룹의 경우 평균 개인적 거리가 47.5cm로 가장 짧았고, 여성 집단의 경우 53.2cm, 남성집단의 경우 70.3cm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전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한 개인적 거리 연구들을 대부분 지지하지만, 일부의 경우 한국인이 개인적 공간과 영역성이 더 좁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sonal distance is one of the basic and important concept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sychology in influencing personal space, visible or invisible territoriality and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contemporary urban dwell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ench users' behaviour and per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사적 공간에서의 개인적 거리는 공간의 너비와 높이 같은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침실 등을 조성할 때에도 최소주거기준 같은 환경심리적 기준이 이미 반영되어 있어, 사적 공간에서의 이용행태 및 이용자간 거리측정은 연구적 함의가 적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적 공간인 도시공원이,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이용자간 개인적 거리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대상지라고 판단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도시의 대표 조경공간 중 하나인 도시공원에서, 도시공원의 벤치를 이용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벤치 이용행태와 벤치 내에서의 개인적 거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한민국의 도시공원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개인적 거리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현대도시의 대표 조경공간 중 하나인 도시공원에서, 도시공원 벤치를 이용하는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용행태와 개인적 거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환경심리학이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서양의 실내환경에서 조사한 연구 결과가 활용되고 있다.
  • 또한 서양의 구체적인 평균거리는 일상 공간이 아닌 실내공간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거나, 의자간격만으로 측정된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도시 조경공간, 즉 도시공원에서 도시공원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인적 거리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가설 설정

  • 문화적 거리(cultural distance)는 국제경영 및 관광 등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문화적 배경이 유사할수록 개인의 선호와 이에 기반한 선택이 유사하다고 가정한다. 문화적 거리는 대부분 국가의 범위에 기초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행태란? 인간의 행태(behaviour)는 단순히 관찰되는 일시적 혹은 특수적 행위(activity)가 아닌, 환경에 대한 지각(perception)과 인지(cognition)를 통해 형성되는 복합적이고 함축적인 일련의 과정이자 결과이다. 인간의 행태는 개인공간인 가정에서부터 다양한 사회적 공간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접하는 모든 공간 위에서 이루어지며,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따라 행위의 내용과 빈도 등이 모두 달라진다.
영역성이란? 영역성(territoriality)은 고도로 복잡한 행태개념으로, 생존을 위한 방어공간이자 점유공간으로 이해된다(임승빈, 2008: 161-162: 재인용; Sommer, 1969). Altman(1975)은 영역성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 프라이버시와 배타성이 높은 1차적 영역, 소속원들이 공동으로 점유하는 교실과 같은 2차적 영역, 공원이나 광장 등 배타성이 낮은 공적 공간(public space)인 3차적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Altman가 구분한 영역성 분류체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영역성(territoriality)은 고도로 복잡한 행태개념으로, 생존을 위한 방어공간이자 점유공간으로 이해된다(임승빈, 2008: 161-162: 재인용; Sommer, 1969). Altman(1975)은 영역성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 프라이버시와 배타성이 높은 1차적 영역, 소속원들이 공동으로 점유하는 교실과 같은 2차적 영역, 공원이나 광장 등 배타성이 낮은 공적 공간(public space)인 3차적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영역성 분류체계는 현재까지 환경심리학 연구분야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으며, 물리적 영역의 특성과 이용자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분류기준으로 이해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kerlof, G. A. (1997) Social distance and social decisions. Econometrica 65(5): 1005-1027. 

  2. Altman(1975)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Privacy, Personal Space, Territory, and Crowding. Californi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3. Bell, P. A., J. D. Fisher and R. J. Lomis (1978) Environmental Psych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4. Bohnet, I. and B. S. Frey (1999) Social distance and other-regarding behavior in dictator games: Com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89(1): 335-339. 

  5. Bogardus, E. S. (1933) A social distance scale. Sociology & Social Research 17: 265-271. 

  6. Cho, Y-G. (2004) A study of the partnership structure on performance of IJVs. Review of International Management 8(2): 73-89. 조영곤(2004) 국제합작투자의 파트너간 문화적 거리, 지분구조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리뷰 8(2): 73-89. 

  7. Choi, J-Y., J-E. Seo and J-H. Lee (2008) A study on the expression and evaluation of limitation considering visual perception-Focused on the service space in multiplex, Daegu-.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7): 97-104. 최주영, 서지은, 이정호(2008) 시지각을 고려한 영역의 한정성 표현 및 평가에 관한 연구-대구시 멀티플렉스 영화관 서비스공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7): 97-104. 

  8. Dow, D. (2000) A note on psychological distance and export market selec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8(1): 51-64. 

  9. Hall, E. T. (1966) The Hidden Dimension. NY: Doubleday. 

  10. Han, U. and H. J. Yun (2014) Pedestrian behavior tracking at urban linear tourist sites via direct observation-Focused on Cheonggyecheo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124-133. 한울, 윤희정(2014) 직접관찰법을이용한도심선형여가공간의보행자 행태분석-서울시청계천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42(5): 124-133. 

  11.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2. IM, S-B (2008)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Seoul: Bomun. 임승빈(2008)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서울: 보문사. 

  13. Jo, S-J. (2013) A Study on Obtaining Territoriality of Personal Space and the Vitalization of Social Space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Home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조성정(2013). 도심지 노인요양시설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개인적 공간의 영역성 확보와 사회적공간의 활성화 방안연구 - 성북구 석관동 노인 요양 복합시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Kim, J. and K. Park (2013)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of urban linear parks-Comparative case study with conventional neighborhood park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6): 89-106. 김재철, 박근현 (2013)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 연구-면적 근린공원과의 비교사례연구 중심으로-. 국토계획 48(6): 89-106. 

  15. Kim, S.-C. and J. Huh (1992) A study on the us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anagement at the neighborhood parks in Chonj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2): 90-105. 김세천, 허준(1992) 전주시 도시공원의 이용행태분석 및 관리실태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2): 90-105. 

  16. Lee, C.-A. and H.-Y. Bang (2008) Cultural distance, foreign entry mode and performance a Korean cas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33(1): 225-252. 이정아, 방호열(2008) 문화적 거리-해외시장진입방식-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무역학연구 33(1): 225-252. 

  17. Lee, H. W.(2009) A study on the distributional property and utilizing behaviour of city parks in Gwangju. Journal of Urban Geographies 12(3): 27-40. 이현욱(2009) 광주광역시 도시공원의 분포특성과 이용행태 분석. 한국 도시지리학회지 12(3): 27-40. 

  18. Lee, J.-W. and H.-W. Lee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nvironmental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8(2): 354-361. 이정우, 이희원(2007) 아동기 환경 행태 특성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8(2): 354-361. 

  19. Mckercher, B. and S. B. Chow (2001) Cultural distance and participation in cultural tourism. Pacific Tourism Review 5(1): 23-32. 

  20. Ng, S. I., J. A. Lee and G. N. Soutar (2007) Tourists' intention to visit a country: The impact of cultural distance. Tourism Management 28(6): 1497-1506. 

  21. Shepard, R. N. (1957) Stimulus and response generalization: A stochastic model relating generalization to distance in psychological space. Psychometrika 22(4): 325-345. 

  22. Sommer(1959) Studies in personal space. Sociometry 22(3): 247-260. 

  23. Sommer(1969) Personal Spa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4. Trope, Y. and N. Liberman (2010)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117(2): 440-463. 

  25. Yeouido Park(http://parks.seoul.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