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가림자재 종류와 녹비작물 재배에 따른 4년생 인삼의 생육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4 Years Old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by Shade Materials and Green Manure Crop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0 no.4, 2015년, pp.504 - 509  

성봉재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김선익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이가순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김현호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원준연 (중부대학교) ,  서정덕 (전주대학교) ,  조진웅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정지에서 재배한 녹비작물과 해가림자재가 인삼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2+청2(TBTBPN) 해가림에서의 인삼 엽폭은 호밀헤어리베치 재배구가 좋았고, 흑1+청3(TBOBPN) 재배구의 엽장은 보리와 헤어리베치 재배구가, 엽폭은 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 생육이 좋았으며, 차광지(BPS) 재배에서 엽장은 보리와 보리+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 생육이 좋았지만 경장은 다른 해가림자재에 비해 감소된 결과를 보였다. 2. 인삼 근중은 흑2+청2(TBTBPN) 해가림 처리는 호밀과 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 흑1청3(TBOBPN) 해가림에서는 호밀과 보리+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 생육이 좋았지만, 차광지(BPS) 해가림에서는 녹비종류별 큰 차이는 없었다. 3. 뿌리썩음병 발생율은 흑2+청2 해가림 처리는 보리재배구가 10.2%로 높았으며, 흑1+청3 해가림처리는 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 23.1%로 높았으나, 호밀재배구는 해가림 자재에 관계없이 뿌리썩음병 발생율이 가장 적었다. 4. 흑2청2 해가림 처리의 ginsenoside 함량은 호밀재배구가 가장 높았고, 흑1+청3 재배구에서는 보리재배구가 높았으며, 차광지 재배구는 호밀재배구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green manure crop cultivated at a preparation field and the shading net on the growth, development, and quality of ginseng. Followings ar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Leaf width of ginseng under the shading net of a two-layered blu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1)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재배를 위하여 예정지 토양에 재배하는 녹비작물의 종류가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인삼재배에 적합한 녹비작물의 선발 및 녹비의 종류에 따른 인삼의 경시적 생육변화, 뿌리의 경도, 조사포닌 함량 등을 조사하여 수량성 및 품질향상 조건을 개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예정지에서 재배한 녹비작물과 해가림자재가 인삼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의 재배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인삼은 초작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보통이나, 인삼재배를 위한 초작지 부족으로, 최근에는 재작지 토양을 이용하거나, 밭을 깎아내고 관리하여 재배하는 방법, 인삼을 수확하고 1 m 이상 뒤집어 관리하여 재배하는 방법 및 Dazomet 입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 등을 사용하여 인삼을 재배하고 있다(Seong et al., 2014a; Seong et al.
인삼 재배면적 감소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인삼 재배면적은 초작지 부족, 연작장해 발생 및 기상여건 변화 등의 원인으로 2009년 19,702 ha로 가장 높은 재배면적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되어, 2014년 14,652 ha로 매년 약 1,000 ha씩 감소되고 있다(MAFRA, 2014). 이로 인해, 연작장해 해결을 위하여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 답전윤환방식으로 토양을 관리하여 인삼을 재배하는 경작방법(Jo et al., 1996)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논에서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의 기주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벼를 지역에 따라 2~5년간 지으면 인삼을 다시 경작할 수 있으며(Lee et al., 2004), 담수에 의한 인삼 연작장해의 주요 원인균인 Cylindrocarpon destructans 등의 밀도가 감소하고, 인삼생육을 억제하는 독소물질이 희석되어 다시 인삼의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 et al., 1995; Kang et al.
우리나라의 인삼 재배면적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 2014b). 우리나라의 인삼 재배면적은 초작지 부족, 연작장해 발생 및 기상여건 변화 등의 원인으로 2009년 19,702 ha로 가장 높은 재배면적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되어, 2014년 14,652 ha로 매년 약 1,000 ha씩 감소되고 있다(MAFRA, 2014). 이로 인해, 연작장해 해결을 위하여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 답전윤환방식으로 토양을 관리하여 인삼을 재배하는 경작방법(J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 D. H., K. J. Park, Y. H. Yu, S. H. Oh, and H. S. Lee. 1995. Root rot development of 2-year ol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ten in the continuous cultivation field. J. Ginseng Research. 19 : 175-180. 

