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생태복원 설계 전략 - 2015 밀양시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사례로 -
Design Strateg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System Dynamics - Focused on 2015 Miryang-si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6, 2015년, pp.86 - 97  

함은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송기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조동길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도시 내 생태휴식공간이자 생활문화공간 창출을 위해 추진되는 환경부의 사업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일대는 훼손된 상태로 오랜 기간 방치되면서 생태복원이 필요한 장소로 인식되어 올해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아북산 일대의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사업대상지의 핵심 복원 공간으로써 국궁장, 구덩이, 경작지 부지는 각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전략을 토대로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국궁장 부지의 경우 토양 산성화와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으로 녹비식물과 후글컬쳐 방식을 도출하여 실제 설계안에 도입하였고, 둘째, 구덩이 부지의 경우 구덩이 하단부에 우수가 집수되어 습윤성 식생이 출현한 점에서 인공 습지 조성 가능성을 타진하고 생태 문화적 이점을 파악하여 인공 습지 조성의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두 곳으로 분리되는 경작지 부지는 토양 산성화와 토양 침식,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해 토양 개량 작업 후 한 곳은 자생종을 식재하여 산림을 복원하는 전략 도출을 통해 녹지축을 연결하는 설계안을 완성하였고 다른 한 곳은 초지로 복원하되 일부 공간에 건습지를 조성하는 설계안을 세웠다. 본 연구는 생태복원 설계 시 생태계 시스템의 피드백 루프 내에서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략을 도출한 것으로써 일반적인 설계 과정에 없던 시스템 사고의 방식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JMDP")" is a project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create a cultural space and a natural rest area within the city. Abuksan, located at Abuksan in Gyeongsangnam-do Miryang-si Naeil-dong, has suffered a substantial amount of environmental de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인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근린공원 일대의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도출된 전략을 토대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 계획 및 설계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인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근린공원 일대의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도출된 전략을 토대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 계획 및 설계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 전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새로운 관점과 이전에 없던 방식으로 대상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 것으로써, 국내에서 최초로 SD를 활용하여 대상지 분석을 실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도출된 전략을 토대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 계획 및 설계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 전략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새로운 관점과 이전에 없던 방식으로 대상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 것으로써, 국내에서 최초로 SD를 활용하여 대상지 분석을 실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결과로 도출된 내용들은 대상지에 대한 또 다른 계획안이나 정책 마련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이러한 측면에서 생태복원이 지향하는 바가 상호연관관계에 놓인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생태적ㆍ사회적 시스템의 복합적인 측면에서 회복되며(Cho, 2011) 지속적으로 안정화 되어야 할 것임에 따라 SD의 일부인 시스템 사고를 통한 생태복원 설계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에 기반하여 인과지도 작성을 통해 대상지의 생태계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핵심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과지도라는 분석의 틀을 차용하여, 대상지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이 단선적이며 개별적으로 열거되던 기존 생태복원의 설계 과정을 보완하고 설계전략의 학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에 기반하여 인과지도 작성을 통해 대상지의 생태계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핵심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과지도라는 분석의 틀을 차용하여, 대상지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이 단선적이며 개별적으로 열거되던 기존 생태복원의 설계 과정을 보완하고 설계전략의 학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구덩이 부지는 현 상태를 존치하는 것을 유지하되 습지를 조성하여 생태·문화적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소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 토양 산성화의 문제를 겪는 부분에 대해 토양의 고유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물 순환 체계를 구축해 구덩이 부지를 핵심지역으로 선정하여 서식환경을 다양화하는 동시에 생태계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생태적 기능 향상과 더불어 이용자 측면에서 활성화 가능한 공간으로 추진하고자 생태적 수용력을 고려하여 생태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또한 국궁장 부지에우수관 설치를 통해 녹지에서 집수된 물이 습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후글컬쳐에 의해 수원을 함양하는 기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 구덩이 부지의 경사를 이용하여 우수가 흘러드는 과정에서 생물 서식에 유리한 조건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여과와 정화 역할을 하는 고랭이, 갈대, 애기부들, 부들, 꽃창포, 달뿌리풀 등 대표적인 정수식물들이 포함된 식생대를 구성하였으며 최대한 자생종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곳에서 조사된 기존의 수종들을 고려하여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산딸기, 개옻나무 등을 도입해 다층식재를 하였다. 또한 일부 공간은 숲틈을 조성하여 치수생장률을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서쪽의 경작지 부지는 자연 초지의 상태를 유지하게 하되 대상지 조사 당시 물웅덩이에서 발견된 무당개구리를 복원하기 위해 일부 공간을 건습지로 설계하였다.
