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효과모형을 통한 설계요소의 유용성 이해
Understanding Complex Design Features via Design Effect Model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8 no.6, 2015년, pp.1217 - 1225  

박인호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조사자료분석에 있어서 표본추정량에 대해 설계요소가 갖는 효율성은 단순확률추출과 비교한 복잡표본설계의 의한 표본추출이 주는 분산의 상대적 크기인 설계효과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설계효과의 유용성은 복잡설계요소의 함수형태로 표현될 수 있을때 극대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층화다단추출의 표본설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 설계효과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설계효과모형은 기존 다단추출을 위한 Gabler 등 (1999, 2006)의 모형을 일반화한 것으로 층구조, 표본할당, 집락추출 및 불균등가중치 등의 설계요소들이 정도수준에 갖는 영향력을 함수식으로 명확히 나타내주고 있다. 이를 활용하면 사전에 기술된 추정정도를 얻기 위해 설정한 표본크기가 줄 수 있는 설계효과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후적으로 표본설계의 개별 설계요소들이 표본추정량에 대해 갖는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vey research, data is commonly collected through a sample design with complex design features that allow the relative efficiency on the precision of an estimator to be measured using the concept of the design effect compared to simple random sampling as a reference design. This concept is most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절에서는 층화다단추출의 표본설계에서 적용이 가능한 일반화 설계효과모형을 제시하고 기존 연구의 모형들과 어떻게 비교될 수 있는 지 살펴본다. 더불어 제시된 설계효과모형이 활용된 설계사례를 간단히 소개한다. 4절에서는 설계효과모형과 관련된 추가적인 몇 가지 연구 이슈들에 대해 간단히 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 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설계효과모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층화다단추출의 표본설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 설계효과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설계효과모형과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모형들간의 관계성을 논의하며 적용사례를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 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설계효과모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층화다단추출의 표본설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 설계효과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설계효과모형과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모형들간의 관계성을 논의하며 적용사례를 살펴본다. 2절에서는 집락과 불균등가중치를 반영한 Kish (1965, 1987, 1992)와 Gabler 등 (1999)의 기본적 연구를 정리한다.

가설 설정

  • 기존 설계효과모형은 제안된 모형 (3.1)의 특수한 형태가 되며 다양한 표본설계에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가정을 정리한다. 먼저 Lee (2012)의 기본 모형 가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층별로 집락표본 nh개가 추출되며 추출된 집락내 Mhi의 개체 중 mhi개가 추출된다고 하자. 또한 표본개체(hik)에 대해 조사값 yhik와 표본가중치 whik가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h = 1, .
  • 추출확률, 무응답조정, 래이킹 비 조정 등 일련의 가중치 조정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불균등) 가중치의 상대분산이 20% 수준일 것을 가정하여 가중치효과 요소모형으로 δwh = 1 + 0.22 = 1.04을 계산하였다.
  • 층화, 집락 및 불균등가중치의 세 가지 설계요소를 갖는 층화집락추출을 반영하기 위해 조사변수 y에 대해 다음의 혼합모형 ξ을 가정하자.
  • Gabler 등 (2006)는 국가간 비교를 목적으로한 유럽사회조사(European social survey; ESS)의 표본설계 지침은 물론 조사결과를 통한 표본설계 요소의 효율성 평가를 위해 집락들로 이루어진 영역(domain)들로 이루어진 모집단에 대한 집락효과를 반영한 표본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표본은 총 n개의 집락들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 H개의 영역 Ch에 속하고 개별영역은 nh개 표본집락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영역 h내 i번째 집락이 mhi개 개체들로 구성된다면 가중표본평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사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가? 조사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집락화(clustering), 불균등가중(unequal weighting), 층화(stratificaiton)와 같은 복잡한 설계요소를 포함한 복잡표본설계(complex sample design)를 통해 이루어진다. 추정량에 대해 설계요소가 갖는 효율성은 주로 단순확률추출을 기준으로 비교한 설계효과(design effect)라는 개념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설계효과의 유용성은 언제 극대화되는가? 하지만 앞서 언급한 설계효과의 유용성은 복잡설계요소의 함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을 때에 극대화될 수 있다. 예를들어, Rust와 Broene (2010)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설계효과의 개념은 할 수만 있다면 모집단의 구조와 설계요소들이 갖는 개별적 영향을 명백히 나타낼 수 있는 함수적 형태로 표현될 때 그 유용성은 극대화 된다.
유효표본크기는 무엇인가? 표본설계와 관련하여 또 하나의 유용한 개념은 유효표본크기(effective sample size)이다. 이는 표본설계 p(s)에서 (주로 응답수를 의미하는) 표본크기 m으로 얻게 되는 분산 Vp(□p)과 동일한 크기의 분산 Vsrs(□)을 주는 단순확률추출 하에서의 표본크기 meff를 말하는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ornfield, J. (1951). Modern methods in the sampling of human population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41, 654-661. 

