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2, 2015년, pp.8957 - 8965  

조성희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화영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소득 독거노인들의 삶의 만족과 관련된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고독감, 가족의 지지,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저소득 독거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상태, 고독감, 가족의 지지, 사회적 지지는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특히 가족의 지지와 사회적 지지는 다른 요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gree of difficulty in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is in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loneliness, family support, social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른 노인 계층에 비해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는 많은 요인을 가지고 있어 삶의 만족 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을 검토하고자 한다.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을 살펴봄에 있어서 대상이 가진 특성을 반영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심리적 특성, 가족 및 사회 관계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검토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이 갖는 주요 특성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인 저소득 독거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포함한 일반적 특성과 삶의 만족 및 관련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기초생활수급권을 가진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에 대상자 선발을 의뢰하였으며, 저소득 독거노인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을 뒤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저소득 독거노인들의 삶의 만족을 고독감과 가족 및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지지를 통해 설명하기 위해 진행된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저소득 독거노인들만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로 인해 전국적인 단위의 저소득 독거노인에게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일반화함에 있어 제한을 갖는다.
  • 저소득 독거노인의 문제가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들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았다. 특히 독거노인들의 취약성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고독감과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인 가족과 사회적 지지가 갖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 저소득 독거노인의 문제가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들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았다. 특히 독거노인들의 취약성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고독감과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인 가족과 사회적 지지가 갖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에 근거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을 살펴봄에 있어서 대상이 가진 특성을 반영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심리적 특성, 가족 및 사회 관계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사회복지의 영역의 개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가족과 사회 관계적 특성이 다른 특성들에 비해 갖는 설명력과 그 중요성을 확인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는 어떠한가? 최근 우리나라는 가족형태의 변화에 따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1인 노인가구의 급증이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를 살펴보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15.6%, 2015년 27.1%에서 2035년 34.3%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중 1인 노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24.0%(54만4천명), 2015년 27.3%(137만9천명)에서 2035년 45.0%(343만명)로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1].
독거노인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 사회적 부담이 되는 이유는? 1인 노인가구인 독거노인의 수와 비율의 급격한 증가와 관련된 사회변화는 사회적 관심을 모으기 충분하며 적잖은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다. 독거노인은 노인부부가구 및 자녀동거가구의 노인에 비해 교육수준이 낮고 경제 및 건강 상태가 열악한 취약계층에 속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2]. 또한 경제적·신체적 자립생활이 쉽지 않은 독거노인의 경우 기본적인 생존권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조차 결핍되기 쉬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저출산·고령사회의 대표적인 변화는?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래 없는 저출산·고령사회를 마주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에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한 현상 중 대표적인 현상이 가족형태의 변화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가족형태의 변화에 따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1인 노인가구의 급증이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URL: http://kosis.kr. (accessed August, 19, 2015) 

  2. KIHA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urvey study for the aged, 2014. 

  3. Peplau, L., Bikson, T., Rook, K., & Goodchilds, J., "Being Old and Living Alone In Loneliness". In L. A. Peplau & D. Perlman(Eds.),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27-350, 1982. 

  4. K. T. Kim, B. G. Park,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Network of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20(1): 153-168, 2000. 

  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lderly Statistics Press Release(September. 29, 2014), URL: http://kostat.go.kr. 

  6. W. K. Choi, "A Study on the Eco-systemic Factors Influencing the O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2012. 

  7. J. D. Kwon, Y. U. Cho,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20(3): 61-76, 2000. 

  8. S. D. Chung, "Living Arran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ow-Income Elderly",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 59-79, 2003. 

  9. S. D. Ko, "An Analyt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995. 

  10. Y. K. Oh,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Master's Thesis,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2014. 

  11. H. J. Lee, "The impact of social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comparing living arrangement",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8: 269-290, 2014. 

  12. M. H. Sung, Y. M Lim, K. S. Jo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95-106, 2011. 

  13. S. R. Suh, M. H. Kim,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34(4): 705-716, 2014. 

  14. McClelland, K. A., "Self-conception and satisfaction: Integrating aged sub-culture and activity theory", Journal of Gerontology, 36: 723-732, 1982. 

  15. H. K. Han, Y. R. Lee, "A Study on Factors Impacting on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29(3): 805-822, 2009. 

  16. K. S. You, H. S. Park,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Senior People Living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23(4): 163-179, 2003. 

  17. S. Y. He, "The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18. Victor, C., Scambler, S., Bond, J., & Bowling, A., "Being alone in later life: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living alon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10: 407-417, 2000. DOI: http://dx.doi.org/10.1017/S0959259800104101 

  19. B. J. Jeon, "An Empirical Study on th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 Focusing on Living Arrangement", Social Science Research, 30(2): 189-212, 2014. 

  20. H. K. Kim, H. J. Lee, S. M. Park,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0(2): 279-292, 2010. 

  21. S. M. Yang, S. J. Hong, "Living Arrangement and Psychological Loneliness of Rural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6): 129-139, 2003. 

  22. Beck, A. T., "Schuyler, D., Herman, I., Development of Suisidal intent Scale". In A. T. Beck, H. I. P. Resnik, D. J. Lettieri(Eds.), The Prediction of Suiside, Philadelphia: Charles Press., 1974. 

  23. Q. L. Lin, H. K. Kim, J. S. An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31(1): 33-47, 2011. 

  24. M. R. Kim, "The Effect of Four Hardships(Poverty, Disease, Loneliness, Rolelessness) on the Perceived Stress and Mediating Effect of the Coping Resources of Older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3: 303-330, 2009. 

  25. R. H. Song, "A Study o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0(4), 473-483, 2001. 

  26. M. A. Lee, J. B. Kim, J. H. Kang, "Living Arrange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41-67, 2011. 

  27. J. S. Lim, "The exploration of possible selves and the relationships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5. 

  28.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1985. DOI: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9. H. S. Kim, "A study of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Korean Seniors in Community",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2009. 

  30. Lawton M. P., Moss M., & Fulcomer M.,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 91-99, 1982. DOI: http://dx.doi.org/10.1093/geronj/37.1.91 

  31. J. W. Cha,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Self-Esteem, Loneliness, Helples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2008. 

  32. Russell, D,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 20-40, 1996. DOI: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6601_2 

  33. M. R. Lee, "A Study on the Health and Ego-Integrity of the Elderly",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illa University, 2011. 

  34.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s medicine, 38(5): 300-314, 1976. DOI: http://dx.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35. J. S. Im, "Analyses of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Sport Participants",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012. 

  36. J. W. Park,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