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보호지역의 관리여건 파악 및 개선방향 고찰 -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Managing Conditio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Domestic Protected Areas in Korea - Focus o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and Wetland Protected Areas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1, 2016년, pp.111 - 120  

최지은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채희명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조동길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  김수련 (단국대학교 대학원) ,  송유진 (국립수목원) ,  문상균 (환경부) ,  김종철 (환경부) ,  박용수 (국립생태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using the grasped problems of protected areas in Korea as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planning and system improvement of protected areas by grasping realistic problems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persons in charge on the basis of general problems of domestic protected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호지역 관리 실태 파악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문제점을 유형화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담당자의 인식과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호지역 관리실태 파악을 위한 인터뷰 항목은 Cho & Lee(2010), Heo(2012), Kim(2012), ME(2006) 등의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토대로 보호지역 현황 정보 정확도, 관리내용 및 수단, 관리기반 인프라, 이해관계자간 협력, 보호지역 위협요인, 행정구역 중복 등 총 6개 분야(대분류), 17개 항목(중분류)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호지역 관리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보호지역 유형을 구분하고 보호지역 유형에 따른 차이, 환경부와 지자체에서 지정한 보호지역의 관리상 차이, 보호지역 면적이 크고 작은 정도에 따른 관리 차이, 단일 또는 중복(2개 이상) 행정구역에 따른 관리상의 문제점을 파악코자 하였다(Table 2 참고). 또한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가장 비중이 높은 1~3 순위의 상위항목을 선정하여 문제점으로 대표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이후 도출된 분야별 세부항목을 중심으로 세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 향후 보호지역 지정 면적은 확대되고 보호지역 관리의 체계화를 위한 노력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현재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요구되는 문제의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호지역 관리 체계화에 앞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관리 실태와 관련한 일반적인 문제점을 토대로 국내 보호지역 관리 담당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현장의 현실적 문제점을 고찰하되, 가장 문제시 되는 부문을 파악하여 보호지역 관리계획 및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정기관별 문제점은 중앙정부의 경우 어떤순으로 문제점이 발생했는가 ? 지정기관별 문제점은 중앙정부(환경부)의 경우 ‘현황정보 정확도’, ‘관리기반 및 인프라’, ‘행정구역 중복지정’ 순으로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이해관계자간의 협력’, ‘관리기반 및 인프라’, ‘보호지역 위협’ 등이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기반 및 인프라'의 경우 중앙정부와 자방자치단체 모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보호지역 관리의 분야별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향으로 관리기반 인프라 관련 사항은 ? 셋째, 관리기반 인프라는 물리적인 부문만 이루어지고 있어 생태관광과 같은 소프트웨어 측면의 수요를 충족할 예산이 부족하다. 또한 감시원에 의한 지속적 관리가 안 되어 불법행위가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생태관광 프로그램 지원, 감시원 부재 시 지속적 관리를 위한 시설(예: CCTV 등)의 도입이 필요하다.
각 보호지역(습지보호지역, 생태․경관보전지역)별 관리상의 문제점은 어떤 순으로 나타났는가 ? 각 보호지역(습지보호지역, 생태․경관보전지역)별 관리상의 문제점은 습지보호지역의 경우 ‘현황정보 정확도’, ‘관리기반 및 인프라’, ‘행정구역 중복지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경우 ‘관리기반 인프라’, ‘이해관계자간의 협력’, ‘보호지역 위협’ 부문 등이 해당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 KW.Lim JC and Lee YK. 2015. A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angdo Wetland. Korean Journal Environmental Biology. 33(1). pp. 63-74. 

  2. Cho YH and Lee YK. 2010. A Study on Surveying and Improving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8 no.1, pp. 64-7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Heo HY. 2012. Review on the Protected Areas Issues within Mid-Long Term National Plans for Territory and Environment of Korea: Focus on the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 and "Protected Areas Deci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1(4): pp. 3-37. (in Korean) 

  4. Heo HY.Kim H.Lee YJ and Kim SI. 200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UCN Category to the Protected Areas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3(2): pp. 71-96. 

  5. Kim BH. 2012. Enhanc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otected areas in Korea. Ph. D. Univ. of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Lee GG.Lee JH and Cha JY. 2014. The Management Planning Model for Wetland Conservation Area in South Korea: Focused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According to Making Mt. Daeam's Yongneup Opening to the Public.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pp. 185-201. 

  7. Lee MJ.Lee GG.Sung HC.Lee DG.Lee HW and Kim JS. 2013. A Comparative Study on Protected Area Management in South Korea, Japan and Chin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1): pp. 71-82. 

  8. Ministry of Environment(ME). 2006. Protected area management techniques in advanced foreign countries. (in Korean) 

  9. Nicholas, B..Angela, W..Max, A..Exequiel, G. and Warren, G. 2003. Marine invasive alien species: a threat to global biodiversity. Marine Policy 27(4): 105-116. 

  10. Park YH.Lee HW.Kim KG.Lee GG. Choi JY.Heo SJ and Seo KW. 2008. Development of Designation Criteria for Ecological Protected Areas and its Application Methodolog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7(3): pp. 177-188. 

  11. Ryu KS.Choi JY and Lee GG. 2011.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 Indicators Development in Protected Forest Area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1): pp. 105-119. 

  12.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SCBD). 2004. Decision adopted by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t the its seventh meeting. UNEP/CBD/COP/7(28). pp. 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