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학 분야의 지식 구조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in Korean Stud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4, 2015년, pp.125 - 157  

송민선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학은 지역학으로써의 성격과 함께 다른 학문 분야와 복합적으로 얽힌 특성 때문에 학문 분야로서의 정체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국내외 출판 자료 현황이나 주요 연구 성과 고찰 등 정성적 내용 분석 위주의 방법으로만 진행되어 왔으며, 계량서지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에서 생산된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적용해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FGI를 통해 심층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체로 국내 한국학 분야는 인문학 성격을, 해외 한국학 분야는 사회과학 성격을 보이고, 시기적으로는 국내는 고대에서 현대를 모두 아우르는 데 비해 해외는 주로 근현대 시점 연구가 모여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해 국내 및 해외의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종합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작업이 보다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외 한국학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비롯해, 통상적으로 한국학에서 기준으로 삼는 시대별, 학문 분야별 관점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n Studies, there have been made many studies for finding the identity as the intrinsic academic field, because the Korean studies have complex intertwined characteristics with other fields. However, previous related studies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학 분야에서 생산된 국내와 해외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방식을 적용해 지식 구조 형태 및 구조를 도출하고, 한국학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이하 FGI)를 실시해 각각의 지식 구조에서 나타나는 국내 및 해외 한국학 분야의 내용적 특징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고 하겠다.
  • 하지만 기존의 관련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국내외 한국학 분야 출판 자료의 현황 파악이나 한국학 분야의 주요 연구 성과 고찰 등을 통한 내용 분석 위주의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계량서지학적인 방법을 적용해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에서 생산된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적용해 한국학 분야의 지식 구조를 체계화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지식 구조를 구성하는 군집에 대한 내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해 한국학의 지식 구조를 도출해 보고, 한국학 분야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종합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해 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한국학 분야의 경우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성숙되지 못한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적용․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기존에 한국학 분야에 축적되어 있는 다양한 연구 결과와 함께 한국학의 연구 분야 범주를 더욱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학문적 정체성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앞서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 지식구조에서 보이는 각각의 내용적 특징에 대한 검토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 그 외에 한국학을 “한국에 관한 지식의 체계”로 잠정적으로 정의하며, 한국과 동아시아, 미국을 중심으로 이어져 내려온 한국학의 기원을 파헤치고, 근대 주요 연구자별 연구 경향과 내용, 특징 등을 정리하는 연구를 수행한 김경일(2003), 1950-60년대에 출간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학술지 논문들의 게재 편수 및 세부주제별 분포를 살피고 각 내용의 흐름을 범주화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전근대 시대 한국학에 대한 연구 방향과 특징을 정리한 최기숙(2011)을 비롯해, 해외 각국에서 이루어지는 한국학 연구 동향을 분석·정리하고(김석득 1983; 박영신 1983; 심의림 1990; 오가레크최 1990; 박정신 1999; 함동주 2001; 김윤태 2006;송현호 2012),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학 관련 커리큘럼을 분석함으로써(이병도 2003; 김종명 2006; 조태린 2013), 앞으로 한국학이 세계 속에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국학 관련 교육 과정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한국학 육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해 제언한 연구도 다수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송민선과 고영만(2015)이 2011~2013년 평균 IF 값이 0.5이상인 14종의 한국학 관련 학술지에 수록된 2004~2013년 발간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키워드 동시 출현 빈도에 의한 계층적 군집 분석 방법을 적용해 국내 한국학 분야를 구성하는 연구 영역 식별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지식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으로 양분해 볼 수 있는데, 분석 대상 분야의 전문가를 상대로 개별, 혹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의 방법을 이용해 전문가의 지적 판단에 의존해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방법, 혹은 해당 분야의 관련 문헌 등을 가능한 많이 수집해 수록된 내용들을 분류해 정리하는 방법 등은 질적인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인용문헌 분석 및 연결망 분석과 같은 계량서지학 분석 방법은 일종의 양적인 연구 방법이라 할 수 있다(이정희 2011).
광의의 개념의 '지식 구조'란 무엇인가? ‘지식 구조’의 의미와 개념에 대해서는 사실상 연구자 간의 합의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으며, 연구자가 속한 학문 분야나 대상 지식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광의의 개념으로 지식 구조를 언급한 학자로는 Farradane(1950)을 들 수 있는데, 그는 분류에 대해 정의하는 과정에서 분류를 지식 구조의 이론이라고 하며, 여기에서의 지식 구조는 “지식의 여러 다른 부분들 사이의 관계(relations between different parts of knowledge)”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곽철완(2000)은 인터넷 검색엔진에 사용하는 디렉토리 범주에 대해 인간의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지식 구조를 “인간이 형성하는 개념, 사물 등에 대한 범주의 형태”라고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정의한 바 있다.
한국학의 기존 연구들은 어떤 방법으로만 진행되어왔는가? 한국학은 지역학으로써의 성격과 함께 다른 학문 분야와 복합적으로 얽힌 특성 때문에 학문 분야로서의 정체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국내외 출판 자료 현황이나 주요 연구 성과 고찰 등 정성적 내용 분석 위주의 방법으로만 진행되어 왔으며, 계량서지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에서 생산된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적용해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FGI를 통해 심층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성위. 1980. 한국학의 개념과 논리의 문제들. 정신문화연구, 3(3): 32-38.(Kang, Sung Wi. 1980. "Concepts and Logic of the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Quarterly, 3(3): 32-38.) 

