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관련 변인이 2세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양육방식의 매개적 역할
The Influences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Related Factors on Two-year-old Infants' Development :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yl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6, 2013년, pp.77 - 96  

김종훈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이지영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성지현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elf-estee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parenting related factors(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knowledge on infant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two-year-old infa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의 한국아동패널의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들에서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즉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이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각 변인마다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문항합산(item-parceling)의 내적일관성접근법(internal consistency approach)을 이용하여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라는 한 개의 잠재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들이 실시되었다(Lim, Lee, & Choi, 2011a; Lim, Lee, & Choi, 2011b; Lim, Choi, & Choi, 2012).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관련변인 각각이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변인간의 관계와 영향력의 크기, 영아 발달에 미치는 경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아기 자녀를 둔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지식이 양육방식과 영아 발달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 본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을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함께 양육 방식과 영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 (KICCE)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연구(PSKC) 의 3차년도(2010)자료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관련 변인과 영아 발달에 대한 전반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변인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경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영아의 발달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영아 발달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방식의 중요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중요성과 역할을 강조하고, 영아 발달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영아의 원만하고 안정적인 발달에 필요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큰 의의가 있다.
  • 이처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들과 양육 관련변인들은 그 관계들과 영향을 어떤 시기에 어떻게 살펴보냐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된 여러 변수들을 동시에 다룸으로써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들을 파악하고, 우울 변인과 같이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변인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수행하고 있는 종단적 연구인『한국아동패널연구(PSKC)의 3차년도(2010년)』에 참여한 어머니와 영아 17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개인의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과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영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 (KICCE)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연구(PSKC) 의 3차년도(2010)자료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관련 변인과 영아 발달에 대한 전반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변인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경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영아의 발달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영아 발달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방식의 중요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중요성과 역할을 강조하고, 영아 발달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영아의 원만하고 안정적인 발달에 필요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큰 의의가 있다.
  •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영아에게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들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들로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우울 세 가지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양육효능감은 자녀 양육방식을 직접적으로 예측해 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져(Kim & Seo, 2012; Lee, 2009), 본 연구에서는 양육효능감의 바탕이 되는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또한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기란 어떤 시기인가? 영아기는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며 발달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시기로서, 이 시기에 경험하는 환경은 이후 발달에 큰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Snow, 1989; Thompson, 2000). 특히 영아들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인간의 기본적 능력과 관련된 기술을 배운다.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무엇이라고 일컬어지는가? 이처럼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영아의 성장에 미치는 어머니의 특정한 행동들이 포함되는 활동들로 양육스타일, 양육행동, 양육태도라고도 일컬어지며(Min & Moon, 2013), 영아의 정서, 행동 발달뿐만 아니라 인지 발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받아왔다.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어머니의 내적 요인인 심리적 특성에 영향을 받아 어머니의 양육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되어져 왔다(Abidin, 1992; Belsky, 1984; Kim & Park, 2008).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과 양육 지식, 양육 스트레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영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고 논의한 결과는? 첫째,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관련 변인들은 영아의 발달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어머니가 자녀의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애정적이고 따뜻한 관심을 보여주어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방식과 높은 관계가 있었다는 Lim, Choi와 Choi(2012)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양육방식에대한 자신감을 증가시키고 양육방식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는 연구들(Huang et al., 2005; Lee, 2009)과도 같은 결과이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양육지식 순 이었다. 