  • 이와 같은 공간들은 목표종으로 하는 붉은배새매, 새호리기, 청개구리, 무당개구리, 갈구리나비 등의 야생동물 서식처 4대 요구조건(공간, 은신처, 먹이, 물)을 충족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주요 공간들과 더불어 대상지 내 진입이 유용한 공간과 주요 공간의 주변부는 자연놀이터 및 야생동물 관찰대, 보금자리 학습마당 등의 장소로 조성하여 사람들에게 생태관광 및 생태교육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인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근린공원 일대를 중심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 계획 및 설계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SD를 통해 핵심 공간에 대한 개별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생태계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이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전략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인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근린공원 일대를 중심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 계획 및 설계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SD를 통해 핵심 공간에 대한 개별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생태계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이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전략을 제시하였다.
  • 두 번째, 구덩이 부지는 사면부에 건조성 식생이 출현하였고 구덩이 하단부는 집수가 되어 습윤성 식생이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인공 습지 조성 시 예상되는 생태적ᆞ문화적 이점들에 대한 인과지도 분석을 통해 부지를 존치하되 다면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주요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실제 설계안에서 인공 습지 조성 계획을 포함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문헌들을 수집하여 변수를 도출하고 객관성에 근거하여 인과 관계를 분석해 정성적인 방식으로 폭 넓은 이해를 도모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생태복원 계획 시 시스템적 접근을 통해 설계안을 마련한 연구로써 설계 과정에서 기존에 없던 방식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문헌들을 수집하여 변수를 도출하고 객관성에 근거하여 인과 관계를 분석해 정성적인 방식으로 폭 넓은 이해를 도모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생태복원 계획 시 시스템적 접근을 통해 설계안을 마련한 연구로써 설계 과정에서 기존에 없던 방식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제 대상지에서 조성 사후에 나타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모든 환경적 변수들에 대해서 논의되지 못한 점과 인과지도 내에서 논의된 변수와 인과관계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진행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마당 조성사업이란 무엇인가?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도시 내 생태휴식공간이자 생활문화공간 창출을 위해 추진되는 환경부의 사업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일대는 훼손된 상태로 오랜 기간 방치되면서 생태복원이 필요한 장소로 인식되어 올해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가 되었다.
국궁장, 구덩이, 경작지 부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전략을 토대로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국궁장 부지의 경우 토양 산성화와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으로 녹비식물과 후글컬쳐 방식을 도출하여 실제 설계안에 도입하였고, 둘째, 구덩이 부지의 경우 구덩이 하단부에 우수가 집수되어 습윤성 식생이 출현한 점에서 인공 습지 조성 가능성을 타진하고 생태 문화적 이점을 파악하여 인공 습지 조성의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두 곳으로 분리되는 경작지 부지는 토양 산성화와 토양 침식,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해 토양 개량 작업 후 한 곳은 자생종을 식재하여 산림을 복원하는 전략 도출을 통해 녹지축을 연결하는 설계안을 완성하였고 다른 한 곳은 초지로 복원하되 일부 공간에 건습지를 조성하는 설계안을 세웠다. 본 연구는 생태복원 설계 시 생태계 시스템의 피드백 루프 내에서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략을 도출한 것으로써 일반적인 설계 과정에 없던 시스템 사고의 방식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일대가 올해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로 선정된 이유는 무엇인가?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도시 내 생태휴식공간이자 생활문화공간 창출을 위해 추진되는 환경부의 사업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일대는 훼손된 상태로 오랜 기간 방치되면서 생태복원이 필요한 장소로 인식되어 올해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아북산 일대의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enayas, J. M. R., A. C. Newton, A. Diaz and J. M. Bullock(2009) Enhancement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by ecological restoration: A Meta Analysis. Science 325(5944): 1121-1124. 

