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로 입출구 노즐 이종금속 용접부 Weld Inlay 레이저 클래딩 공정 개발
Process Development of Laser Cladding for Weld Inlay Repair of Dissimilar Metal Weld in Reactor Vessel In/Outlet Nozzles 원문보기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11 no.1, 2015년, pp.53 - 60  

조홍석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기계재료연구실) ,  정광운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기계재료연구실) ,  모민환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기계재료연구실) ,  조기현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기계재료연구실) ,  최동철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기계재료연구실) ,  이장욱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기계재료연구실) ,  조상범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기계재료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velop process technology of laser cladding with austenite stainless steel for Weld Inlay repair of dissimilar metal weld in reactor vessel in/outlet nozzles. Weld Inlay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laser cladding repair system consisting of common manipulator, las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레이저출력과 와이어 송급 속도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용접 속도가 용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ig.
  • 레이저출력과 용접속도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와이어 송급 속도가 용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 입출구 노즐 이종금속 용접부 Weld Inlay 예방정비를 위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레이저 클래딩 공정 개발을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입열량의 레이저클래딩 공정을 이용한 원자로 입출구 노즐 Weld Inlay 정비 기술 확보를 위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레이저클래딩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대출력 3kW 다이오드레이저를 이용하여 용가재별(ER309L, Alloy 52M)로 용접 변수를 변화시키면서 Melt-run 실험을 실시하여 용접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도출된 최적 용접 공정 변수를 바탕으로 모재인 스테인리스강 위에 용가재 ER309L과 Alloy 52M를 적층하여 육성용접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압수형원자로 일차냉각수 입출구 관내 노즐부의 이종금속 용접부 PWSCC 결함의 보수 및 예방정비 기술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용접부는 원전의 가동년수 증가와 함께 Alloy 600 계열 재료가 용접 잔류응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고온의 일차수냉각재와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PWSCC 결함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6). 이들 용접부의 PWSCC 손상은 냉각재 누설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보수 및 예방정비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들 용접부에 대한 PWSCC의 보수 및 예방정비 방법은 웨스팅하우스(사)에서 개발한 작업자와 장비가 노즐 내부로 접근하는 Weld Inlay 기술의 SAFEPLAY(7), 도시바 (사)에서 개발한 수중레이저빔용접(ULBW: Underwater Laser Beam Welding)(8), 미쓰비시중공업(사)에서 개발한 Primary, Conventional, Advanced Inlay(9) 그리고 NuVision(사)에서 개발한 기계적 응력 완화 기술(MSIP: Mechanical Stress Improvement Process)(10) 등이 있다.
SA508 저합금강 재질의 원자로 입출구 노즐은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가? Fig. 1과 같이 저합금강 재질(SA508)의 원자로 입출구(In/Outlet) 노즐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SA182) 안전단 사이에 인코넬 합금 계열 (Alloy 600: Alloy 82/182) 재질을 이용하여 버터링(Buttering)과 이종금속 용접부(DMW: Dissimilar Metal Weld)로 결합되어 있다.
PWSCC의 보수 및 예방정비 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이들 용접부의 PWSCC 손상은 냉각재 누설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보수 및 예방정비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들 용접부에 대한 PWSCC의 보수 및 예방정비 방법은 웨스팅하우스(사)에서 개발한 작업자와 장비가 노즐 내부로 접근하는 Weld Inlay 기술의 SAFEPLAY(7), 도시바 (사)에서 개발한 수중레이저빔용접(ULBW: Underwater Laser Beam Welding)(8), 미쓰비시중공업(사)에서 개발한 Primary, Conventional, Advanced Inlay(9) 그리고 NuVision(사)에서 개발한 기계적 응력 완화 기술(MSIP: Mechanical Stress Improvement Process)(10) 등이 있다. Weld Inlay의 주요 특징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SME Code Case N-766. 

  2.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220, 2006, "Review of stress corrosion cracking of alloys 182 and 82 in PWR primary water service",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3.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106, 2004, "Welding residual and operating stresses in PWR alloy 182 butt weld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4.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115, 2004, "Crack growth rates for evaluating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PWSCC) of alloy 82, 182, and 132 weld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5. Zhang, X. D., Ashida, E., Shono, S. and Matsuda, F., 2006, "Effect of shielding conditions of local dry cavity on weld quality in underwater Nd:YAG welding",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174, pp. 34-41. 

  6. Cho, H. S., Park, I. K. and Jung, K. W., 2015, "The effect of ultrasonic nano crystal surface modification for mitigation of the residual stress after weld inlay on the alloy 82/182 dissimilar metal welds of reactor vessel in/outlet nozzle",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Vol. 33, No. 2, pp. 40-46. 

  7. Kreitman, P. and Kroes, A., 2007, "RPV inlet/outlet nozzle repair (SAFEPLAY )",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PWSCC Workshop. 

  8. Hino, T., Tamura, M., Tanaka, Y., Kouno, W., Makino, Y., Kawano, S. and Matsunaga, K., 2009, "Development of underwater laser cladding and underwater laser seal welding techniques for reactor components", Journal of Power and Energy Systems, Vol. 3, No. 1, pp. 51-59. 

  9. Kobayashi, Y., 2012, "Advanced INLAY system for inlet/outlet nozzles of RV for preventive maintenance against Alloy 600 PWSCC in Japanese PWR plants", International Boiling Water Reactor and Pressuried Water Reactor Materials Reliability Conference and Exhibit Show 2012. 

  10.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121, 2006 "Mechanical stress improvement process(MSIP)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xperience for PWR application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11.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II Part A, C, 2010 Edition. 

  12. Cho, H. S., Cho, K. H., Mo, M. H., Lee, J. W. and Chang, K. S., 2012, "Technology development of weld inlay system for RV nozzles", Proceedings of 2012 Korean Society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Annual Conference, pp. 149-1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