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O2 나노입자가 코팅된 다중 벽 탄소 나노튜브의 상온에서의 수소 가스 검출 특성
Hydrogen Sensing Properties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Decorated with TiO2 Nanoparticles at Room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48 no.6, 2015년, pp.309 - 314  

박성훈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강우승 (인하공업전문대학 금속재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wall carbon nanotubes are synthesized by using VLS mechanism for the application to $H_2$ gas sensor. MWCNT is not suitable for hydrogen gas sensor due to its low response to the gas. To enhance the gas sensing performance, multiwall carbon nanotubes are coated with $TiO_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MWCNT를 합성하고 그 표면에 TiO2 나노입자를 코팅하여 상온에서 수소 검출 특성을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MWCNT의 경우 SWCNT에 비하여 합성이 쉽고 수율이 높아 생산 단가가 매우 낮지만, 다중 구조에 의한 특성의 저하로 인하여 센서로서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소의 특성은? 지금까지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 하여 얻어지는 것이 대부분으로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어 왔으나, 야간시간대의 값싼 전기를 이용한 수소 생산을 시작으로 하여 궁극적으로는 탄화수소에서의 수소 생산을 통해 경제적인 수소의 생산이 가능하리라 전망되어, 이를 이용한 수소전지 차량의 전망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소 연료 전지 차량에 있어 생산의 경제성 외에 다른 문제점이 있는데, 수소가 매우 인화성이 강한 기체라는 점이다. 이 가스는 공기 중 3% 이상이 존재할 경우 강력한 폭발을 일으 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3). 또한, 양성자 하나로 구성된 매우 가벼운 가스이기 때문에, 누출과 확산이 매우 쉽게 일어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소 가스의 생산과 사용에 있어서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게 요구된다.
CNT에 TiO2 나노입자를 코팅할 경우 장점은? 그 중 나노 금속산화물을 코팅한 CNT는 합성법이 대체로 쉽고 비용이 적게 들며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22). 특히 TiO2의 경우 수소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물질로 CNT에 코팅했을 때 CNT의 활성화 물질로 사용이 기대된다23). 또한, 구하기가 쉽고 나노입자의 제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NT와 TiO2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CNT에 TiO2 나노입자를 코팅한 후, 수소 검출 특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나노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반 센서의 경우 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했을때 장점은? 또한 저렴한 생산 가격과 단순한 구조로 인한 작은 크기 역시 수소 가스 검출 센서의 개발 목표라 할 수 있다4). 나노구조를 갖는 반도체 기반 센서의 경우, 반도체 제조 시설을 이용하여 생산이 가능하며 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하여 수 십 마이크로 미터 수준으로 칩을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웨이퍼 단위의 생산으로 인하여 대량 생산과 이로 인한 생산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Sundarrajan, S.I. Allakhverdiev, S. Ramakrishna, Int. J. Hydrogen Energy 37 (2012) 8765. 

  2. S. Krishnan, F.A. Armstrong, Chem. Sci. 3 (2012) 1015. 

  3. U. Lange, T. Hirsch, V.M. Mirsky, O.S. Wolfbeis, Electrochim. Acta 56 (2011) 3707. 

  4. O. Lupan, L. Chow, Th. Pauporte, L.K. Ono, B.R. Cuenya, G. Chai, Sens. Actuators B: Chem. 173 (2012) 772. 

  5. S. Deng, V. Tjoa, H.M. Fan, H.R. Tan, D.C. Sayle, M. Olivo, S. Mhaisalkar, J. Wei, C.H. Sow, J. Am. Chem. Soc. 134 (2012) 4905. 

  6. M. Tonezzer, N.V. Hieu, Sens. Actuators B: Chem. 163 (2012) 146. 

  7. Y. Paska, H. Haick, ACS Appl. Mater. Interfaces 4 (2012) 2604. 

  8. V. Galstyan, E. Comini, g. Faglia, A. Vomiero, L. Borgese, E. Bontempi, G. Sberveglieri, Nanotechnol. 23 (2012) 235706. 

  9. R.A. Rani, A.S. Zoolfakar, J.Z. Ou, M.R. Field, M. Austin, K. Kalantar0zadeh, Sens. Actuators B: Chem. 176 (2013) 149. 

  10. Z.U. Abideen, H.W. Kim, S.S. Kim, Chem. Commun, 51 (2015) 15418. 

  11. Y. Li, H. Wang, L. Xie, Y. Liang, F. Wei, J.-C. Idrobo, S.J. Pennycook, H. Dai, Nat. Nanotechnol. 7 (2012) 394. 

  12. T. Yamada, Y. Hayamizu, Y. Yamamoto, Y. Yomogida, A. Izadi-Najafabadi, D.N. Futaba, K. Hata, Nat. Nanotechnol. 6 (2011) 296. 

  13. P. Chen, T.-Y. Xiao, Y.-H. Qian, S.-S. Li, S.-H. Yu, Adv. Mater. 25 (2013) 3192. 

  14. J.A. Rather, K. De Wael, Sens. Actuators B: Chem. 176 (2013) 110. 

  15. D.J. Li, U.N. Maiti, J. Lim, D.S. Choi, W.J. Lee, Y. Oh, G.Y. Lee, S.O. Kim, Nano Lett. 14 (2014) 1228. 

  16. C. Fang, D. Zhang, S. Cai, L. Zhang, L. Huang, H. Li, P. Maitarad, L. Shi, R. Gao, J. Zhang, Nanoscale 5 (2013) 9199. 

  17. M. Mittal, A. Kumar, Sens. Actuators B: Chem. 203 (214) 349. 

  18. L. Shen, P. Chen, B. Yan, C. Zhang, Sens. Actuators B: Chem. 215 (2015) 9. 

  19. M.G. Chung, D.-H. Kim, D.K. Seo, T. Kim, H.U. Im, H.M. Lee, J.-B. Yoo, S.-H. Hong, T.J. Kang, Y.H. Kim, Sens. Actuators B: Chem. 169 (2012) 387. 

  20. H. Ko, S. Park, S. Park, C. Lee, J. Nanosci. Nanotechnol. 15 (2015) 5295. 

  21. A. Sharma, M. Tomar, V. Gupta, J. Mater. Chem. 22 (2012) 23608. 

  22. S. Motshekga, S.K. Pillai, S.S. Ray, J. Nanopart. Res. 13 (2011) 1093. 

  23. S. Trocino, A. Donato, M. Latino, N. Donato, S.G. Leonardi, G. Neri, Sens. 12 (2012) 12361. 

  24. C.E. Cava, R.V. Salvatierra, D.C.B. Alves, A.S. Ferlauto, A.J.G. Zarbin, L.S. Roman, Carbon 50 (2012) 1953. 

  25. J.-W. Yoon, J.-Ki. Choi, J.-H. Lee, Sens. Actuators B: Chem. 161 (2012) 570. 

  26. W. Zeng, T. Liu, Z. Wang, J. Mater. Chem. 22 (2012) 3544. 

  27. Y.-R. Li, C.-Y. Wan, C.-T. Chang, W.-L. Tsai, Y.-C. Huang, K.-Y. Wang, P.-Y. Yang, H.-C. Cheng, Vacuum, 118 (2015) 48. 

  28. C.W. Na, H.-S. Woo, J.-H. Lee, RSC Adv. 2 (2012) 414. 

  29. M. Radecka, A. Kusior, A. Lacz, A. Trenczek-Zajac, B. Lyson-Sypien, K. Zakrzewska, J. Therm. Anal. Calorim. 108 (2012) 10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