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창의 유형및 특성에 관한 연구 -빛의 유입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Zenithal Opening -Focused on the Inflow Methods of the Zenithal Ligh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8, 2015년, pp.5619 - 5626  

류주희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  김영석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광(Zenithal Light)은 벽의 높은 곳에 위치한 창이나 지붕의 열린 부분으로부터 내부 혹은 중정과 같은 내부와 비슷한 공간에서 하강하면서 들어오는 빛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천광을 이루는 천창의 다양한 사례들과 함께 빛이 들어오는 방식에 대한 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즉, 천창의 가장 큰 특징을 형성하는 것 중 하나로서 빛을 실내에 유입하는 구조적인 장치에 주목하고 이러한 장치인 매개체에 따라 크게 직사광형 덕트형, 쉐이드형으로 구분하고, 각각 세부적으로 변형된 유형으로 나누었다. 즉, 직사광형은 광원 비노출형과 광원 노출형으로 덕트형천창은 집중형과 분산형으로, 쉐이드형은 천정면형, 반사판형, 이중천창형, 수직벽면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zenithal light is the one that is entered down into the interior space or the spaces such as the inner court, through windows high located in the wall or openings of the roof.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mechanism for the zenithal light by studying some examples related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천창의 유형을 천광을 받아들이는 빛의 유입 구조에 따라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직사광형 천창은 그 어떤 반사장치나 매개가 없는 것을 말하며, 그중 광원 비노출 직사광형은 넓은 실내에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고 싶을 때 사용되고 대체로 불투명 유리를 사용하여 실내 조도의 강한 콘트라스트를 배제한다.
  • 천광(Zenithal Light)은 벽의 높은 곳에 위치한 고창이나 지붕에 열린 천창으로부터 내부 혹은 내부와 유사한 공간으로 하강하면서 들어오는 빛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천광을 형성하는 천창과 고창(이후 천창으로 명명함)의 다양한 방식을 살펴보면서 이들 사이의 유사성과 이질성을 구분하고 빛이 들어오는 방식에 대한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이 천광을 받아들이는 매개체의 유형에 따라 빛의 유입이 직접 들어오거나 구조체를 통해 하나의 볼륨으로 들어오거나 다른 곳에 반사시키거나, 오브제를 타고 흘러 들어오거나 하는 유형적 특성을 구별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경험한 다양한 천창 아래에서의 빛의 효과를 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천광(Zenithal Light)은 벽의 높은 곳에 위치한 고창이나 지붕에 열린 천창으로부터 내부 혹은 내부와 유사한 공간으로 하강하면서 들어오는 빛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천광을 형성하는 천창과 고창(이후 천창으로 명명함)의 다양한 방식을 살펴보면서 이들 사이의 유사성과 이질성을 구분하고 빛이 들어오는 방식에 대한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이 천광을 받아들이는 매개체의 유형에 따라 빛의 유입이 직접 들어오거나 구조체를 통해 하나의 볼륨으로 들어오거나 다른 곳에 반사시키거나, 오브제를 타고 흘러 들어오거나 하는 유형적 특성을 구별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사광형 천창은 무엇입니까? 직사광형 천창은 다른 매개구조 없이 불투명한 혹은 투명한 유리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빛을 전파하는 유형으로, 조명 분야에서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으로 나눠지는 것으로 비유하자면 직접조명에 해당한다. 판테온의 오쿨루스, 19세기 앙리 라부르스트의 프랑스 국립도서관 등이 여기 속한 예이고, 아트리움 방식도 여기에 속한다.
천광의 효과를 좌우하는 요소들은 무엇입니까? 천광의 효과는 그의 원천인 천창에 달려있으며, 천창과 그로부터 나오는 빛을 받는 실내와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천광의 효과가 나타난다. 그 효과를 좌우하는 요소로서는 실내공간의 방향, 크기, 높이, 공간과 천창의 관계 즉, 창의 크기 및 창의 분산여부, 천창의 수 등이 있으며, 기 언급한 모든 요소들 간의 관계에 따라 공간에서의 빛의 성질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는 천창을 이루는 가장 큰 요소 중의 하나인 빛의 유입 방식, 즉 빛의 전파를 이루어내는 매개 구조물에 의한 구분으로 그 유형을 분류해 본다.
천광이란 무엇입니까? 천광(Zenithal Light)은 벽의 높은 곳에 위치한 고창이나 지붕에 열린 천창으로부터 내부 혹은 내부와 유사한 공간으로 하강하면서 들어오는 빛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천광을 형성하는 천창과 고창(이후 천창으로 명명함)의 다양한 방식을 살펴보면서 이들 사이의 유사성과 이질성을 구분하고 빛이 들어오는 방식에 대한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이 천광을 받아들이는 매개체의 유형에 따라 빛의 유입이 직접 들어오거나 구조체를 통해 하나의 볼륨으로 들어오거나 다른 곳에 반사시키거나, 오브제를 타고 흘러 들어오거나 하는 유형적 특성을 구별해 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Elias Torres, Zenithal Light, p. 15, COAC Col-legi d'arquitectes de Cataluya, 2005. 

  2. Choi, Man-Jin, An Analysis of Skylight type and their Architectural Esthetical Influences in Museums architectur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Vol. No.41, pp. 172-179, 2003 

  3. Yon-jun Kim, A Comparative Study on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ky Light - Focusing on Alvaro Siza, Henri Ciriani, Laurent Beaudoui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9-4 (Serial No.32) pp.1-9, 2007 

  4. Architecture Aujourd'hui, p. 78. sep.92, n282, 1992. 

  5. Tominaga, Yuzuru, trans. by Kim In-San, Le Corbusier: Nature, geometry and human, pp.110-111, Renaissance, 2005. Seoul. 

  6. Yon-Jun Kim, A Study on Typology and Evolution of Sky Light of Alvar Aalto,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3 No.8 (Serial No.226) p. 46, August 2007. 

  7. L'Architecture d'Aujourd'hui, avr.91 ,n 274. 

  8. Hong Ji-ung, Mimesis art Musieum, mimesis, Paju, 2013. 

  9. http://archidialog.com/tag/johnson-wax-headquarters-building/ 

  10. http://www.archdaily.com/75655/pratt-to-present -three-part-exhibition-lecture-and-symposium on the work-of-le-corbusier/ 

  11. https://www.pinterest.com/pin/397583473330330393/ 

  12. https://www.pinterest.com/mpmoreno22/aldovaneick/ 

  13. http://forums.ssrc.org/ndsp/2014/08/04/rothkochape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