  2. 고영만, 송인석. 2011. 연구문헌의 지식구조를 반영하는 의미기반의 지식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1): 145-170.(Ko, Young Man and Song, Inseok. 2011. "A Study on the Knowledge Organizing System of Research Papers Based on Semantic Rel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1): 145-170.) 

  3. 곽철완. 2000. 이용자 지식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발표논집, 3: 5-15.(Kwak, Chul-Wan. 2000. "A Study on the Structure of User's Knowledge." In Proceeding of Korean Biblia Society, 3: 5-15.) 

  4. 김경일. 2003. 한국학의 기원과 계보: 한국과 동아시아,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64: 129-165.(Kim, Kyung Il. 2003. "The Origin and Genealogy of Korean Studies: Korea, East Asia, and America." Society and History, 64: 129-165.) 

  5. 김민. 2009. 한국 청소년학의 지적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0(2): 223-256.(Kim, Min. 2009.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Youthology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0(2): 223-256.) 

  6. 김석득. 1983. 프랑스에서의 한국학과 언어학 연구의 흐름. 동방학지, 39: 253-258.(Kim, SukDeug. 1983. "The Koreanology and Linguistics in France." The Dong Bang Hak Chi, 39: 253-258.) 

  7. 김승환. 2010. 한국학의 갈래와 개념. 배달말, 47: 283-307.(Kim, Seung Hwan. 2010.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Studies." Korean Language, 47: 283-307.) 

  8. 김윤태. 2006. 중국의 한국학 연구 동향. 중국연구, 38: 77-91.(Kim, Yun Tae. 2006. "The Recent Trends of Korean Studies in China." Journal of Sinology and China Studies, 38: 77-91.) 

  9. 김종명. 2006. 국내의 "해외한국학" 교육: 현황?과제?방향. 아태연구, 13(1): 105-128.(Kim, Jong Myung. 2006. "Education of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in Korea: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13(1): 105-128.) 

  10. 김희정. 2005.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207-224.(Kim, Hee-Jung. 2005. "A Study on Comparison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3): 207-224.) 

  11. 박영신. 1983.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영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동방학지, 39: 247-252.(Park, Yong Shin. 1983. "A Note on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Kingdom." The Dong Bang Hak Chi, 39: 247-252.) 

  12. 박이문. 2006.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의 개념과 방법론 및 지표. 동아시아문화연구, 40: 5-15.(Park, I Mun. 2006. "The Conception of Koreanology as a Science, and Its Methodology and the Directio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es, 40: 5-15.) 

  13. 박정신. 1999. 미국에서의 한국학동향. 인문과학연구, 18: 23-32.(Park, Jung Shin. 1999. "The Trends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Sungshin Humanaties Research, 18: 23-32.) 

  14. 박지연, 정동열. 2013. 저자서지결합분석에 의한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 관리학회지, 30(4): 31-59.(Park, Ji Yeon and Jeong, Dong Youl. 2013.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y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31-59.) 

  15. 서은경. 1992. 정보검색분야의 지적 구조와 변화에 관한 연구: 영어문화권 저자들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9(1): 55-82.(Seo, Eun-Gyoung. 1992. "Research Patterns of Information Retrieval in Information Science: the Changing Structure Across a Decad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9(1): 55-82.) 

  16. 송민선, 고영만. 2015. 국내 한국학 분야의 연구 영역 식별을 위한 거시적 지식구조 분석 연구. 정보 관리학회지, 32(3): 221-236.(Song, Min Sun and Ko, Young Man. 2015. "A Study on the Macro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of the Domestic Korean Studies for Identifying the Research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3): 221-236.) 

  17. 송현호. 2012. 중국 지역의 한국학 현황. 한중인문학연구, 35: 463-504.(Song, Hyun Ho. 2012. "General Information of Korean Studies in China." Studies of Chinese & Korean Humanities, 35: 463-504.) 

  18. 심의림. 1990.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아시아문화, 6: 191-207.(Shen, Yi Lin. 1990. "Trends of Korean Studies in China." Asia Culture, 6: 191-207.) 

  19. 심재후, 최명길. 2013. 창업학 지식구조 분석결과를 활용한 창업 온톨로지 구축.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2): 161-176.(Shim, Jaehu and Choi, Myeonggil. 2013. "An Establishment of Entrepreneurship Ontology through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Entrepreneurship Research."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2): 161-176.) 

  20. 오가레크 최. 1990. 폴란드에서의 한국학연구 현황. 아시아문화, 6: 209-212.(Czoj, Ogarek. 1990. "The Trends of Korean Studies in Poland." Asia Culture, 6: 209-212.) 

