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력에 대한 연령과 소음 노출의 영향에 관한 5년간 청력역치 변화
For 5-years the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Noise Exposure and Aging to the Changes of Hearing Threshold Level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5 no.4, 2015년, pp.573 - 583  

채창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창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김자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창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손준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창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noise exposure and aging on changes in hearing threshold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noise. Materials: The author selected 274 male shipyard and assembly line workers as the noise exposed group and 582 males not expo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음 노출 작업자들과 비노출 작업자들의 개별적인 청력역치 변화를 일정기간 후향적으로 추적조사 하여 연령증가와 소음 노출에 따른 청력역치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여 청력저하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연령증가와 소음 노출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음 노출 작업자들과 소음 비노출 군의 개별적인 청력역치 변화를 일정기간 후향적으로 추적조사하여 연령증가와 소음 노출에 따른 청력역치의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두 군간의 청력역치 변화 차이를 비교하여 청력변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연령증가와 소음 노출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중 2008년에 처음으로 청력 정밀검사를 받았던 178명이 주로 분포하는 40대 미만의 연령군에서 이러한 평균 청력역치의 역전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과거 청력검사를 받았던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40대 이상 연령군에서 평균 청력역치의 역전현상이 적었다는 사실이 학습효과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시사해 준다. 학습효과는 결과적으로 측정오류의 한 범주로 볼 수 있으므로 처음으로 청력검사를 하는 사람에게는 검사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반복 측정 등을 통해 학습효과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음 작업장 근로자들의 청력은 소음 이외에 어떤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가? 소음 작업장 근로자들의 청력은 작업환경 소음 이외에도 노인성 난청, 이독성 약물 및 화학물질, 질병, 비직업적 소음 노출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Toppika et al., 2001).
청력역치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이는 다른 연구결과(Kamal et al., 1989; Kim et al,, 2005)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소음에 계속 노출될 경우 초기에 영향을 많이 받았던 주파수에서의 청력손실은 완만하게 일어나는 반면 그보다 더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의 청력손실은 촉진된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고 있다.
근로자 집단에서 소음성 난청의 점유율은? 소음성 난청은 근로자 특수건강진단에서 발견되는 직업성 질환 유소견자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MoEL, 2014a). 이는 청력보존프로그램 등 예방과 관리조치가 미흡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전체 제조업의 약 40% 이상이 소음발생부서이고 (MoEL, 2014b),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현실적으로 적어 상당수의 근로자가 청력 보호구 외에 별다른 대책 없이 소음에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Maximum permissible ambient noise levels for audiometric test rooms. ANSI S3.1.;1999. p. 1-16 

  2. Axelsson A, Aniansson G, Costa O. Hearing loss in school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sensorineural hearing impairment. Scand audiol 1987;16(3):137-143 

  3. Ballenger JJ. Disease of nose, throat, ear, head and neck. 14thed Pliadelphia. Lea&Febiger.;1991. p. 1053-1068 

  4. Cho BM, Park JO. The changes of hearing threshold level in noise-exposed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4;6(1):32-41 

  5. Chung DY, Mason K, Gannon RP. The ear effect as a function of age and hearing loss. J Acoust Soc Am 1983;73(4):1277-1282 

  6. Corso JF. Age correction factor in noise induced hearing loss: A quantitative model. Audiology 1980;19(3): 221-232 

  7. Cruickshanks KJ, Tweed TS, Wiley TL, Klein BE, Klein R et al. The 5-year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hearing loss: the epidemiology of hearing loss stud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29(10):1041-1046 

  8. Goldner AJ. Deafness in shipyard workers. AMA Arch Otolaryngol 1953;57(3):287-309 

  9. Hermann ER. An audiometric approach to noise control. Am Ind Hyg Assoc J 1963;24:344-356 

  10. Henderson D, Subramian M, Boettcher FA. Individual susceptibility to noise induced hearing loss: an old topic revisited. Ear Hear 1993;14(3):152-168 

  11. Howell RW, Hartley BP. Variability in audiometric recording. Br J Ind Med 1972;29(4):432-435 

  12. Kamal AA, Mikael RA, Fairs R. Follow up of hearing thresholds among forge hammering workers. Am J Ind Med 1989;16(6):645-658 

  13.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Korea worker's health check results. KOSHA;Ulsan.;2014a. p. 100-176 

  14.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Manufacture workplace survey(2014-Health-1070). KOSHA;Ulsan.;2014b. p.219-237 

  1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Standards for pure tone audiometric testing(KOSHA Guide H-56-2014). KOSHA;Ulsan.;2014. p.1-11 

  16. Kim JY, Lim HS, Cheong HK, Moon OR. A study on diagnostic criteria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among workers in an iron foundry. Korean J Prev Med 1993;26(3):371-386 

  17. Kim KS, Lee JH, Cho BM, Yang SR, Kim OK et al.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hearing thresholds in noise exposed worker. Korean Academy of Audiology 2005;1:67-79 

  18. Kim S, Lim EJ, Kim HS, Park JH, Jarng SS et al. Sex differences in a cross sectional study of age-related hearing loss in Korean. Clin Exp Otorhinolaryngol 2010;3(1):27-31 

  19. Lee JH. Occupational disease of noise exposed worker. Hanyang med Rev 2010;30(4):326-332 

  20. Lee JH, Lee CY, Yoo CI, Yaang SR, Kim OH et al. The effect of noise exposure and age on the changes of group mean hearing threshold level.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9;11(2):137-152 

  21. Lee JH, Kim JS, Oh SY, Kim KS, Cho SJ. Effects of age on hearing thresholds for normal adults. Korean J Audiol 2003;7(1):15-23 

  22. Lee YH. A survey on the changes in industrial noisy environment and hearing loss of workers. Korean J Prev Med 1989;22(3):337-354 

  23. Lim HS, Kim H, Jung HK. A study on the status of management among workers diagnosed as hearing loss in an iron foundry.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2;4(2):190-198 

  24. Macrae JH. Noise induced hearing loss and presbycusis. Audiology 1971;10(5):323-333 

  25. Mills J. Noise induced hearing loss. Philadelphia, Mosby year book.;1992. p. 237-245 

  26. Paik DM. Occupational diseases, its recognition and diagnosis - A review on the current practi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3;30(1):73-84 

  27. Palmer KT, Griffin MJ, Syddall HE, Pannett B, Cooper C et al. Raynaud's phenomenon, vibration induced white finger and difficulties in hearing. Occup Environ Med 2002;59(9):640-642 

  28. Pirila T, Jounio-Ervasti K, Surri M. Left-right asymmertries in hearing threshold levels in three age groups of a random population. Audiology 1992;31(3):150-161 

  29. Prince MM. Distribution of risk factors for hearing loss: implications for evaluating risk of occupational noise-induced hearing loss. J Acoust Soc Am 2002; 122(2):557-567 

  30. Robert A. Preven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21(4):385-391 

  31. Robinson DW, Shipton MS, Whittle LS. Audiometry in industrial hearing conservation-II. J Occup Environ Med;1976. p. 432 

  32. Royster JD, Royster LH. Using audiometric data base analysis. J Occup Med 1986;28(10):1055-1068 

  33. Simpson TH, Mcdonald D, Stewart M. Factors affecting laterality of standard threshold shift in occupational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Ear Hear 1993;14(5): 322-331 

  34. Toppila E, Pyykko I, Starck J. Age and noise induced hearing loss. Scand Audiol 2001;30(4):236-244 

  35. Won JU, Ahn YS, Roh JH. The effects of adjustment on the diagnosi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Korean J Prev Med 1995;28(3):651-6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