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남성의 자살생각 경로모형 분석
A Path Model Analysis of the Suicidal ideation in Middle-aged mal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543 - 551  

서영숙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정추영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 음주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44-64세 중년남성 236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4월 11일 부터 6월 01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1.0과 AMOS 18.0 programs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형의 적합지수는 RMSEA .05, GFI .99, AGFI .95, NFI .98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남성의 스트레스는 우울, 음주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중년남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에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에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 남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기초하여 자살생각을 감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자살생각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tness of a Path model to represent relations between stress,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iddle-aged males. The participants were 236 middle-aged male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1 to June 1, 2018. The analysis was pe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 심리적 변수, 사회적 변수, 정서적 변수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중년남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 음주 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중년남성의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찰하여 인과관계를 토대로 경로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중년남성의 자살생각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 등의 예측변수들이 자살생각에 직접효과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모형구축을 통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을 파악하여 인과 관계를 설명하였으므로 중년남성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제한된 지역의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중년남성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써, 중년남성의 자살생각 관련변수 및 경로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의 중년남성의 자살생각 예측을 위한 경로모형은 간명하고 적합한 모형임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고, 이를 기초로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년남성의 건강관리 영역에 종사하는 전문가는 중년남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 등의 요인을 고려한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 심리적 변수, 사회적 변수, 정서적 변수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중년남성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남성에게 닥치는 생애 주기 변화와 사회적 위기 상황은 무엇인가? 중년기의 남성은 성호르몬의 변화로 신체적 노화와 무력감, 우울 등의 심리적 변화가 동반되며, 가정에서는 성장하는 자녀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노부모의 부양 및 자신의 노후준비 등 경제적 부담감이 심화되는 시기이다[2]. 또한 우리사회의 경제성장 둔화, 경기불황으로 직장에서는 조기퇴직, 실직, 승진누락 등의 사회경제적 위치 변화를 경험하면서[3][4], 한편으로는 경제적 부양능력 j에 대한 부담으로 돈을 벌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동시에 겪고 있다[3][4][5].
중년 남성이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 시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이처럼, 중년남성은 생애 주기변화와 다양한 위기상황을 당면하게 되는 경우 스트레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 중년남성들은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면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참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부정적 감정 표현에 대한 억제 성향의 우리사회 남성성에 대한 통념으로 인해 오히려 알코올 등의 물질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6][7][8]. 특히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중년기의 우울을 가중시키고, 자기존재에 대한 회의감으로 이어져, 자살생각의 요인으로 작용한다[9].
사회적 지지란 무엇인가? 사회적 지지는 가족과 친구, 동료 등을 포함한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감으로, 대부분 직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중년남성은 우울과 자살생각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경우 사회적 지지체계가 좋을수록 주변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12][16][21],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우울과 자살생각에 직·간접적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6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8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nw/3/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356347&ord5. 

  2. Y. A. Song, J. Y.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actors and drinking/smoking among middle-aged men",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30, no. 1, pp. 13-25, 2013. 

  3. C. Parish, "Dramatic rise in suicide rate for middle-aged men", Mental Health Practice, vol. 16, no. 5, pp. 5, 2013. DOI: http://dx.doi.org/10.7748/mhp2013.07.16.10.5.s7 

  4. E. H. Seo, E. Y. Kim, E. Y. Jung, "The effects of climacteric symptoms and hardiness on mid-life cri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4, pp. 454-463,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4.454 

  5. M. W. Lee, H. J. Park, "A study on late-onset of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mi ddle-aged male worker", J. Korean. Aca. Adult Nurs. vol. 25, pp. 483-493, 2013. 

  6. S. S. Baek., S. G. Yeoum., J. Y. Ch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symptom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alysis Society, vol. 16, no. 5, pp. 2739-2755, 2014. 

  7. E. Y. Kim, M. Y. Jang, E. Y. Jung,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climacteric symptoms and coping behaviors of office workers men on mid-life crisis", Korean J Str Res, vol. 22, no. 2, pp. 77-86, 2014. 

  8. N. C. Korten, H. C. Comijs, F. Lamers, B. W. Penninx, "Early and late onset depression in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differential symptomatology,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138, no. 3, pp. 259-267, 2012. DOI: http://dx.doi.org/10.1016/j.jad.2012.01.042 

  9. H. K. Chang, B. K. Cha, "Influencing factors of climacteric women's depression.", J Korean Acad Nurs, vol. 33, no. 7, pp. 972-980, 2003. DOI:http://dx.doi.org/10.4040/jkan.2003.33.7.972 

  10. H. J. Kim, I. H. Song, "Depressive mood, suicidal Iieation, and alcohol drinking behavior among married employees",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36, pp. 1-30. 2010. 

  11. S. W. Yoo, Y. S. Kim, J. S. Noh, K. S. Oh, C. H. Kim, K Namkoong, et al, "The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xiety and Mood, vol. 2, no. 1, pp. 50-55, 2006. 

  12. H. S. Kim, Y. S. Chae, Y. J. Bae, "The Protective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Nurs, vol. 42, no. 1, pp. 1-8, 2012.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1 

  13. E. O. Park,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vol. 38, no. 3, pp. 465-473, 2008 

  14. Y. H. Park, "Effect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Child Health Nurs Res, vol. 23, no. 1, pp. 111-116J, 2017. DOI:https://doi.org/10.4094/chnr.2017.23.1.111 

  15. M. K. Kim,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family resilience, self-esteem and suicide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7, no. 1, pp. 61-83, 2012. 

  16. H. S. Yoon, S. R. Yeom,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2, no.1, pp. 233-255, 2017. 

  17. S. Y. Lee, M. Heo,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men's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777-4785, 2015. DOI: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777 

  18. T. S. Choi, P. H. Kark,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stress upon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mal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2, no. 3, pp. 931-944, 2011. 

  19. H. J. Jeon, "Epidemiologic studies on de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5, pp. 322-328, 2012.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2.55.4.322 

  20. W. Linda, B. Marroquin, R. Miranda, "Active and passive problem solving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life event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suicid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vol. 16, pp .183-197, 2012. 

  21. J. N. Sohn,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 Focused on Quality of life on Menopause",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43, no. 2, pp. 148-157, 2018. DOI:https://dx.doi.org/10.21032/jhis.2018.43.2.148 

  22. B. G. Park, "Study on a moderating effect of psycho soci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8, no. 4, pp. 969-989, 2008. 

  23. A. T. Beck, M. K. Weissman,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47, no. 2, pp. 343-352, 1979. DOI:http://dx.doi.org/10.1037/0022-006X.47.2.343 

  24. K. B. Park, M. S. Shin, "College goal and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9, no. 1, pp. 20-32, 1990. 

  25. J. H. Yim, J. M. Bae, S. S. Choi, H. S. Hwang, B. Y. Huh,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 translated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17, no. 1, pp. 42-53, 1996. 

  26. G. G. Zimet, N. W. Dhalem, S. G. Zimet,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52, no. 1, pp. 30-41, 1988. 

  27.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vol. 1, pp. :385-401, 1977. 

  28.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y Assoc, vol 32, pp. 381-399, 1993. 

  29. J. H. Mo, J. H. Bae, "Factors affecting suicidal behavior : focused on comparison gender and age differe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2, pp. 121-145, 2011. 

  30. B. S. Park, "The path analysis for mutual relationship of stress and depression that affect the suicidality; comparison of sex and age group",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2, no. 3, pp. 485-521, 2012. 

  31. S. I. Lee,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Democratic Society and policy Studies, vol. 30, no. 1, pp. 104-139,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