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나노 반도체 소자를 위한 펄스 플라즈마 식각 기술
Application of Pulsed Plasmas for Nanoscale Etching of Semiconductor Devices : A Review 원문보기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48 no.6, 2015년, pp.360 - 370  

양경채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박성우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신태호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염근영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devices shrinks to nanometer scale, the importance of plasma etching process to the fabrication of nanometer scale semiconductor devices is increasing further and further. But for the nanoscale devices, conventional plasma etching technique is extremely difficult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식각에서의 공정 미세화 한계극복 및 프로파일 조절에 관한 내용으로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컨택홀(contact holes)이나 비아홀(via holes) 등의 식각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DRAM 셀구조의 기술적 한계로 20 nm 이하에서 높은 종횡비를 갖는 컨택홀(highaspect-ratio contact hole, HARC) 식각 난이도가 점점 증가되고 있는바 3.2 절에서는 이와 같은 DRAM 미세화 한계 돌파를 위한 대안으로서의 펄스 플라즈마의 응용과 그 효과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38,39).
  • 즉 플라즈마 소스나 기판(bias), 혹은 양쪽 모두에 펄스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밀도, 가스 분해율, 반응 가스종의 플럭스, 이온에너지, 확산효과 증대 등을 조절하여 플라즈마 식각시 요구되는 반응성 및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전하축적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개선22,35,36)하는 펄스 플라즈마 식각은 나노미터급의 미세공정에서 플라즈마를 최적화시키고 이방성 식각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4,27). 다음 장에서는 이와 관련된 반도체 소자제조에서의 펄스 플라즈마의 적용 및 그 효과에 관해 분야별로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 따라서 식각 형상을 조절하고 식각 시 전하축적(그림 7) 현상으로 인한 이온 입사방향(ion trajectory) 왜곡방지, 게이트산화물 박막의 손상방지, 수직한 식각 프로파일 및 높은 식각 선택도 확보를 위한 미세 식각 기술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1,13). 뿐만 아니라 정교한 임계치수(CD, critical dimension) 조절이나 웨이퍼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임계치수 불균일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끊임없이 이루어져 온 바 본 장에서는 게이트 식각 시에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를 펄스 플라즈마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하려는 시도를 소개하고자 한다3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즈마 식각 공정은 무엇인가? 반도체 소자 공정에 플라즈마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플라즈마 식각 공정은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이온, 반응성 기체 혹은 라디칼을 이용하여 기판물질을 제거하는 식각 방식으로 공정의 정밀성 확보, 미세화, 저손상 등의 측면에서 필수불가 결한 공정요소라고 할 수 있다1). 따라서 지난 20여년 동안 전자회전공명 플라즈마(ECR,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plasmas), 헬리콘 플라즈마(helicon wave plasmas), 유도결합형 플라즈마(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s), 정전결합 플라즈마(CCP, capacitively coupled plasma) 등이 앞서 기술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화된 플라즈마 조절을 위하여 반도체 식각 공정 등에 통상 사용되어 왔다2-8).
펄스 플라즈마의 고주파 전원 오프(off) 구간에서의 전자온도 감소와 효과적인 전자 에너지의 감소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와는 대조적으로 펄스 플라즈마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에너지 이온을 이용한 대부분의 식각이온(on) 구간에서 일어나 전체적인 식각률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림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프(off) 구간의 영향으로 낮은 플라즈마 전위(Vp), 전자온도(Te), 전자밀도, 그로 인한 낮은 영역대의 이온에너지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12,24-28). 고주파 전원 오프(off) 구간에서의 전자온도 감소와 효과적인 전자 에너지의 감소는(그림 5) 결과적으로 플라즈마로 인한 기판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29-31) Donnelly 등의 논문에 따르면 노칭(notching)과 보우잉(bowing) 현상도 경감시킬 수 있다32-34). Subramonium 등의 연구 결과에서는 고밀도 플라즈마의 한가지인 유도결합형 플라즈마(ICP)의 소스를 펄싱(pulsing) 하였을 경우 불균일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57)(그림 6).
식각 공정에서 소자 미세화에 따른 재료적 한계 및 기술적 난이도의 증가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지난 20여년 동안 전자회전공명 플라즈마(ECR,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plasmas), 헬리콘 플라즈마(helicon wave plasmas), 유도결합형 플라즈마(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s), 정전결합 플라즈마(CCP, capacitively coupled plasma) 등이 앞서 기술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화된 플라즈마 조절을 위하여 반도체 식각 공정 등에 통상 사용되어 왔다2-8). 그러나 소자 미세화에 따른 재료적 한계 및 기술적 난이도의 증가로 식각 균일도 및 임계치수(critical dimension) 제어, 식각 선택도(etch selectivity) 및 식각 프로파일 확보, 전하축적, 식각 손상(etch damage: structural and electrical), 패턴왜곡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나노미터급의 미세공정에서 다양한 식각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이를 해결하는 문제는 메모리 분야의 축소화 요구에 대한 기술적 난관을 극복하고 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9-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S. Samukawa, Feature profile evolution in plasma processing using on-wafer monitoring system, Springer Japan, Tokyo (2014). 

