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영아기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other's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ant Temperament, Nurturing Behavior, effect on Infant Develop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Nurturing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8, 2015년, pp.5160 - 5171  

최선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 양육스트레스), 영아기질, 양육행동이이 영야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어머니이다.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Amos 16.0을 통하여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 간접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긍정적 심리특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어머니 양육행동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쳐 영아발달의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고,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영아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t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elf-esteem, depression, parenting stress), infant temperament, parenting look at how the variables affect the infant development. Study is an infant born in 2008, 1802 moth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연구[37]는 어머니 양육행동이 자녀의 문제행동을 차단하거나 완충해주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자녀의 문제행동을 차단하고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기능도 수행함을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도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영아기질을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매개하여 영아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 발달에 정적상관관계였으며 유의하였다.
  • 본 연구는 영아발달을 설명하는 선행연구들을 기초로하여 재구조화한 통합모델을 제안하고, 연구모델이 영아발달을 설명하는 적합한 모형인지를 검증하였다.
  •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영아가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기 위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중요하다 사료되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으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 양육스트레스의 영아발달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아 개인 변인으로 영아기질은 어머니 심리적 변인 및 양육행동과 영아발달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므로 본 연구의 변인으로 포함하였다.

가설 설정

  • 1. 어머니 심리적 특성, 양육행동, 영아기질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발달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은 무엇인가? 이처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영아기질과 영아발달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은 영아발달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인데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발달적 특성을 인지할수록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 양육행동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영아발달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일차적 관계만 고려하기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선행하는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도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22].
어머니의 우울 증상이 높을 경우 어떤 양육행동을 보이는가? 또한 어머니의 우울 증상이 높을 경우 어머니는 역할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지각하게 되고 자녀에 대한 정서적 관여도 줄어 자녀에게 비판적 행동을 나타내고 강압적인 태도를 보이며, 적대적이거나 짜증을 많이 내며, 엄격하고 비일관적인 양육행동을 보인다[16]. 특히 어머니의 산전, 산후 우울은 양육행동을 통해 어머니-영아 상호 작용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영아발달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17].
영아기가 아이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시기인 이유는 무엇인가? 영아기는 전 생애에서 차지하는 기간은 짧으나 의사소통, 개인 사회성, 문제해결, 신체발달 능력 등에서 급속한 변화를 겪게 된다. 또한 이 시기는 의사소통 능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식도 출현하여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욕구의 표현도 활발해지는 시기이다. 그러한 이유로 영아기는 다른 시기에 비해 이후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 J. Moon,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Parent-Child Relationship",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9(2), pp.15-31, 2008 

  2. K. H. Lee, S. J. Seo, "Effects of Infant and Matern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Infant Development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3), pp.87-102, 2009. 

  3. H. J. Lim, H. J. Choi, S. N. Choi, "The Effect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9(2), pp.83-107, 2012. 

  4. Putnam, S. P., Sanson, A. V., & Rothbart, M. K.,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vol. 1, pp. 255-277). Mahwah, New Jet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2. 

  5. Crockenberg, S., Predictors and correlations of anger toward and punitive control of toddlers by adolescent mother. Child Development, 58, pp.964-975, 1987. DOI: http://dx.doi.org/10.2307/1130537 

  6. H. J. Park, K. N. Lee., "The Effects of Mother's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on Children's Self-Efficacy", Korean Association of Human Studies, 14(4), pp.547-559, 2005. 

  7. Lerner, J. V., & Galambos, M. L. Maternal role satisfac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treatment: A process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21, pp.1157-1164, 1985. DOI: http://dx.doi.org/10.1037/0012-1649.21.6.1157 

  8. H. J. Woo., "Investigation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efficacy", J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3. 

  9. I. S. Kong., "Children's Self - Percieved Competence and Their perception of Parental Warmth and Control",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10(1), pp.64-78, 1989. 

  10. Chung, H.,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pp.1015-1022, 2004. DOI: http://dx.doi.org/10.2466/pr0.95.3.1015-1022 

  11. E. J. Baik, M. J. Kang, S. A. Han., "Difficulties in Parenting Influenced by the Mother's Characteristics and Child's Temperam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1), pp.65-78, 2012. 

