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 도시생태 보호지역 관리계획 연구 -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in Urban Ecological Protected Area of Seoul - A Case Study of the Baeksil Valley Ecological Scenery and Conservation Are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6, 2015년, pp.109 - 126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곽정인 ((재)환경생태연구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사실계곡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확보와 건강한 생태계 유지에 필요한 정밀 자료를 구축하고, 보전지역 특성에 맞는 생태적 관리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4월부터 2013년 5월까지이다. 백사실계곡은 최근 시민들의 이용 증가와 외래식물 식재 및 확산이 되고 있어 생태계 교란이 가속화 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보호지역 관리시스템 고찰, 유역권 차원의 생태적 관리 필요성 고찰, 관리계획 수립 체계 설정, 사례 대상지 현황조사 및 분석, 위협요인 도출, SWOT 분석을 통한 목표 설정, 관리 전략, 관리계획 수립이었다. 현황조사 항목은 자연기반 환경, 동 식물 현황, 이용 환경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백사실계곡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생태적 관리계획의 목표는 양서류의 안정적인 산란 및 서식을 위한 유역권 관리, 까막딱다구리의 영구적 서식 유도를 위한 산림 식생 보전 및 복원, 대경목 느티나무 군락 경관 보전을 위한 기반 환경 관리, 보호생물의 안정적 서식을 위한 이용자 관리로 설정하였다. 세부 관리계획 내용으로 보전 계획은 상류부 점 비점오염원 관리, 자생식물 생육환경 확보, 안전한 양서류 서식처 확보, 주요 야생조류 서식지 확보를 제시하였고, 복원 계획은 인공림의 자연림 복원, 자생초본 및 외래초본 관리, 훼손된 숲길 복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r constructing detailed data to secure biological diversity and maintain a healthy ecosystem in Backsasil Valley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and for preparing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fit for the protected area. The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April 2010 to May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지역의 국제적인 기준과 이행사항 등을 제시한 곳은 어디인가? 최근 생물다양성 감소와 기후 변화 등 지구환경 문제가 고조되면서 우수한 자연생태계와 생물다양성 보전이 국가 경쟁력의 지표로 인식되고 있어 세계 각국은 여러 유형의 보호지역을 지정ㆍ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UNESCO 세계유산, 람사르습지, 생물다양성협약(CBD) 등에서 보호지역의 국제적인 기준과 이행사항 등을 제시하고 있다. 보호지역에 대한 개념은 생물다양성협약(CBD) 제2조 용어의 정의에 따르면 ‘특정 보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정되거나 또는 규제되고 관리되는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여러 유형의 보호지역을 지정ㆍ관리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생물다양성 감소와 기후 변화 등 지구환경 문제가 고조되면서 우수한 자연생태계와 생물다양성 보전이 국가 경쟁력의 지표로 인식되고 있어 세계 각국은 여러 유형의 보호지역을 지정ㆍ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UNESCO 세계유산, 람사르습지, 생물다양성협약(CBD) 등에서 보호지역의 국제적인 기준과 이행사항 등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보호지역을 지정ㆍ관리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인가? 보호지역에 대한 개념은 생물다양성협약(CBD) 제2조 용어의 정의에 따르면 ‘특정 보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정되거나 또는 규제되고 관리되는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중반부터 천연보호구역과 자연공원을 시작으로 자연환경 관리차원의 제도를 처음 마련한 이후 다양한 형태의 자연환경 보전지역을 지정ㆍ관리하고 있다(Lee, 2011). 그 중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은 2004년 12월31일에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으로 환경부장관 및 시ㆍ도지사만이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지정 관리할 수 있으며, 2014년 12월기준 1989년 3월 낙동강 하구를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처음지정한 이래 환경부에서 9개 지역(24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shlock, M. E. and Mayr, E.(1991) Principles of Systematic Zoology. 

  2.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3. Han, B. H., W. Cho and S. D. Lee(2001)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onghaksa Valley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4(4): 238-251. 

  4. James, T. D., D. W. Smith, E. E. Mackintosh, M. K. Hoffman and P. Monti(1979) Effects of camping recreation on soil, jack pine,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Northwestern Ontario Park. Forest Science 25(2): 333-349. 