즉 어머니가 건강한 심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보다 양육하는데 있어서 스트레스를 덜 느낄수록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Abidin(1992)이 제시한 스트레스 모형에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이 어머니의 자녀 양육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양육 스트레스는 양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을 약화시켜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방식을 예측하게 한다(Abidin, 1990; Ahn, 2002; Park, 1995). 한편,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한 관계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구조모형에서 다른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 어머니의 우울은 양육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머니의 우울은 양육방식에 대한 영향력이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여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들(Downey & Coyne, 1990; Kim & Lee, 2007; Leung & Slep, 2006; Lovejoy, Graczyk, O'Hare, & Neuman,2000)과는 다르다. 하지만 우울감을 느끼는 어머니도 자녀의 발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면 온정적인 양육을 하며 유아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연구(Lee, 2013; Moon & Oh, 1995)를 통하여, 어머니의 우울이 양육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Weaver, Shaw, Dishion, & Wilson, 2008)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그 관계를 매개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자녀가 2세에서 4세가 되는 2년 동안에 걸쳐 보고된 어머니의 낮은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측하였고, 유아가 3세일 때 측정된 어머니의 우울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더욱 낮추는 역할을 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처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들과 양육 관련변인들은 그 관계들과 영향을 어떤 시기에 어떻게 살펴보냐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된 여러 변수들을 동시에 다룸으로써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들을 파악하고, 우울 변인과 같이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변인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 양육관련변인(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과 양육방식이 영아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양육관련변인인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방식을 매개로 영아 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중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어머니의 양육방식을 예측하는 중요 요인(Shin & Hwang, 2008)이며, 이러한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역시 어머니가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질수록 힘든 양육 상황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 영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양육스트레스의 경우,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일수록 부정적인 양육방식을 보이고 자녀의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가 양육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경우 자녀에게 애정이 담긴 온정적인 접촉행동을 자주하게 되고 이러한 신체접촉이 영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Kim & Kwak, 2004) 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결과이다. 어머니의 양육지식 또한 선행연구들(Altman-Klein & Cordell, 1987; Hunt & Paraskewopulous, 1990; Yoon & Cho, 2004)과 일치하는 결과로 어머니가 자녀의 발달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갖는 것은 어머니들로 하여금 적절한 양육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실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하고 궁극적으로 영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관련 변인들이 영아의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어머니의 양육방식을 완전 매개하여 영아 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양육관련변인들(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과 양육방식은 영아 발달의 분산의 2.6%로 설명력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의 발달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나 양육관련 특성들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과정이 아니라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인 요인, 영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요인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과정(Hwang et al., 2008)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는 Rothbaum과 Weisz(1994)가 제안한 부모의 양육과 아동의 특성은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형태이며 이러한 상호 호혜적 관계가 누적되어 아동의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누적적 상호 호혜모델’을 가지고 자료를 종단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긍정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양육 방식이 중요함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만 2세 영아들은 호기심이 왕성하여 주변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시도하고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Hwang et al., 2008), 어머니는 영아의 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해주는 일관된 양육방식으로 영아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는 영아의 발달을 긍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서 근본적으로 어머니 자신부터 건강한 심리적 특성을 지녀야 한다. 어머니의 심리적 자원이 양육 스트레스의 강력한 예측변인이라고 했던 연구들 (Abidin, 1992; Lazarus & Folkman, 1984; Um, 2011)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어머니가건강한 심리적 특성을 지니게 되면 양육 스트레스도 덜게 되어 양육방식과 영아 발달을 긍정적으로 이끌 것이다. 또한 자녀를 가진 대다수의 어머니들이 주변인이나 대중매체를 통해 양육과 관련한 지식을 얻는 상황(Min & Moon, 2013)에서 전문적이고 정확한 지식이제대로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자녀의 발달과 양육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배울 수 있는 방법이나 전달 체계가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자녀양육과 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담긴 서적들이 부모들에게 홍보되거나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어 부모들이 자녀에 대한 현실적인 발달 기대를 하고 자녀에게 적합한 환경과 자극을 제공하여 자녀의 긍정적인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Abidin, R.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ville, VA : Pediatric Psychology Press. 

