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로 입출구 노즐 Alloy 82/182 이종금속 용접부 Weld Inlay 적용 후 초음파나노표면개질이 잔류응력 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ltrasonic nano crystal surface modification for mitigation of the residual stress after weld inlay on the alloy 82/182 dissimilar metal welds of reactor vessel in/outlet nozzles 원문보기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33 no.2, 2015년, pp.40 - 46  

조홍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 대학원 에너지시스템 공학과) ,  박익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  정광운 (한전KPS(주) 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trasonic nano crystal surface modification (UNSM) on residual stress mitigation after Weld Inlay repair for butt dissimilar metal weld with Alloy 82/182 in reactor vessel In/Outlet nozzle. As-welded and Weld Inlay specimens were made in accor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 입출구 노즐 Weld Inlay 적용 후 잔류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초음파 진동에너지로 표면 압축 잔류응력을 형성시킬 수 있는 초음파나노표면개질(UNSM: Ultrasonic Nano Crystal Surface Modification)13-16) 기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Weld Inlay 시편을 제작하여 UNSM 처리 후 UNSM 전후의 잔류응력을 계장화압입시험(IIT: Instrumented Indentation Technique)17)으로 측정하고, UNSM이 잔류응력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 입출구 노즐 이종금속 용접부 Weld Inaly 용접 후 용접부 내 존재하는 잔류응력에 대하여 초음파나노표면개질(UNSM)처리 기술 적용 시 잔류응력 완화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류응력 완화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편, Weld Inlay 용접 후 용착된 이종금속 용접부와 열영향부는 국부적인 가열과 냉각으로 인한 수축으로 인장 잔류응력이 존재하게 되며, 이는 PWSCC 감수성을 높이기 때문에 Weld Inlay 용접부 내에 존재하는 잔류응력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 원자로 냉각재 1차계통 맞대기 이종금속 용접부에 적용되고 있는 잔류응력 완화 기술로는 기계적 응력 완화 기술 (MSIP: Mechanical Stress Improvement Process)8), 레이저 피닝 (LP: Laser Peening)9-11), 워터젯 피닝 (WJP: Water Jet Peening)12) 등이 있으며, 주로 해외 기술에 국한되어 있다.
PWSCC 결함에 대한 보수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원자로 입출구 노즐 Alloy 600 이종금속 용접부의 PWSCC 결함에 대한 보수 방법 중의 하나로 Fig. 1과 같이 ASME Code Case N-7666)에서 제시하는 요건인 Weld Inlay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원자로 냉각재와 접촉하는 입출구 노즐 용접부의 PWSCC에 민감한 Alloy 600 계열 재질의 두께 일부(최소 1/8 in.
이종금속 용접부에는 어떤 결함이 발생하는가? 원자로 입출구 노즐(SA508: Ferritic nozzle)부는 스테인리스강 안전단(SA182: Austenitic safe end of piping) 사이에 Alloy 600 계열(Alloy 82/182) 재질을 이용한 이종금속 용접부로 결합되어 있다. 이들 용접부는 원전의 가동년수 증가와 함께 원자로 냉각재와의 접촉, 재료열화 및 용접부 잔류응력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일차수응력부식균열(PWSCC: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고 있다1-5). 원자로 입출구 노즐 Alloy 600 이종금속 용접부의 PWSCC 결함에 대한 보수 방법 중의 하나로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114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weld repairs on dissimilar metal butt weld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06) 

  2.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220 : Review of stress corrosion cracking of alloys 182 and 82 in PWR primary water service,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06) 

  3. Takehisa Hino, Masataka Tamura, Yoshimi Tanaka, Wataru Kouno, Yoshinobu Makino, Shohei Kawano and Keiji Matsunaga: Development of underwater laser cladding and underwater laser seal welding techniques for reactor components, Journal of Power and Energy Systems, 3(1) (2009), 51-59 

  4. Xudong Zhang, Eiji Ashida, Susumu Shono and Fukuhisa Matsuda: Efffect of shielding conditions of local dry cavity on weld quality in underwater Nd:YAG welding,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174 (2006), 34-41 

  5. Sang-Chul Kim and Mann-Won Kim: PWSCC crack growth analysis using numerical method in the inner surface repair weld of nozzle, Journal of KWJS, 29(2) (2011), 64-71 

  6. ASME Code Case N-766 

  7. ASME Code Case N-803 

  8.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121: Mechanical stress improvement process (MSIP) implemention and performance experience for PWR application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06) 

  9. Arvi Kruusing: Underwater and water-assisted laser processing: Part 1-general features, steam cleaning and shock processing, Optics and Lasers in Engineering, 41 (2004), 307-327 

  10. Jialei Zhu, Xiangdong Jiao, Canfeng Zhou and Hui Gao: Applications of underwater laser peening in nuclear power plant maintenance, Energy Procedia, 16 (2012), 153-158 

  11.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162: An evaluation of surface stress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PWSCC mitigation of Alloy 600 nuclear component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06) 

  12. Materials Reliability Program-267: Technical basis document for primary stress corrosion crackiing mitigation by surface treatment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10) 

  13. Amrinder Gill, Abhishek Telang, S.R. Mannava, Dong Qian, Young-Shik Pyoun, Hitoshi Soyama and Vijay K. Vasudevan: Comparison of mechanisms of advanced mechanical surface treatments in nickel-based superalloy,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A, 576 (2013), 346-355 

  14. Min-Soo Suh, Young-Shik Pyoun and Chang-Min Suh: Variation of fatigue properties in nanoskinned Ti-6Al-4V-Rotating bending and axial loading tension- compression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36(4) (2012), 443-449 

  15. Young-Shik Pyoun, Jeong-Hyeon Park, In-Ho Cho, Chang-Sik Kim and Chang-Min Suh: A study on the ultrasonic nano crystal surface modification (UNSM)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33(3) (2009), 190-195 

  16. Chang-Soon Lee, In-Gyu Park, In-Sik Cho, Jung-Hwa Hong, Tae-Gu Jhee and Young-Shik Pyoun: Rolling contact fatigue and residual stress properties of SAE52100 steel by untrasonic nano-crystal surface modification (UN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t Treatement, 21(1) (2008), 10-19 

  17. Won-Seok Song, Seung-Gyu Kim, Hee-Jun Ahn, Kwang-Ho Kim and Dong-Il Kwon: A study on utilizing instrumented indentation technique for evaluating infield integrity of nuclear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33(2) (2013), 165-172 

  18. ASME Boiler and Pressure Code Section II Part A, C, 2010 Edi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