  2. M. A. Lieberman and A. J. Lichtenberg, Principles of Plasma Discharges and Materials Processing, Hoboken, NJ (2005). 

  3. R. Doering and Y. Nishi, Handbook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echnology, CRC Press, Cleveland (2007). 

  4. P. Chabert and N. Braithwaite, Physics of Radio- Frequency Plasm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11). 

  5. S. H. Lee, P. K. Tiwari, J. K. Lee, Plasma Sources Sci. Technol., 18 (2009) 025024. 

  6. M. H. Jeon, A. K. Mishra, S.-K. Kang, K. N. Kim, I. J. Kim, S. B. Lee, T. H. Sin, G. Y. Yeom, Curr. Appl. Phys., 13 (2013) 1830. 

  7. M. H. Jeon, K. C. Yang, K. N. Kim, G. Y. Yeom, Vacuum 121 (2015) 294. 

  8. S. H. Song, M. J. Kushner, J. Vac. Sci. Technol. A 32 (2014) 021306. 

  9. J. K. Kim, S. I. Cho, S. H. Lee, C. K. Kim, K. S. Min, S. H. Kang, G. Y. Yeom, J. Vac. Sci. Technol., A 31 (2013) 061310. 

  10. X. Zhao, J. A. del Alamo, IEEE Electron Device Lett., 35 (2014) 521. 

  11. W. Kim, J. Jeong, Y. Kim, W. C. Lim, J. H. Kim, J. H. Park, H. J. Shin, Y. S. Park, K. S. Kim, S. H. Park, Y. J. Lee, K. W. Kim, H. J. Kwon, H. L. Park, H. S. Ahn, S. C. Oh, J. E. Lee, S. O. Park, S. Choi, H. K. Kang, C. Chung, IEDM Tech. Dig., (2011) 531. 

  12. P. Bodart, M. Brihoum, G. Cunge, O. Joubert, N. Sadeghi, J. Appl. Phys., 110 (2011) 113302. 

  13. K. Eriguchi, Y. Nakakubo, A. Matsuda, Y. Takao, K. Ono, Jpn. J. Appl. Phys., 49 (2010) 056203. 

  14. S. Banna, A. Agarwal, G. Cunge, M. Darnon, E. Pargon, O. Joubert, J. Vac. Sci. Technol., A 30 (2012) 040801. 

  15. D. J. Economou, J. Phys. D: Appl. Phys., 47 (2014) 303001. 

  16. A. Agarwal, P. J. Stout, S. Banna, S. Rauf, K. Collins, J. Vac. Sci. Technol., A 29 (2011) 011017 

  17. R. W. Boswell, D. Henry, Appl. Phys. Lett., 47 (1985) 1095. 

  18. R. W. Boswell, R. K. Porteous, J. Appl. Phys., 62 (1987) 3123. 

  19. C. Grabowski, J. M. Gahl, J. Appl. Phys., 70 (1991) 1039. 

  20. S. Samukawa, S. Furuoya, Appl. Phys. Lett., 63 (1993) 2044. 

  21. K. Takahashi, M. Hori, T. Goto, Jpn. J. Appl. Phys., 32 (1993) L1088. 

  22. C. P. Etienne, M. Darnon, L. Vallier, E. Pargon, G. Cunge, F. Boulard, O. Joubert, S. Banna, T. Lill, J. Vac. Sci. Technol., B 28 (2010) 926. 

