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어촌 뉴타운조성사업을 토대로 본 농촌 활성화를 위한 주거환경 정책 방향
Review of Rural Housing Policies for Rural Revital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Rural Newtown Project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4 no.6, 2015년, pp.887 - 901  

박정아 (원광대학교 가정교육과) ,  최병숙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강인호 (한남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imitations and pending problems after reviewing the overall policies and status of rural Newtown projects, and to seek solutions to its problems. This study targeted the villages of 5 districts, which were developed as rural new-towns after 2009 and included the basic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범사업 이후 2012년-2017년에 48개 지구를 더 추진하는 계획이 있었지만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일부 부정적인 요인들이 나타나면서 현재 본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다른 농어촌 정책과는 달리 도시의 젊은층 유입을 통해 농촌의 차별적인 정책을 표방했던 농어촌뉴타운사업의 문제점을 진단해보고 농어촌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향후 귀농정책을 수립하는데 참고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는 농촌의 주거환경개선에 중점을 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중장기 주택 대책 수립 및 실천과제를 도출함으로써 농촌주거정책의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분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 중 마을단위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인 뉴타운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정책 및 사업 현황, 그리고 그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당면한 문제점과 해결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 당초 영농계획서를 제출하고 입주자격을 부여하였으나 이들이 일시에 영농을 위한 농토 마련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귀농 예정자도 입주 후 실제 영농에 종사하지 않는다고 해도 마땅히 제재할 수단이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분석된다.
  • 또한 본 연구는 농촌의 주거환경개선에 중점을 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중장기 주택 대책 수립 및 실천과제를 도출함으로써 농촌주거정책의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분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 중 마을단위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인 뉴타운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정책 및 사업 현황, 그리고 그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당면한 문제점과 해결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어촌뉴타운사업의 현황은 어떠한가? 최근 농어촌지역은 농업인력 부족 및 고령화, 낮은 소득 수준, 빈집 발생 등 마을의 과소화 및 공동화 현상이 심화 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09년부터 정부에서는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 인력들을 농어촌으로 유치하여 농어 촌의 활력을 증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농어촌뉴타운사업을 시행하였다. 전국에서 5개 시범지구를 선정하여 농어촌 뉴타운시범마을 조성사업을 실시하였으며, 2013년 기준으로 시범사업이 모두 완료된 상태이다. 시범사업 이후 2012 년-2017년에 48개 지구를 더 추진하는 계획이 있었지만 시범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일부 부정적인 요인들이 나타나면서 현재 본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어촌 뉴타운조성사업에서 제공되는 주택 유형은? 주택유형은 단독, 타운하우스, 한옥, 테라스 하우스 등 다양한 주거유형이 제공되어 있어 입주자의 선택 폭이 다양하게 제공되어 있다. 주택공급방식은 단독주택과 한옥은 모두 분양방식, 타운하우스는 임대형 공급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농어촌 뉴타운시범지구 마을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농어촌 뉴타운시범지구 마을의 유형은 대도시 근교형, 지역거점형, 농촌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뉴타운 시범지구 마을유형으로 대규모 근교형은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의 도심으로부터 자동차로 1시간이내 지역으로서 도시 생활기반 공유가 가능하고, 문화 및 편익시설이용이 가능한 유형, 지역거점형은 대도시 이외의 시의 중심으로부터 자동차로 30분 이내 입지한 마을이거나 읍의 중심부에 위치함으로써 자체생활권이 형성된 지역의 마을유형, 그 이외 농촌형은 전원생활 위주의 농촌지역으로 주생활 권이 중심면과 읍인 경우의 마을유형으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J. S., Park, Y. G. & Chai, H. J.(2012). Rural New Town Composition Assessment Pilot Project Research, Kangwon University 

  2. Choi, H. J., Kim, C. H., Kim, S. H. & Kim, J. H.(2010). Improvements of Rural New Town Project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0-51 

  3.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2009). New Town project Execution Guidelines for Rural Development 

  4. Kim, S. K. & Lee, S. J.(2000).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ublic Space in Rural Village: Focused on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Project in Chinju,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2(3), 1-14. 

  5. Shin, D. S.(1978). Definition of Rural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nd Furtherance Direction: Settlement Construction of the restructuring of the Rural Housing Improvements of Industry, Local Administration, 27(293), 40-53. 

  6. Soe, J. H.(1977). The Significance and the Improvement of Suburban Community Industry (the first), Local Administration, 26(283), 100-109. 

  7. Soe, J. H.(1977). The Significance and the Improvement of Suburban Community Industry (the latter). Local Administration, 26(285). 102-115. 

  8. Eom, I. S. & Kim, J, I.(1983). A Study on the Space Utilization in Reformed Farm Houses(I). Architecture, 27(3). 11-18. 

  9. Chung, C. M.(1991),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 of Rural Housing Improvement Project,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16(2), 59-70. 

  10. Lee, S. H.(2006), The Rural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nd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1970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9(4), 233-264. 

  11. Choi, C. H.(1982), A Study on dweller's Attitutides and opinions about Farm Housing Improvement, rjscnr 26(1), 9-15. 

  12. Kim, S. W., Lee, Y. M. & Jang, D. C.(1995),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the Conventional Rural Houses in Kyung-gi Provin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1), 3-15. 

  13. Jang, B. W.(1979), Rural Houses Improvement Business : Problems and the measures that derive from the Traditional Rural Housing and Development in South Jeolla province A Comparative Study of Rural Houses,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Geography), 14(1), 41-51. 

  14. Ju, D. G.(2013), Methodology of Rural Village Remod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13 Spring Conference & Symposium, 9-37. 

  15. Shin J. S. & Kim, S. B.(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and Rating system for Remodeling in Rural Community Fac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4), 233-242. 

  16. Kim, W. K.(2012), Promotion Special Law for the Rural Village Remodeling Background and Key Contents, Rural Villages Now Remodeling Needs(Research Material-D332). 49-88. 

  17. Kim, H. R., Lim, C. S., Kim, S. B., Kim, U. J. & Hong, K. W.(2013), A Study on th Improvement related with the House Remodeling Support Program for Underprivileged Group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2), 75-91 

  18. Kim, H. R., Lim, C. S., Kim, E. J., Hong, K. W., & Moon, H. G.(2014), The Se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Remodeling in Rural Housing for Residential Environments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 1-12. 

  19. Kim, H. R., Lim, C. S., Kim, U. J., Kim, S. B. & Choi, J. A.(201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Target Elements for Rural Village Remodeling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3), 111-122. 

  20. Seong, J. I., Park, S. H., Yoon, B. S. & Lee. D. P.(2011), Policies and Measures for Encouraging Urban Residents to Move into Rural Areas, Policy Research Paper-P151), 1-66. 

  21. Kang, M. N.(2013), Current Situation be Deserted Rural Areas and Policy Direction, KRIHS Policy Brief, 434, 1-6. 

  22. Kang, M. N.(2009), Rural Household's Housing and Its Implications, KRIHS Policy Brief, 249, 1-6. 

  23. Kang, M. N., An, H. K. & Yu, M. K.(2015), Evaluation Indicators of Housing Type in the Diminishing National Welfare and Exploitation, KRIHS Policy Brief, 502,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