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각처리장애의 다학문적 중재 안내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Guide Map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2, 2015년, pp.259 - 268  

김수진 (백석대학교 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각처리장애는 정상 청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신경계에서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의 문제로 자신이 들은 소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최근 문헌들이 제시하는 청각처리장애의 중재 방법을 조사하여 청각 처리장애를 가진 아동을 위한 중재 안내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청각처리장애를 가진 아동은 진단의 구체적 결함에 따라 Buffalo 모델과 Bellis/Ferre 모델의 유형으로 분류되고 결함을 치료하기 위한 문제중심 중재 전략과 결함의 영향을 관리하는 전반적 중재 전략이 결정된다. 그리고 문제중심 중재 전략은 두 모델의 유형별 특징에 따라 맞춤 전략으로 구성되고, 전반적 중재 전략은 보상 전략, 청능훈련, 환경수정 등이 추천된다. 이러한 중재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다학문적 팀에 의해 아동의 청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방법들을 선정하고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청각처리장애의 중재 안내도는 청각처리장애 확인, 중재, 재평가, 수정된 중재 단계로 구성되었다. 이 안내도를 통해 청각처리장애가 의심되거나 청각처리장애를 진단 받은 아동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하여 관련 임상가와 교사들이 적절한 중재 방법과 절차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ople with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APD) do not exactly understand what they hear with normal hearing levels because of difficulties in the processing of auditory information in auditory nervous syst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intervention strategies suggested by curr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델들은 APD를 가진 사람들의 여러 가지 특성에 따른 맞춘 중재 전략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APD의 중재 관련 문헌[7, 8]도 진단에 근거하여 APD를 두 모델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별 특성에 따라 중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APD 진단에 관한 연구[9, 10, 11, 12]를 시도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
  • APD를 가진 아동은 진단에 의한 구체적 결함에 따라 Buffalo 모델과 Bellis/Ferre 모델의 유형으로 분류되고 문제중심 중재 전략이 결정된다. 그리고 APD의 진단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구체적 결함을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반적 중재 방법을 찾아간다. 전반적 중재 방법 중 가장 많이 추천된 방법은 보상 전략과 청능훈련, 환경수정이었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APD의 특징을 보이는 아동에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단순한 연구 문제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최근 문헌들이 제시하는 청각처리장애의 중재 방법을 조사하여 청각처리장애 아동을 위한 중재 안내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APD의 중재가 필요한 아동에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적절한 시기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중재 방법이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APD는 정상 청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신경계에서 청각 정보를 지각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의 결함으로 인해 의사소통장애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APD를 가진 아동의 어려움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재 방법과 절차를 찾아 APD 아동을 담당하는 임상가와 교사들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 중재에 관한 문헌 검색에서 특정 중재 방법의 효과에 관한 논문은 현재까지도 논쟁[13] 중이므로 제외하였다. 선정된 문헌들을 APD의 중재에서 제시하고 중재 안내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고찰하였다.
  • APD의 진단은 여러 가지 청력검사의 결과와 언어 및 학업의 어려움 등에 근거한 특성에 따라 두 개의 이론적 모델인 Buffalo 모델과 Bellis/Ferre 모델로 제기되었다. 이 모델들은 APD를 가진 사람들의 여러 가지 특성에 따른 맞춘 중재 전략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APD의 중재 관련 문헌[7, 8]도 진단에 근거하여 APD를 두 모델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별 특성에 따라 중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점을 가장 잘 반영하는 Buffalo 모델과 Bellis/Ferre 모델들은 대뇌피질 영역의 기능 이상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치료하는 데에 초점을 둔 중재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중재 방법을 문제중심 중재라 하고 APD의 관리 하에 포함되는 모든 중재를 전반적 중재라 명하여 구체적 중재 방법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각처리장애란? 청각처리장애(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APD)는 청력손실이 없음에도 달팽이관 이후의 청각 정보의 처리 문제로 소리들 중에서 특히 말소리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인다. APD를 가진 사람들은 청각 변별, 청각 형태 인지, 듣기에서 시간적 측면, 동시에 들리는 음향 신호들에 대한 청각 수행, 작은 음향 신호들에 대한 청각 수행 등의 기술에서 한 가지 이상의 어려움을 보인다[1].
청각해독 결함의 중재 방법은? 특징은 청력손실자와 유사한 수행력을 보인다는 것이다. 중재 방법으로 시청각 정보를 최대화할 수 있는 자리에 앉히기, 소리 크기를 증가시키기, 청각 보조기 사용하기, 새로운 어휘와 개념을 수업 전에 가르치기, 시각과 다감각 단서 사용하기, 청각적 명료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복해서 말하기, 듣기 능력과 청각 채우기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상 전략 사용하기, 보기가 제공되는 테스트 활용하기, 음소 훈련, 음운과 언어 결함의 경우 말-언어치료 등을 추천한다.
APD를 가진 사람들의 특징은? 청각처리장애(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APD)는 청력손실이 없음에도 달팽이관 이후의 청각 정보의 처리 문제로 소리들 중에서 특히 말소리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인다. APD를 가진 사람들은 청각 변별, 청각 형태 인지, 듣기에서 시간적 측면, 동시에 들리는 음향 신호들에 대한 청각 수행, 작은 음향 신호들에 대한 청각 수행 등의 기술에서 한 가지 이상의 어려움을 보인다[1].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중추청각처리장애(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라는 용어가 해부학적으로 중추와 말초의 상호작용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중추청각처리장애 용어 대신에 청각처리장애 용어의 사용을 권장해왔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 Working group on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SHA Technical Report, 2005, Feb. 