  2. Beyer, L.(1995) Soil microbial biomass and organic matter composition in soils under cultivation. Biology and Fertility of Soils 19(2-3): 197-202. 

  3. Byeon, W. I.(2006) A study on constructed wetland ecological park design with multiple-cell FWS layout-Focus on structural design of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SSB)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9(5): 1-9. 

  4. Cho, D. G.(2011) Planning and Designing of Ecological Restoration. Seoul: NEXUS Design Centre. 

  5. Cho, D. G., H. Y. Jin and J. H. Song(2011) Proposal of ecological design of aquatic garde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considering natural wetland vegetation struc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4(6): 379-391. 

  6. Choi, S. H.(2010) Design of North Seoul DreamForest based on traditional village design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6): 66-72. 

  7. Choi, S. O., J. D. Kimand G. S. Choi(2009) Application of fuzzy reasoning method for prediction of subsidence occurrences in abandoned mine area. Tunnel & Underground Space 19(5): 463-472. 

  8. Choi, Y. E., S. J. You, E. K. Ham, K. H. Song and J. H. Chon(2014) Sustainable management plan of eco-tourism resources using system thinking: A case study of Bamseom in Seou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8(5): 59-78. 

  9. Choi, Y. E., S. J. You, S. R. Kang, B. K. Choi and J. H. Chon(2015) Management plan of whooper swan(Cygnus cygnus) habitat using causal loop analysis: Focused on Eulsukdo.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9(3): 353-367. 

  10. Dace, E., G. Bazbauers, A. Berzina and P. I. Davison(2014) Systemdynamics model for analyzing effects of eco-design policy on packaging waste management system.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87(-): 175-190. 

  11. Eom, K. C.(2010) Basic Research for Soil Erosion Diminish. Research Report of Ministry of Environment. 

  12. Harris, J. A., R. J. Hobbs, E. Higgs and J. Aronson(2006) Ecological restoration and global climate change. Restoration Ecology 14(2): 170-176. 

  13. Higgs, E. S.(1997). What is good ecological restoration?. Conservation Biology 11(2): 338-348. 

  14. Jang, E. S.(2007) The reconstitution of the geographical thinking on the basis of system think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5(1): 77-92. 

  15. Jeong, Y. W., Y. D. Kim, J. H. Park and B. M. Yoon(2009) The reducing effects analysis of floods through washland construction in Hwapocheon basin. Proceedings of Symposium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Seoul: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6. Joa, J. H., D. G. Moon, S. J. Chun, C. H. Kim, K. S. Choi, H. N. Hyun and U. G. Kang(2009) Effect of temperature on soil microbial biomass, enzyme activities, and PLFA content during incubation period of soil treated with organic material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2(6): 500-512. 

  17. Joa, J. H., J. H. Lee, H. W. Won, S. G. Han and H. C. Lim(2008) Effect of different soil managements on phys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ies in citrus orchard soil.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1(5): 279-284. 

  18. Jung, K. Y., E. Y. Yun, C. Y. Park, J. B. Hwang, Y. D. Choi, S. H. Jeon and H. A. Lee(2012) Effect of soil compaction levels and textures on soybean(Glycine max L.) root elongation and yield.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3): 332-338. 

  19. Kim, B. J., J. H. Back and H. G. Kim(1997) Effect of lime materials application on reducing injury of simulated acid rain in soybean.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6(2): 175-180. 

  20. Kim, D. K., J. G. Kim, H. S. Kim, B. K. Yoo, K. S. Ahn, S. W. Jang and H. K. Shin(2011) S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3(3): 665-675. 

  21. Kim, D. H.(2004) System Thinking. Seongnam: Sunhaksa. 

  22. Kim, D. H. and Y. K. Hong(2008) System dynamics modeling for management of roe deer population in Jejudo.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9(2): 45-75. 

  23. Kim, D. H.(2014)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Urban Roadside Tree Soil in Eelation to Pollution Level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24. Kim, D. S.(2007) A study on landscape restoration of the Namhan-Sansung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6): 101-110. 