  12. Cohen, S., & Willis, T.,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pp.310-357, 1985.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98.2.310 

  13. Panaccione, V. F., & Wahler, R. G., "Child behavior, maternal depression, and social coercion as factors in the quality of child car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4, pp.263-278, 1986. DOI: http://dx.doi.org/10.1007/BF00915445 

  14. Hammen, C. L., "Cognitive, life stress, and interpersonal approaches to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model of dep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 pp.189-206, 1992. DOI: http://dx.doi.org/10.1017/S0954579400005630 

  15. H. J.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Tendency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Mokpo National University, 2002. 

  16. Leung, D. W., Slep, A. M. S., "Predicting inept disciplin e:The role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ger, and attribu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3), pp.524-534, 2006. DOI: http://dx.doi.org/10.1037/0022-006X.74.3.524 

  17. Misri, S. M., Kendrick, K., Oberlander, T. F., Norris, S., Tomfohr, L., Zhang, H., & Grunau, R. E., "Ant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postpartum parenting stres s: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5(4), pp.222-228, 2010. 

  18. S. H. Go., "Mother research on perceived parenting stres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8, pp.21-37, 1994. 

  19. J. Y. "Ahn.,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0. 

  20. S. J. Seo., "Maternal self-efficacy,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al outcom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from Early Head Sta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U.S.A., 2003. 

  21. Y. H. Yee, M. Y., O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n the Parenting Efficacy, Knowledge of Infant-care and Sensitivit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9(3), pp.47-62, 2006. 

  22. Y. J. Kim, Y. S. Song.,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bout Infants and Parental Stre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12(4), pp475-493, 2007. 

  23. Abidin, R. R.,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pp.407-412, 1992. DOI: http://dx.doi.org/10.1207/s15374424jccp2104_12 

  24. H. Y. Chun & K. W. Ok., "The effect of maternity and child rearing system variables on postpartum depression of infant's mothers. Annual Conference of Panal Study on Korean Children Book (pp. 59-82) Seoul. Korea, 2010. 

  25. J. Y. Le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yle of mothers with infant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5), pp.35-4, 2009. 

  26. Y. S. Baek., "The effect stress and guilt of mothers in raising children have in their attitude of raisi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7. 

  27. Crinic, K. A., Gaze, C., & Hoffman, C.,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pp.117-132, 2005. DOI: http://dx.doi.org/10.1002/icd.384 

  28. H. M. Kim, & H. Do.,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pp.279-298, 2004. 

  29. J. L. Lee.,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s in Single Parent Familie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steem",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9(3), pp.115-125, 2008. 

  30. Pettii, G. S., Dodge, K. A., & Brown, M. M, "Early family experience, social problem-solving patter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9, pp.107-120, 1991. DOI: http://dx.doi.org/10.2307/1130393 

  31. Khaleque, A., & Rohner, R, P.,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Analysis of Cross-Cultural and Intracultural Stud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pp. 54 -64, 2002. DOI: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2.00054.x 

  32. Rothbart, M. K., Derryberry, D., & Posner, M. I., "A psychobiological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temperament", In J. E. Bates & T. D. Wachs (Eds.), Teperament: Indivisual differences at the interface of biology and behavio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4. DOI: http://dx.doi.org/10.1037/10149-003 

  33. Patterson, G. R., & Fisher, P. A., "Recent developments in our understanding of parenting: Bidirectional effects, causal models, and the search for parsimony", Handbook of parenting, - judzrunchildren. googlecode.com, 2002. 

  34. Scarr, S., & McCartney, K. "How people make their own environments: A theory of genotype greater than environment effects", Child Development, 54, pp.424-435, 1983. DOI: http://dx.doi.org/10.1111/j.1467-8624.1983.tb03884.x 

  35. Y. E. Lee, Y. H. Kang, H. S. Park, E. J. Whang, M. Y. Moon, "Relationship of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and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 Academy of Child Health N, 9(2), pp.206-220, 2003. 

  36. E. J. Lim, A. S. Park., "A Study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Physically Disabled Women's Nurturing Behavior-Focusing on the interven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4, pp.67-90, 2012. 

  37. S. G. Le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on the Relation between Deviant Peer's Influences and Delinquency in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7, pp.121-151, 2008. 

  38. Kline, R. B., "Pl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ed). New York: the Gulford Press,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