  2. J. Jerger & F. Musiek, Report of the consensus conference on the diagnosis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Vol. 11, pp. 467-474, 2000. 

  3. G. Chermak, & F. Musiek,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New perspectives. San Diego, CA: Singular, 1997. 

  4. R. Schow & M. Nerbonne, Introduction to audiologic rehabilitation. Allyn and Bacon, 2002. 

  5. Dong Il Seok, Review about the nature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Vol. 5, No. 2, pp. 45-70, 2004. 

  6. Soo-Jin Kim, Review of overlap in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nd language learning disability &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Vol. 8, No. 1, pp. 333-351, 2006. 

  7. J. Katz, Classification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In Katz J., Stecker, N. A., & Henderson, D. (Editors.), Central auditory processing: A transdisciplinary view. (pp. 81-91). St. Louis: Mosby Year Book, Inc, 1992. 

  8. T. J. Bellis, & J. M. Ferre,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in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Vol. 10, pp. 39-328. 1999. 

  9. Myung Woul Han, Joong Ho Ahn, Jong Woo Chung, The application of diagnostic tools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nd their normative value in each age group in Korean.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ery, Vol. 51, pp. 694-698, 2008. 

  10. A-Reum Jeon, Hyunsook Jang, Effects of stimulus complexity, attention mode & age on dichotic digit test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Vol. 10, No. 4, pp. 377-395, 2009. 

  11. Hyunsook Jang, Audiologic evaluation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Korean Academy of Audiology, Vol. 6, pp. 10-18, 2010. 

  12. Kyunghee Won & Hyunsook Jang, A study of children's auditory processing performance scale for screening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Korean Academy of Audiology, Vol. 6, pp. 137-145, 2010. 

  13. T. J. Bellis, G. D. Chermak, J. Weihing, & F. E. Musiek, Efficacy of auditory interventions for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 response to fey et al. (2011). Language, Speech, & Hearing Services in Schools, Vol. 43, No. 3, pp. 381-386, 2012. 

  14. J. Katz, & K. Tillery, Central Auditory Processing. In Ludo Verhoeven & Hans van Balkom (Editors), Classification of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Theoretical issues and clinical implications. (pp. 191-208).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2004. 

  15. D. E. Bamiou, N. Campbell, & T. Sirimanna, Managment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Audiological Medicine, Vol. 4, pp. 46-56, 2006. 

  16. J. Katz, APD evaluation to therapy: The Buffalo model. Audiology Online, 2014. 

  17. J. Katz & C. Harmon, Phonemic synthesis; Testing and training. In R. Keith(Ed.), Central auditory and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pp. 145-159). Houston, TX: College-Hill Press, 1981. 

  18. P. Tallal, S. L. Miller, G. Bedi, G. Byma, X. Wang, S. S. Nagarajan, C. Schreiner, W. M. Jenkins, & M. M. Merzerich, Language comprehension in language-learning impaired children improved with acoustically modified speech. Science, Vol. 271, pp. 81-84, 1996. 

  19. P. Lindamood & P. Lindamood, Lindamood Phonological Sequencing (LIPS) program. San Luis Obisop, CA: Gander, 1996. 

  20. T. J. Bellis, When the brain can't hear: Unraveling the mystery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New York: Atria Books, 2002. 

  21. Minnesota Department of Education, Introduction to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Division of Special Education, 2003. 

  22. J. M. Ferre, Management Strategies for APD. In Teralandur K. Parthasarathy (Ed.), An introduction to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in children. (pp. 161-186).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6. 

  23. K. J. Foli, & H. Elsisy, Influence, education, and advocacy: The pediatric nurse's role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Vol. 15, No. 1, pp. 62-71, 2010. 

  24. D. A. DeBonis & D. Moncrief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An update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 17, pp. 4-18, 2008. 

  25. D. C. Emanuel, K. N. Ficca, & P. Korczak, Survey of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Audiology, Vol. 20, No. 1, pp. 48-60, 2011. 

  26. D. R. Moore,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PD): Definition, diagnosis, neural basis, and intervention. Audiological Medicine, Vol. 4, pp. 4-11, 2006. 

  27. G. G. Rosenberg, Classroom acoustics and personal FM technology in the management of APD. Semin Hear, Vol. 23, pp. 309-317, 2002. 

  28. A. Ryan & M. Logue-Kennedy, Exploration of teachers' awareness and knowledge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C)APD). Britis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 40, No. 4, pp. 167-174, 2013. 

  29. F. Musiek, Habilitation and management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Overview of selected procedur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Vol. 10, No. 6, pp. 329-342, 19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