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식생 복원을 위한 산림표토내의 매토종자 적정 활용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il Seed Bank for the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6, 2015년, pp.201 - 214  

김남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김호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  최미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orest topsoil's usefulness from July 2013 to Oct 2014. Generally, there are abundant seeds in topsoils and it can be used at restoration works. Mt. GARIWANG is famous for biodiversity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suitable utilization method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산림 표층토내에 잠재하고 있는 매토종자를 이용하여 훼손되기 이전의 원식생과 유사한 식생형으로 복원하기 위한 것이므로 우선 채취시기에 따른 발아율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표층토의 적용 두께에 대한 발아율조사를 하였다.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가리왕산 내 유전자보호림내의 표토를 수거하여 표토 내 매토종자의 출현과 이들에 의한 피복율을 조사하여 표토의 활용 필요성을 파악하고, 표토 활용을 위한 최적피복두께에 대한 실험을 병행함으로써 표토를 활용한 원산림식생의 복원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가리왕산과 같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산림지역에서 부득이하게 생성하는 훼손지를 생태복원 하고자 할 때, 표토를 활용하는 복원계획수립 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스키장, 골프장 등의 개발현장에서 발생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국내의 스키장, 골프장 등 개발현장에서는 부지조성 시 귀중한 표토 자원을 무분별하게 제거되거나 깊숙하게 매몰하여 버리는 일이 발생한다. 강원랜드 스키스로프 공사 시에도 이러한 문제가 이슈화되었으며, 하천 범람지, 공사현장 등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빈번하다(Kim, 2005; Cho et al.
원시림 지역의 교목들이 고사했을 때 일어나는 변화는? , 1998; Forest Service, 2012). 이러한 교목들이 자연사나 교란으로 인해 고사하였을 때 숲 틈이 생겨나면 토양속의 매토종자가 발현되어 즉각적인 식생재생이 일어나지만(Koo, 2013; Lee, 2009; Yi, 2010; Bigwood and Inouye, 1988), 복원노력 없이 방치하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붕괴와 침식이 가속된다(Lee, 2007; Lee, 2011; Kim, 2008). 가리왕산은 온전히 보전된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합림을 가지고 있어 식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수직 분포가 뚜렷하며(Ministry of Environment, 1999),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의 중봉알파인 자연환경조사에 의하면 동계올림픽 스키장 주변에서 96과 273속 389종 총 449분류군이 조사되었다(KOSERT, 2013).
가리왕산 지역의 생태적 특징은? 2018 동계 올림픽의 개최지가 평창으로 확정되면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포함한 가리왕산이 활강 경기(Alpine)예정지로 선정되었다. 가리왕산 지역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원시림 지역으로, 왕사스레나무, 분비나무, 주목 등이 최대 자생 군락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높은 영급의 교목들이 분포하고 있다(Back, 1998; Paik et al., 1998; Forest Service, 2012). 이러한 교목들이 자연사나 교란으로 인해 고사하였을 때 숲 틈이 생겨나면 토양속의 매토종자가 발현되어 즉각적인 식생재생이 일어나지만(Koo, 2013; Lee, 2009; Yi, 2010; Bigwood and Inouye, 1988), 복원노력 없이 방치하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붕괴와 침식이 가속된다(Lee, 2007; Lee, 2011; Ki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rchibold, O. W. 1989a. Seed banks and vegetation processes in coniferous forests, Applied Geography 2(3): 240. 

  2. Archibold, O. W. 1989b. Structure and function of northern coniferous forests-an ecosystem study. Applied Geography 2(3): 240. 

  3. Back WK. 1998. Flora and Vegetation of Resources Plants in the Mt. Gariwang(Kangwon-do).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11(2). 

  4. Bigwood, D. W. and D. W. Inouye (1988) Spatial pattern analysis of seed banks: An improved method and optimized sampling. Ecology 69: 497-507. 