  21. 오세훈. 2005.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379-408.(Oh, Se-Hoon. 2005.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y Analyzing Journal Articles and the Cited Literature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379-408.) 

  22. 유영준. 2003.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3): 277-298.(Yoo, Yeongjun. 2003.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3): 277-298.) 

  23. 윤구호, 서말숙. 2001. 저자동시 인용분석에 의한 1990년대 한국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3): 169-197.(Yoon, Koo-ho and Seo, Mal-Sook. 2001.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1990s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3): 169-197.) 

  24. 이병도. 2003. 태국의 한국학 연구 현황과 문제점. 한국국제지역학보, 2: 173-193.(Lee, Byung Do. 2003. "Current Status and Research Problem of Korean Studies in Thailand." Korean Review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2: 173-193.) 

  25. 이정희. 2011. 예산이론 연구프로그램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1(3): 115-148.(Lee, Jung Hee. 2011. "An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oretical Research Programs on Budget Theory."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1(3): 115-148.) 

  26. 이재윤, 김희전, 유종덕. 2010. 저자프로파일링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국내 주거학 분야의 지적 구조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285-308.(Lee, Jae Yun, Kim, Hee-Jeon and Ryoo, Jong-Duk. 2010.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Housing Studies in Korea with Text Mining and Facto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285-308.) 

  27. 임현진, 정일준. 2012. 사회학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 한국학의 세계화 전략 모색. 한국학연구, 43: 461-494.(Lin, Hyun-Chin and Chung, Il-Joon. 2012. "Korean Studies in Sociology: In Search of a Strategy for Globalizing Korean Studies." Journal of Korean Studies, 43: 461-494.) 

  28. 전범수, 한상권. 2007. 한국 언론학 연구의 지식생산 연결망 구조. 한국언론학보, 51(5): 197-215.(Chon, Bum Soo and Han, Sang Kwon. 2007. "Citation Networks in Korean Communication Journal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5): 197-215.) 

  29. 전성운. 2010. 한국학의 개념과 세계화의 방안. 한국학연구, 32: 317-337.(Chun, Sung Woon. 2010. "The Conception of Korean Study and Its Ways of Globalization." Journal of Korean Studies, 32: 317-337.) 

  30. 정영미. 1997. 지식구조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Jung, Young Mee. 1997. Knowledge Structure Theory.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31. 조태린. 2013. 국외 한국학 관련 커리큘럼 분석: 프랑스 주요 대학의 한국학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3: 239-259.(Cho, Tae Rin. 2013. "An Analysis on Curricular of Korean Studies Abroad: With a Focus on Korean Studies Curricular of Several Major Universities in France." The Dong Bang Hak Chi, 163: 239-259.) 

  32. 최기숙. 2011. 1950-1960년대 인문학 학회지에서의 한국학 연구 구성의 특징: 개념?범주?방법론. 열상고전연구, 33: 265-301.(Choi, Key Sook. 2011.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Studies and the Research Vision of the Dept. of College of Humanities in Korean Universities During 1950-1960's: Concept?Category?Methodology - Focusing on the Academic Journals." Yeol-Sang Journal of Classical Studies, 33: 265-301.) 

  33. 함동주. 2001. 일본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과 한국인식. 이화사학연구, 28: 197-215.(Ham, Dong Ju. 2001. "Korean Studies Trends and Awareness about Korea in Japan." Ewha Sahak Yeongu, 28: 197-215.) 

  34. 허고은, 송민. 2013.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의료정보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2): 207-225.(Heo, Go Eun and Song, Min. 2013.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Medical Informatics Journal with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Co-Word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207-225.) 

  35. 황패강. 1982. 한국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신문화, 14: 89-102.(Whang, Pae Gang. 1982. "Trends and Challenges of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Quarterly, 14: 89-102.) 

  36. 황희영. 1978. 나라 밖 한국학 개황. 나라사랑, 29: 182-233.(Hwang, Hee Young. 1978. "Korean Studies Overview in Overseas." Nara Sarang, 29: 182-233.) 

  37. Astrom, F. 2007. "Changes in the LIS Research Front: Time-Sliced Cocitation Analysis of LIS Journal Articles, 1990-2004."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7): 947-957. 

  38. Farradane, J. E. L. 1950. "A Scientific Theory of Classification and Indexing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Documentation, 6(2): 83-99. 

  39. Janssen, F. et al. 2006. "Towards Mapp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2(6): 1614-1642. 

  40. De Moya Anegon, F. et al. 1998. "Research Fro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Spain (1985-1994)." Scientometrics, 42(2): 229-246. 

  41. Small, H. G. 1976. "Structural Dynamics of Scientific Literatur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3(2): 67-74. 

  42. White, H. D. and McCain, K. W. 1998. "Visualizing a Discipline: An Author Co-Cita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1972-1995."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9(4): 327-155. 

  43. Zhao, D. and Strotmann, A. 2008. "Evolution of Research Activities and Intellectual Influences in Information Science 1996-2005: Introducing Author Bibliographic-Coupling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13): 2070-20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