  2. Crecchio, C., M. Curci, R. Mininni, P. Ricciuti, and P. Ruggiero. 2001. Short term effects of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 amendments on soil carbon and nitrogen content, some enzyme activities and genetic diversity. Biol. Fertil. Soils. 34 : 311-318. 

  3. Fagan, L. L., R. K. Didham, N. N. Winchester, V. Behan-Pelletier, M. Clayton, E. Lindquist, and R. A. Ring. 2006. An experimental assessment of biodiversity and species turnover in terrestrial vs canopy leaf litter. Oecologia. 147 : 335-347. 

  4. Jo, J. S., C. S. Kim, and J. Y. Won. 1996. Crop ratation of the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the rice in paddy field.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 : 19-26. 

  5. Kang, S. W., B. Y. Yeon, G. S. Hyeon, Y. S. Bae, S. W. Lee, and N. S. Seong. 2007.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injury ratio by progress years of post-harvest in continuous cropping soils of ginsen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 157-161. 

  6. Lee, J. C., J. H. Choi, S. K. Cheon, C. H. Lee, and J. S. Jo. 1983. Studies on the optimal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Panax ginseng. II.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contents of saponin and free sugar in the ginseng leaf. Korean J. Ginseng Research. 29(s) : 3-18. 

  7. Lee, S. W., S. W. Kang, D. Y. Kim, N. S. Seong, and H. W. Park. 2004.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pounds of ginseng cultivated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 10-16. 

  8. Lee, S. W., B. Y. Yeon, D. Y. Hyun, G. S. Hyun, C. G. Park, T. S. Kim, and S. W. Cha. 2007a. Effects of compost application level on seedling growth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 138-141. 

  9. Lee, S. W., C. G. Kim, M. J. Lee, D. Y. Hyun, C. G. Park, H. K. Park, and S. W. Cha. 2007b. Effects of blue and yellow polyethylene shading ne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 194-198. 

  10. Lee, S. W., C. G. Kim, D. Y. Hyun, B. Y. Yeon, K. W. Lee, and S. W. Cha. 2008. Effects of light transmission ratio and soil moisture cont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ling in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 207-210. 

  11. Lee, C. H. 2007. Effects of shading material of rail shelter on growth and quality in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4) : 291-295. 

  12.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Statistical source book of ginseng 201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p. 2-3. 

  13. Madejon, E., Burgos, R. Lopez, and F. Cabrera. 2001. Soil enzymatic response to addition of heavy metals with organic residues. BBiol. Fertil. Soils. 34 : 144-150. 

  14. Mok, S. K., S. K. Cheon, S. S. Lee, and T. S. Lee. 1994. Effect of Shading net colors on the growth and saponin content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Ginseng Sci. 18(3) : 182-186. 

  15. Park, H., S. k. Mok, and K. S. Kim. 1982. Relationship between soil moisture, organic matter and plant growth in ginseng plantation. J. Korean Soc. Soil Fert. 15 : 156-161. 

  16. Park, H., J. H. Yoon, J. S. Byen, and B. G. Cho. 1987. Effect of growth light and planting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Crop Sci. 32(4) : 386-391. 

  17. Pascual, J. A., C. Garcia, T. Hernandez, J. L. Moreno, and M. Ros. 2000. Soil microbial activity as a biomarker of degradation and remediation processes. Soil Biol. Biochem. 32 : 1877-1877. 

  18. Peacock, A. D., M. D. Mullen, D. B. Ringelberg, D. D. Tyler, D. B. Hedrick, P. M. Gale, and D. C. White. 2001. Soil microbial community responses to dairy manure or ammonium nitrate applications. Soil Biol. Biochem. 33 : 1577-1585. 

  19. Seong B. J., K. S. Lee, S. H. Han, S. I. Kim, G. H. Kim, S. S. Lee, J. Y. Won, J. D. So, and J. W. Cho. 2014a.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by Different Shade Materials. Korean J. Crop Sci. 59 : 505-510. 

  20. Seong, B. J., S. H. Han, S. S. Lee, G. H. Kim, K. S. Lee, H. H. Kim, J. Y. Won, J. D. So, and J. W. Cho. 2014b.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by Green Manure Crops. Korean J. Crop Sci. 59 : 364-3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