  23. A. Mishra, J. S. Seo, K. N. Kim, G. Y. Yeom, J. Phys., D 46 (2013) 235203. 

  24. D. Borah, M. T. Shaw, S. Rasappa, R. A. Farrell, C. O'Mahony, C. M. Faulkner, M. Bosea, P. Gleeson, J. D. Holmes, M. A. Morris, J. Phys., D: Appl. Phys., 44 (2011) 174012. 

  25. A. Agarwal, S. Rauf, K. Collins, J. Appl. Phys., 112 (2012) 033303. 

  26. J. Matsui, N. Nakano, Z. Lj. Petrovic', T. Makabea, Appl. Phys. Lett, 78 (2001) 883. 

  27. S. Banna, A. Agarwal, K. Tokashiki, H. Cho, S. Rauf, V. Todorow, K. Ramaswamy, K. Collins, P. Stout, J.-Y. Lee, J. Yoon, K. Shin, S.-J. Choi, H.- S. Cho, H.-Y. Kim, C. Lee, D. Lymberopoulos, IEEE Trans. Plasma Sci., 37 (2009) 1730. 

  28. K. Tokashiki, H. Cho, S. Banna, J.-Y. Lee, K. Shin, V. Todorow, W.-S. Kim, K. Bai, S. Joo, J.-D. Choe, K. Ramaswamy, A. Agarwal, S. Rauf, K. Collins, S. Choi, H. Cho, H. J. Kim, C. Lee, D. Lymberopoulos, J. Yoon, W. Han, J.-T. Moon, Jpn. J. Appl. Phys., 48 (2009) 08HD01. 

  29. C. J. Choi, O. S. Kwon, Y. S. Seol, Jpn. J. Appl. Phys., 37 (1998) 6894. 

  30. Y. Ichihashi, Y. Ishikawa, R. Shimizu, S. Samukawa, J. Vac. Sci. Technol., B 28 (2010) 577. 

  31. T. Ohmori, T. K. Goto, T. Kitajima, T. Makabe, Appl. Phys. Lett., 83 (2003) 4637. 

  32. M. V. Malyshev, V. M. Donnelly, J. Appl. Phys., 87 (2000) 1642. 

  33. M. V. Malyshev, V. M. Donnelly, J. Appl. Phys., 90 (2001) 1130. 

  34. R. Westerman, D. Johnson, S. Lai, U.S. patent 6, 905, 626 (2005). 

  35. T. Mukai, H. Hada, S. Tahara, Hiroaki Yoda, S. Samukawa, Jpn. J. Appl. Phys., 45 (2006) 5542. 

  36. A. Agarwal, S. Rauf, K. Collins, Appl. Phys. Lett, 99 (2011) 021501. 

  37. K. Nojiri, Dry Etching Technology for Semiconductors, Springer, Switzerland (2015). 

  38. C. O. Jung, K. K. Chi, B. G. Hwang, J. T. Moon, M. Y. Lee, J. G. Lee, Thin Solid Films, 341 (1999) 112. 

  39. M. Miyake, N. Negishi, M. Izawa, K. Yokogawa, M. Oyama, T. Kanekiyo, Jpn. J. Appl. Phys., 48 (2009) 08HE01. 

  40. C. P. Etienne, M. Darnon, P. Bodart, M. Fouchier, G. Cunge, E. Pargon, L. Vallier, O. Joubert, S. Banna, J. Vac. Sci. Technol., B 31(2013) 01120. 