  3.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4. Ahn, J. Y., & Park, S. Y. (2002).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 53-68. 

  5. Altman-Klein, H., & Cordell, A. (1987). The adolescent as mother early risk identific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7-58. 

  6. Baek, Y. S. (2007). The effect stress and guilt of mothers in raising children have in their attitude of raisi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8.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9.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10. Brenner, V., & Fox, R. A. (1998). Parental discipline and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9, 251-256. 

  11. Calson, E. A. (1998).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attachment disorganization/ disorientation. Child Development, 69, 1107-1128. 

  12. Choi, H. S. (2006). The mediational role of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 The effects of parenting related variables on chil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1), 79-89. 

  13. Chun, H. Y., & Ok, K. W. (2010). The effect of maternity and child rearing system variables on postpartum depression of infant's mothers. Annual Conference of Panal Study on Korean Children Book (pp. 59-82) Seoul. Korea. 

  14. Cohen, S., & Willis, T.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15. Coleman, P. K., Trent, A., Bryan, S., King, B., Rogers, N., & Nazir, M. (2002). Parenting behavior, mothers' self-efficacy beliefs, and toddler performance on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2(2), 123-140. 

  16. Cri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17-132. 

  17. Dichtelmiller, M., Meisels, S., Plunkett, J., & Bozynski, M. (1992).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knowledge to the development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6(3), 210-220. 

  18. Dorsey, S., Klein, K., Forehand, R., & Family Health project Research Group. (1999).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 :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295-305. 

  19. Downey, G., & Coyne, J. C. (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86(1), 574-595. 

  20. Evans, G. W., Boxhill, L., & Pinkava, M. (2008). Povert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 The role of maternal stress and social resourc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2, 232-237. 

  21. Frankel, K. A., & Bates, J. E. (1990). Mothertoddler problem-solving. antecedents in attachment, home behavior, and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61(3), 810-819. 

  22. Heo, K. H., Squires, J., Lee, S. Y., & Lee, J. S. (2006). KASQ : 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parent-completed development screening tool. Seoul :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3. Hong, S. O., & Kim, S. H. (2008).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6), 55-71. 

  24. Hu, L. T., & Bentler, P.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 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25. Huang, K. Y., Caughy, M. O., Genevro, J. L., & Miller, T. L. (2005). Maternal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quality parenting among white, african-american and hispanic mothers.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26(2), 149-170. 

  26. Hunt, J. M., & Paraskewopulous, J. (1990).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the inaccuracy of their mothers' knowledge of their abilitie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6, 252-298. 

  27. Hurth-Bocks, A. C., & Hughes, H. M. (2008).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adjustment in families experienc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23(4), 243-251. 

  28. Hwang, H. S., Lee, H. Y., Lee, K. H., Lee, J. H., Shin, K. S., Yun, K. M., & Hwang, S. Y. (2008).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Seoul : Hakjisa. 

  29.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T., & Zaslavsky, A.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30. Kim, H. M., & Do, H. (2004).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279-298. 

  31. Kim, H. N., & Seo, S. J.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infant develop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9(1), 307-329. 

  32. Kim, J. R., & Lee, E. H. (2007).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insecure attachments on their depression and the behavior problems in their children : The mediating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marital conflic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2), 297-319. 

  33. Kim, K. H., & Kang, H. K. (1997). Research :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41-150. 

  34. Kim, M. K. (2010). The effects of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toddler's development and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35. Kim, M. S., & Moon, H. J. (2005).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 with young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8), 25-35. 

  36. Kim, M., & Park, H. (2008).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erformance on the K-BSID2 :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1), 243-255. 

  37. Kim, S. C., & Kwak, K. J. (2004). The difference in touch patterns of infants at 6 months on the mothers's level of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xiety, feeling of touch and selfconcept.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3), 1-23. 

  38. Landry, S. H., Smith, K. E., Swank, P. R., & Miller-Loncar, C. L. (2000). Early maternal and child influences on children's later independent cognitive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1(2), 358-375. 

  39.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40. Lee, H. M. (2006).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sensitivity on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1. Lee, J. Y.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yle of mothers with infants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5), 35-48. 

  42. Lee, J. Y., & Lee, S. H. (2010). The acquisition of paren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level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4), 179-197. 

  43. Lee, K. H. (2009).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on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44. Leung, D. W., Slep, A. M. S. (2006). Predicting inept discipline : The role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ger, and attribu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3), 524-534. 