  2. Gabler, S., Ganninger, M. and Lahiri, P. (2014). A new approximation to the true randomization-based design effect, Submitted to a journal. 

  3. Gabler, S., Hader, S. and Lahiri, P. (1999). A Model based justification of Kish's formula for design effects for weighting and clustering, Survey Methodology, 25, 105-106. 

  4. Gabler, S., Hader, S. and Lynn, P. (2006). Design effects for multiple design samples, Survey Methodology, 32, 115-120. 

  5. Henry, K. A. (2011). Weighting adjustment methods and their impact on sample-based inference (Ph.D. thesis),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MD. 

  6. Holt, D. (1980). Discussion of the paper by Verma, Scott, and O'Muircheartaigh,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A, 143, 468-469. 

  7. Jabkowski, P. (2013). How (not) to estimate the design effect of a complex sampling scheme: a case study of the Polish section of the European social survey, round 5, Ask Research & Methods, 22, 55-77. 

  8. Kalton, G., Brick, J. M. and Le, T. (2005). Estimating components of design effects for use in sample design. In Household sample surveys in developing and transition countries,(Sales No. E.05.XVII.6).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New York, Statistics Division, United Nations. 

  9. Kish, L. (1965). Survey Sampl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10. Kish, L. (1987). Weighting in Deft2, Survey Statistician, 26-30. 

  11. Kish, L. (1992). Weighting for unequal pi, Journal of Official Statistics, 8, 183-200. 

  12. Korn, E. L. and Graubard, B. I. (1999). Analysis of Health Surveys, John Wiley & Sons, New York. 

  13. Le, T., Brick, J. M. and Kalton, G. (2001). Decomposing design effects, In Proceedings of the Joint Statistical Meetings, Section on Survey Research Methods, American Statistician Association, CD-Rom. 

  14. Lee, H. (2012). How should one find out the contributions to the design effect (variance) made by each of the design components (stratification, clustering, weighting) of a complex sample design?, Survey Statistician, 66, 16-20. 

  15. Park, I. (2014). A study on design effect models for complex sample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Science Society, 25, 523-531. 

  16. Park, I. (2015). Assessing complex sample designs via design effect decompositions, Submitted to a journal. 

  17. Park, I. and Lee, H. (2004). Design effects for the weighted mean and total estimators under complex survey sampling, Survey Methodology, 30, 183-193. 

  18. Rao, J. N. K. and Scott, A. J. (1987). On simple adjustments to chi-square tests with sample survey data, Annals of Statistics, 15, 385-397. 

  19. Rust, K. and Broene, P. (2010). Design effects for totals in multi-stage samples, Proceedings of the Joint Statistical Meetings, Section on Survey Research Methods, American Statistician Association, 2174-2181. 

  20. Spencer, B. D. (2000). An approximate design effect for unequal weighting when measurements may correlate with selection probabilitie, Survey Methodology, 26, 137-138. 

  21. Verma, V., Scott, C. and O'Muircheartaigh, C. (1980). Sample designs and sampling errors for the World Fertility Survey,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A, 143, 431-4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