  41. S. Samukawa, K. Terada, J. Vac. Sci. Technol., B 12 (1994) 3300. 

  42. S. Samukawa, H. Ohtake, T. Mieno, J. Vac. Sci. Technol., A 14 (1996) 3049. 

  43. S. Samukawa, Appl. Phys. Lett., 64 (1994) 3398. 

  44. T. H. Ahn, K. Nakamura, H. Sugai, Plasma Sources Sci. Technol., 5 (1996) 139. 

  45. M. Sumiya, H. Tamura, S. Watanabe, Jpn. J. Appl. Phys., 41 (2002) 856. 

  46. N. Fugiwara, T. Maruyama, H. Miyatake, Jpn. J. Appl. Phys., 37 (1998) 2302. 

  47. T. Maruyama, N. Fujiwara, S. Ogino, H. Miyatake, Jpn. J. Appl. Phys., 37 (1998) 2306. 

  48. T. Ono, T, Mizutani, Y. Goto, T. Kure, Jpn. J. Appl. Phys., 39 (2000) 5003. 

  49. K. Ono, M. Tuda, Thin Solid Flims, 374 (2000) 208. 

  50. M. Matsui, M. Morimoto, N. Ikeda, K. Yokogawa , Jpn. J. Appl. Phys., 53 (2014) 03DD04. 

  51. C. P. Etienne, E. Pargon, S. David, M. Darnon, L. Vallier, O. Joubert, S. Banna, J. Vac. Sci. Technol., B 30 (2012) 1071. 

  52. A. Sankaran, M. J. Kushner, Appl. Phys. Lett., 82 (2003) 1824. 

  53. S. Takagi, S. Onoue, K. Nishitani, T. Shinnmura, Y. Shigesato, Jpn. J. Appl. Phys., 54 (2015) 036501. 

  54. B. S. Kwon, J. S. Kim, N.-E. Lee, J. W. Shon, J. Electrochem. Soc., 157 (2010) D135. 

  55. B. S. Kwon, J. S. Kim, H. K. Moon, N.-E. Lee, Thin Solid Films, 518 (2010) 6451. 

  56. A. Agarwal, P. J. Stout, S. Banna, S. Rauf, K. Tokashiki, J. Y. Lee, K. Collins, J. Appl. Phys., 106 (2009) 103305. 

  57. P. Subramonium, M. K. Kushner, J. Appl. Phys., 96 (2004) 82. 

  58. T. Tatsumi, H. Hayashi, S. Morishita, S. Noda, M. Okigawa, N. Itabashi, Y. Hikosaka, M. Inoue, Jpn. J. Appl. Phys., 37 (1998) 2394. 

  59. M. Wang, M. K. Kushner, J. Appl. Phys., 107 (2010) 023309. 

  60. T. F. Yen, K. J. Chang, K.-F. Chiu, Microelectron. Eng., 82 (2005) 129. 

  61. M. Darnon, C. P. Etienne, E. Pargon, G. Cunge, L. Vallier, P. Bodart, M. Haas, S. Banna, T. Lill, O. Jouberta, ECS Trans., 27 (2010) 717. 

  62. T. Mukai, H. Hada, S. Tahara, H. Yoda, S. Samukawa, Jpn. J. Appl. Phys., 45 (2006) 5542. 

  63. T. Mukai, N. Ohshima, H. Hada, S. Samukawa, J. Vac. Sci. Technol., A 25 (2007) 432. 

  64. K. Sugiura, S. Takahashi, M. Amano, T. Kajiyama, M. Iwayama, Y. Asao, N. Shimomura, T. Kishi, S. Ikegawa, H. Yoda, A. Nitayama, Jpn. J. Appl. Phys., 48 (2009) 08HD02. 

  65. T. Ogata, K. Nakata, T. Ono, Hitachi Rev., 48 (1999) 6. 

  66. V. M. Donnelly, A. Kornblit, J. Vac. Sci. Technol., A 31 (2013) 050825. 

  67. M. H. Jeon, D. H. Yun, K. C. Yang, J. Y. Youn, D. Y. Lee, T. H. Shim, J. G. Park, G. Y. Yeom, J. Nanosci. Nanotechnol., 14 (2014) 9680. 

  68. M. H. Jeon, J. Y. Youn, K. C. Yang, D. H. Youn, D. Y. Lee, T. H. Shim, J. G. Park, G. Y. Yeom, J. Nanosci. Nanotechnol., 14 (2014) 9541. 

  69. K. C. Yang, M. H. Jeon, G.Y. Yeom, Jpn. J. Appl. Phys., 54 (2015) 01AE01. 

  70. M. H. Jeon, H. J. Kim, K. C. Yang, S. K. Kang, K. N. Kim, G. Y. Yeom, Jpn. J. Appl. Phys., 52 (2013) 05EB03. 

  71. Terabit Memory Development 1st year of 1st phase (2010) Work Shop. 

  72. STT-MRAM 1st year of 1st phase (2009) 2nd Work Sho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