  25. Kim, J. W. and Y. K. Jung(1995) A case study on the vegetation in the Kimpo landfills and its periphery region-Ecological division of habitats by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8(3): 307-321. 

  26. Kim, M. H., H. S. Bang, M. S. Han, H. K. Hong, Y. E. Na, K. K. Kang, J. T. Lee and D. B. Lee(2009) Effect of vegetation types on the distribution of soil invertebrates.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8(2): 125-130. 

  27. Ko, C. T., H. D. Jong and H. Kohji(2006) The philosophy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its policy application-Establishing the principle.strategy .method of restoration from a pragmatic approach and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97(-): 1-37. 

  28. Lee, H. H., K. H. Lee and S. W. Lee(2009) Change of soil erodibility by soil organic matter and soil texture in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district. Proceedings of Symposium on Korean Forest Society. Seoul: Korean Forest Society. pp. 363-364. 

  29. Lee, H. J., J. H. Kim, B. H. Bae, M. S. Park, Y. M. C. J. G. Kang and J. S. Shin(1997) Forest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 on Mt. Palyoung. Journal of Basic Science 22(-): 79-101. 

  30. Lee, H. J., S. J. You and J. H. Chon(2015) The management methods of multi-purpose ecological reservoir by system thinking-Focused on Anteo Eco Park-.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8(2): 1-17. 

  31. Lee, J. T., G. J. Lee, J. S. Ryu, J. S. Kim, K. H. Han and Y, S, Zhang (2012) Evaluation of surface covering methods for reducing soil loss of highland slope in soybean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5): 725-735. 

  32. Lee, S. J., H. A. Choi, W. K. Lee, J. Y. Lee, S. W. Jeon and J. S. Kim (2014) Determining the priority order of wetland func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3): 197-207. 

  33. Lee, S. W., C. H. Lee, Y. Y. Lee and Y. H. Jeong(2008) Impacts of soil acidification on red pine growth and soil biological activities. Proceedings of Symposium on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Wanju: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pp. 141. 

  34. Lee, T. S., K. J. Lee, B. U. Choi and S. C. Park(2010) Planting managements for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in recreational forest-A case study of Chukryongsan recreational forest, Gyeonggi-do-.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4): 351-362. 

  35. Moon, T. H.(2007) A Sustainable City through System Thinking. Paju: Jipmoon 

  36. Oh, Y. J.. S. B. Kang, Y. I. Song, J. H. Choi andW. K. Paik(2012) Effects of cover pla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organic apple orchard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5): 822-828. 

  37. Park, C. G.(1997) Systemology. Seoul: Bermyangsa. 

  38. Park, C. Y., W. T. Jeon, G. D. Park, H Y. Kwon, C. S. Kim and K. B. Park(2000) The effects of soil loss mitigate and soil fertility change by preservation countermeasures of upland soil. Proceedings of Symposium on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Wanju: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pp. 143. 

  39. Park, M. E. and G. S. Kim(1998) Upstream part of Hoidong water reservoir in Pusan-The soil and water pollution caused by the weathering of pyrophyllite deposit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7(2): 149-155. 

  40. Saysel, A. K., Y. Barlas and O. Yenigun(2002)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an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 A system dynamics approach.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4(3): 247-260. 

  41. Seong, C. N., J. H. Kim and K. D. Baik(1998)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soil microorganisms isolated fromrepresentative plant communities of Mt. Paektu.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1(5): 575-583. 

  42. Son, J. K., N. C. Kim and B. H. Kang(2010) The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assessment at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6): 117-131. 

  43. Sterman, J. D.(2000) Business Dynamics: SystemThinking andModeling for complex world. USA: Irwin McGraw-Hill companies. 

  44. Sweeny, L. B. and J. D. Sterman(2007) Thinking about systems: Student and teacher conceptions of natural and social systems. System Dynamics Review 23(-): 285-312. 

  45. Yang, S. K., Y. W. Seo, Y. S. Kim, S. K. Kim, K. H. Lim, K. J. Choi, J. H. Lee and W. J. Jung(2011) Changes of pepper yield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green manure crops and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Korea Journal of OrganicAgriculture 19(2): 255-272. 

  46. www.m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