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인력 및 점착력 특성 분석을 통한 전동차 최대 가속도 규격 선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Maximum Acceleration of the Electric Multiple Uni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ction and the Adhesion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1, 2015년, pp.7934 - 7940  

김정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  김무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  고경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래전략센터) ,  장동욱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철도의 표정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가속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전동기의 견인력을 높이면 일정 목표 수준까지는 가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점착력 제한 등으로 어느 수준 이상에서는 슬립이 발생하여 목표 가속도를 낼 수 없게 된다. 주행저항도 목표 가속도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견인력과 점착력 및 주행저항은 속도에 따라 변하는 함수이므로 가속도 규격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속도에 따른 견인력, 점착력, 주행저항 등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전동차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전동차의 경우 전두부가 유선형이고 1C1M 방식의 모터제어를 수행하므로 기존의 주행저항 수식과 점착력 수식을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견인력과 점착력 수식으로부터 가속도 제한을 구하고 실제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대상 전동차에 맞는 점착력 수식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전동차의 M카, T카 편성을 변경할 경우 수치적으로 가능한 최대 가속도 규격을 도출한다. 이렇게 이론적 한계를 제시함으로써 실제 가속도 규격 선정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ise of the acceleration can be one of possible methods to increase the scheduled speed of the metropolitan railway system. It is possible to raise the acceleration to the some point by increasing the traction power of the motor. However, there is a limit of the acceleration because the tra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전동차를 대상으로 편성을 변경하여 고성능 전동차를 구현하고자 할 때 가능한 최대가속도 값과 규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점착력, 주행저항 및 견인력 등 관련된 변수를 파악하고 이들과 최대가속도와의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대상이 되는 전동차는 현재 제작이 완료되고 현재 신뢰성시험 중인 차세대전동차(AUTS, Advanced Urban Transit System)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전동차의 편성을 변경하여 고성능 정동차를 구현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이 절에서는 차세대 전동차의 가속도와 관련된 특성인 점착계수, 주행저항을 기술하며 이를 사용하여 도출한 가속도 선정 수식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착력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가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고자 하면 차륜과 레일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목표한 바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차륜의 회전이 레일 위를 미끄러지지 않고 열차를 가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점착력이며[2] 최대 가속도는 점착력을 초과 하지 않는 범위에서 달성할 수 있다. 주행저항 또한 최대가속도 규격 선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동력분산식 전동차의 장점은? 동력분산식 전동차의 경우 전동기의 용량 증대 없이 편성 중 M카의 비중을 높여서 가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견인력을 증가시키더라도 이를 포함하여 점착력, 주행저항은 속도에 따라 변하는 값이므로 최대 가속도 규격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속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야 한다.
전동차의 가감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도시철도의 표정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 중 전동차의 가감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특히 역간 거리가 짧은 노선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다[1]. 그런데 가속도의 경우 이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동기의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M카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가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고자 하면 차륜과 레일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목표한 바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S. Kim, J. Kim, T. Kim, S.S. Park, and et al., "Study of the metropolitan rapid transport system to minimize sidetrack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16, No. 5, pp. 402-409, 2013. DOI: http://dx.doi.org/10.7782/JKSR.2013.16.5.402 

  2. S.K. Lee, "A study on optimal design of traction motor power for urban transit", Master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0. 

  3. H.J. Jeon, C.H. Kim, and J.H. Lim, "Test and traction characteristic of electric locomotive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eju, pp. 40-47, 2007. 

  4. Y. Kim, S. Kim, K. Kim, and J. Mok, "Study on the Deduction of Traction/Braking Forces for the Train from Acceleration/Decel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9, No. 6, pp. 682-688, 2006. 

  5. D. Choi, C.S. Jeon, H. Cho, H.K. Oh, and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 weight and acceleration for the Korea's next generation electric multiple unit trai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Daegu, pp. 470-474, 2013. 

  6. J.S. Hong, G.D. Kim, C.M. Lee, J.U. Won, A.H. Lee, and C.W. Sung, "Performance tests result and consideration for AUTS(Advanced Urban Transit System)",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Hoengseong, pp. 1092-1096, 2011. 

  7. S.H. Hwang and G.H. Shin, "Test for Adhesion Coefficient using small-scale wheel and rail rig",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Mokpo, pp. 1552-1556, 2012. 

  8. Mechanic word compilation council, "Mechanical Engineering Word Dictionary", Sungandang, Seoul, 2009. 

  9. Electrical railroad compilation council, "Electrical railroad handbook", Koronasha, Tokyo, 2007. 

  10. N.W. Baek, B.S. Lee, S.H. Lee and B.B. Kang, "Railroad train system engineering", GoldenBell, Seoul, 2012. 

  11. M. Miyamoto, "Illustrated science and rail", Kodansha, Tokyo, 2006 

  12. N.W. Baeg and S.J. Lee, "Railroad Dictionary", Golden Bell, Seoul, 2007. 

  13. C. Park, S. Kim, K. Kim, and Y. Kim, "Discussion about measuring methods of resistance to motion for railway vehicle",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eju, pp. 2782-2787, 2009. 

  14. G.D. Kim, "Final report of the development project for the advanced urban transit system technologies",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R&D repor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2011. 

  15. Y.J. Son, M.S. Song, H.S. Lee, and S.W. Hwang, "New edition - railroad train engineering", Gumibook, Seoul, 2011. 

  16. S.W. Yang, et al., "Design guideline for the urban electric train", Korail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design specification for the train, 2012. 

  17. J.M. Lee, H.M. Lee, G.D. Kim, and A.S. No, "Development and testing of next generation electric vehicle propulsion system", Proceedings of the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Yongpyeong, pp. 20-22, 2011. 

  18. W.S. Kim, Y.S. Kim, and S.K. Sul, "Improvement of re-adhesion control performance using estimation of maximum adhesive force", Proceedings of the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Incheon, pp. 163-16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