  45. Lim, H. J., Choi, H. J., & Choi, S. N. (2012). The effect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9(2), 83-106. 

  46. Lim, H. J., Lee, D. K., & Choi, H. J. (2011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to determine how a couple's characteristics, childbirth-related emotions and a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planning for second childbirth.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5), 183-202. 

  47. Lim, H. J., Lee, D. K., & Choi, H. J. (2011b). An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planning for second childbirth.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6), 167-189. 

  48.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N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5), 561-592. 

  49. MacPhee, D. (2002).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 Survey of child care experience & manual (2nd ed.). Unpublished manuscript, Colorado State University. 

  50. Min, H. S., & Moon, Y. K. (2013). Relationship among mot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1), 43-56. 

  5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7). Child care statistic. Seoul : Child Care Support Team. 

  52. Misri, S. M., Kendrick, K., Oberlander, T. F., Norris, S., Tomfohr, L., Zhang, H., & Grunau, R. E. (2010). Ant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postpartum parenting stress :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Canadial Journal of Psychiatry, 55(4), 222-228. 

  53. Moon, H. J. (2005). Predictors of parenting efficac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5), 139-149. 

  54. Moon, K. J., & Oh, K. J. (1995).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maladjustment.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vision of Clinical Psychology, 14(1), 41-55. 

  55. Park, S. Y., Seo, S. J., & Bormstein, M. (2005). Mother-infant interaction styles associated with infant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5), 15-30. 

  56. Park, U. I. (1995). Patterns of infant-mother attachment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6(1), 113-132. 

  57. Park, Y. J. (2004). Mother's parenting stress, coping style and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8. Pearlin, L. I., Lieberman, M. A., Menaghan, E. G., & Mullan, J. T. (1981).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 337-356. 

  59. Rosenberg, M. (197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 Basicbooks.Inc. 

  60. Rosenberg, M. (1986).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 Basicbooks.Inc. 

  61. Rothbaum, F., & Weisz, J. R. (1994). Parental caregiving and child externalizing behavior in nonclinical samples :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55-74. 

  62. Saxon, T. F., Colombo, J., Robinson, E. L., & Frick, J. E. (2000). Dyadic interaction profiles in infancy and preschool intelligence.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8(1), 9-25. 

  63. Seo, S. J. (2006). A study of infant developmental outcome with a sample of korea working mothers of infants in poverty :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3(4), 253-260. 

  64. Shim, S. K., Byon, K. H., Park, J. H., Park, Y. M., & Kim, E. A. (2007). The mother's accuracy on the knowledge of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2), 43-58. 

  65. Shin, J. Y., & Hwang, H. W. (2008).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behavior. Youth Welfare Study, 10(3), 101-122. 

  66. Snow, C. E. (1989). Understanding social interaction and language acquisition : Sentences are not enough. interaction in human development. Hillsdale, NJ : Erlbaum. 

  67. Teti, O. M., & Gelfand, D. M. (1991). Behavior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on the first year :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68. Thompson, R. A. (2000). Early experience and socialization. In A. Kazdin(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Washington, DC., & New York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Oxford University Press. 

  69. Tong, L., Shinohara, R., Sugisawa, Y., Tanaka, E., Maruyama, A., Sawada, Y., & Anme, T. (2009). Relationship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style and consistency to early childhood development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 2067-2076. 

  70. Um, J. W. (2011). Predictable variables for parenting stress in korean mothers of infants : Focu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ant's characteristics,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arital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71. Weaver, C. M., Shaw, D. S., Dishion, T. J., & Wilson, M. N. (2008). Parenting self-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at high risk for early conduct problems :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1, 594-605. 

  72. Yang, M. S., & Cho, B. H. (2009). A study on knowledge and expectations of child development of mothers with an infant.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8, 149-166. 

  73. Yoon, H. J., & Cho, B. H. (2004). Maternal knowledge of child-rear home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59-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