  5. Bradshaw, A. D. 1984. Ecological principles and land reclamation practice. Landscape Planning 11: 35-48. 

  6. Byeon JK. 2013. The Flora of Mt. Gariwangn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in Jeongseon-gun, Gangwon-do, Korea.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26(5). P. 566-588 

  7. Cho DG. 2011. Eco restoration planing, design, Nexus-design, Seoul. 

  8. Cho YH et al. 2013.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at River Restoration Projects, J.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 34-43. 

  9. Dougall T. A. G. and J. C. Dodd. 1997. A study of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 seed-banks and its use for the environmental mitigation of a proposed holiday village development in a coniferized woodland in Southeast Engl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6(10): 1423-1428. 

  10. Forest Service. 2012.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methods of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zone in Mt. Gariwangsan. 

  11. Koh KS and Jeon YS. 2003. Ferns, fern-allies and seed-bearing plants of Korea, Iljinsa. 

  12. Koh JH. 2007. A Study on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soil seed bank to the revegetation.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 72-84. 

  13. Koh JH. 2007. The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for ecological restoration on cut slope, Korean Jeosysthetics Society, 6(4): 11-18. 

  14.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KOSERT). 2013.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Jung-Bong Alpine skislope in Mt. Gariyansan. 

  15. Koo BY. 2013. Soil seed bank diversity and relationship with ground vegetation in Gwangneung old-growth forest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2013, pp. 258-260. 

  16. Kim NC. 1998. Articles: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strategies for the disturbed Landscapes.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 28-44. 

  17. Kim NC ? Nam UJ and Shin KJ. 2008. A Study on the slope ecologic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models of the Baekdu-Mountain Range.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1): 72-84. 

  18. Kim YM. 2007. Buried seeds and the emergent species in a natural hardwood stand and plantations of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Mt. Jungwang,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Kim JS. 2005. A study on the ecological alternate technique for the pre-arrangment area of the forest damage in resort development: A case study of oak valley resort in Wolsong-li, Wonju city.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0.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eangmunsa. 

  21. Lee DG ? Kil SH ? Cho MH and Yang BE. 2011.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vegetation cover after slope revegetation. J.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5): 127-136. 

  22. Lee MH ? Kim YS and Shin HT. 2009. Similarity index between seed bank and actual vegetation. J.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proceding 2: 260-263 

  23. Leck M. A. ? V. T. Parker and R. L. Simpson. 1989. Ecology of Soil Seed Banks, Academic Press, San Diego, p. 107-122. 

  24. Lee JM. 2013. A study on topsoil management practices in development projects. M.S. Thesis, Konju National University. 

  25. Lee HJ. 2007. A Study on stabilization and restoration of degraded forest area using soil bioengineering techniques 

  26.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The nature resources of Pyeongchang and Jeongseon (1-20). 

  27. Mitchell, R. J. ? R. H. Marrs and M. H. D. AULD. 1998. A comparative study of the seed bank of heathland and successional habitats in Dorest, Southern England. Journal of Ecology 86: 588-596 

  28. Morrison, D. G. 1996. Design, restoration and managem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Geogia, Athens. 

  29. Nam SJ ? Yeo HJ ? Choi JY and Kim NC. 2004. Technical articles: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slopes. J.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7(4): 110-119. 

  30. Nam SJ and Kim NC. 1998. Technical Notes: A Study on the Seeding of Zoysia japonica and Woody Plants for the Revegetation of Rockexposed- slopes by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 J.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 141-150. 

  31. Paik WK ? Park WG and Lee WT. 1998. Flora and Vegetation of Resources Plants in the Mt. Kariwang(Kangwon-do), J.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11(2): 217-243. 

  32. Roberts, H. A. 1981. Seed banks in soils. Advances in Applied Biology 6: 1-55. 

  33. Son WJ. 2003. Study on the vegetation restoration of disturbed slopes with forest topsoil.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34. Yi MH. 2010. The relation between soil seed bank and actual vegetation.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