  5. Jung, K. S.(2007) Odonata of Korea. Seoul: Ilgongyuksa. 

  6. Kang, H. K. and S. H. Hong(2010) A study of ecological change aspects in Tancheo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3(3): 23-32. 

  7. Kim, K. O., S. H. Hong, Y. H. Lee, C. S. Na, B. H. Kang and Y. W. Son(2010)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t the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Heoninlleung in Seoul.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3(1): 60-78. 

  8. Klijn, F.(1994)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Kluwer Academic Publishers. 

  9. Kwon, T. H., D. W. Kim and J. W. Lee(2005) Trail deteriorat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9(2): 130-138. 

  10. Kwon, T. H., J. W. Lee and D. W. Kim(2004)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Kor. J. Env. Eco. 18(2): 175-183. 

  11. Land and Housing Institute(2000) A Case Study on Planting Environment and Improvement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12. Lee, D. H.(2011)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for Selection of Ecology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Lee, G. G., J. H. Lee and J. Y. Cha(2014a) The management planning model for wetland conservation area in South Korea: Focused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according to making Mt. Daeam's Yong-neup opening to the public.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185-201. 

  14. Lee, H. Y., C. H. Oh and S. J. Lee(201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uxus koreana in Kwanak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Kor. J. Env. Eco. 26(1): 91-99. 

  15. Lee, S. M.(2001) The Dragonflies of Korean Peninsula(Odonata). Junghaeng-Sa. 

  16. Lee, S. M. and C. H. Oh(2012) Conservation measures of Korean whitebeam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5(1): 1-14. 

  17. Lee, T. 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Seoul: Hyang munsa. 

  18. Lee, W. H., D. H. Kim, J. U. Kim, H. S. Oh, B. K. Choi and J. S. Lee(2014b)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natural monument(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1): 93-106. 

  19. Lee W. S., T. H. Ku. and J. Y. Park(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Seoul: LG Evergreen Foundation. 

  20. Mayr, E.(1963) Animal Species and Evolution. Animal Species and Their Evolution. 

  21. Ministry of Environment(2001)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surface soil and erosion control. Research Report to Ministry of Environment 

  22. Oh, J. H., S. G. Jung, J. O. Kwon, and K. H. Park(2007) A landscape ecological classification based on watershed focusing landcover type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4): 22-34. 

  23. Park, K. H.(2002) Integrate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GIS and RS Method. Ph. D. Dissertation Kyungpook Univ., Daegu, Korea. 

  24. Park, S. 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25. Rutledge, D. T.(2001) Change in Land Cover and Wildlife Habitats in Two Watershed in the Lower Peninsula of Michigan, 271pp. 

  26. Seo, C. W. and C. H. Park(2000) Wild Boar(Sus scrofa coreanus Heude) habitat modeling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8(1): 85-99. 

  27. Seoul(2009) News Release. 

  28. Seoul(2010) The Urban Forest Ecosystem Scientific Research (III). Seoul. 

  29. Seoul(2013) News Release. 

  30. Seoul Metropolitan Council(2014) Evaluation, Alternative, Implementation Status and Adequacy that Management Plan of Ecological Scenery and Conservation Area. Seoul Metropolitan Council, Seoul. 

  31. Shim, J. H. and C. I. Choi(2002) Ecology and biodiversity of the herpetofauna in the Dong River Vally, Korea.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35(5): 344-349. 

  32. Sohn, H. G.(2000) EcosystemAssessment Using Spatial Pattern Analysis at Landscape Scale-A Case Study of Young-In, Ko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3. Steiner, F., Blair, J., McSherry, L., Guhathakurta, S., Marruffo, J. and Holm, M.(2000) A watershed at a watershed: The potential for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 protection in the upper San Pedro Drainage Basin(Mexico and US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9(3): 129-148. 

  34. Yim, Y. J. and E. S. Ch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lant Biology 23(3-4): 69-83. 

  35. Yoo J. C. and Y. S. Choi(2007) Current status of birds of the Amsa-dong ecological landscape protected area in Seoul (2003-2005).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1): 1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