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물 폐기평가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시청 기록관 폐기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Improving Destruction Appraisal System of Records: Focusing on the Destruction Appraisal Case of A City Record Center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5 no.4, 2015년, pp.7 - 24  

김명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초록

1999년 기록관리법의 제정과 함께 정비된 폐기평가 제도는 처리과에서의 폐기를 금지하고 보존기간 책정제도를 보완해 중요기록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략적 개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실제 기록관에서 수행되는 폐기평가의 현실은 기록관리법에서 의도하는 이러한 취지와는 현실적으로 큰 간극을 지닌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록물 평가제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현행 우리나라 폐기평가 제도의 중요성을 살펴본 다음, 현행 폐기평가 제도의 운영현황과 실제 운영상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이어 폐기평가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폐기평가 제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truction appraisal system improved with the enactment of the 1999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has the strategic concepts to prevent loss of important records with prohibiting the destruction in creation organization of records. But destruction appraisal carried out in record center realistic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9년 제정된 기록관리법에서 의도하는 공기록물의 평가제도는 기록물분류기준표를 핵심적인 장치로 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기록물분류기준표는 처리과별 생산기록물에 대한 보존기간 및 보존방식 등의 처리 일체를 체계적으로 조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기록관리법 제정 이전 생산기관 중심의 보존기간 책정방식을 탈피해, 기록물분류 기준표상의 보존기간은 해당 단위업무에 대한 처리과의 의견을 사전적으로 수렴하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최종적으로 책정케 함으로써 기록물 가치에 대한 생산자적 시각과 영구 기록물관리기관의 시각을 조율한 기록물 가치 판단에 대한 사전 합의적 성격을 지니며, 아울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 제정 및 개정, 변경 권한을 지닌다는 점에서 영구적 가치 선별을 담당하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선별의지를 강하게 반영시킬 수 있는 논리를 지닌다(김명훈, 2002, pp.
  • 현행 기록관리법에 명시된 폐기평가 제도는 과거와 같은 처리과에서의 자의적인 폐기를 미연에 방지하고 폐기의 책임성 구현 및 폐기절차의 체계화를 위해 처리과 의견조회, 폐기심사 및 심의를 거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행위에 대한 유일본으로서의 기록물에 대한 책임 있는 폐기 구현,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치의 변화상을 반영한 중요기록물의 발굴, 업무적 법무적으로 필요한 기록물의 폐기 방지 및 개별 기록물철별로 지닐 수 있는 역사적 가치의 발굴 등을 의도하였다. 이러한 폐기평가 제도가 지닌 본원적 취지를 실현할 수 있는 가장 분명한 방법은 폐기 대상 기록물을 일일이 읽고 분석하여 보존기간의 타당성을 폐기에 앞서 다시 한 번 검증하는 것이지만, 현실적 여건상 이를 구현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 이상으로 본고에서는 기록물 폐기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현행 우리나라 폐기평가 제도의 현황 및 수행상의 문제점을 검토한 후, 폐기평가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향후 폐기평가 제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현행 기록관리법상의 기록물 평가제도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폐기평가 제도의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대로 처리과 의견조회 시 업무담당자들의 무관심과 소극적 자세로 인해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폐기평가 업무는 더욱 가중되며, 업무 담당자들의 보존기간 책정 오류도 빈번히 발생하여 이관되는 기록물 중 시스템에 등록된 보존기간과 실제 편철된 기록물의 보존기간을 비교 검수하는데 많은 업무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다음 장에서는 기록물 폐기평가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실제 사례를 검토한 다음, 폐기평가 제도가 원래의 취지대로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개선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폐기평가 제도가 지닌 본원적 취지를 실현할 수 있는 가장 분명한 방법은 폐기 대상 기록물을 일일이 읽고 분석하여 보존기간의 타당성을 폐기에 앞서 다시 한 번 검증하는 것이지만, 현실적 여건상 이를 구현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절에서는 앞선 1절의 사례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기록관 단계에서 수행되는 폐기평가 제도를 현실상에서 개선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본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 앞서 언급한 바대로 1~2만 건의 폐기대상 기록물 내용을 일일이 검토하는 것은 사실상 시간적으로도 인적·물적 자원의 투입 면에서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절에서는 필자가 장기간동안 기록물평가심의회 위원으로 참여한 A시청의 사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A시청의 사례는 기록물 폐기평가 제도의 본래 취지를 현실적인 가용자원의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 근접하게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폐기평가 제도의 개선 방향 모색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이에 본고에서는 기록물 평가 차원에서 폐기평가가 지닌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한 다음 폐기평가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폐기평가 제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는 기록관리법상의 기록물 평가제도 운영현황에 대한 고찰을 통해 폐기평가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관리의 근본 취지는 무엇인가? 모든 것을 보존하는 것은 모든 것을 폐기하는 것이라는 역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현대 기록생산 환경에서, 필요한 대상을 남기고 불필요한 대상을 즉시 폐기함으로써 사무 공간의 절감 및 관리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폐기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이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기록을 보존해 후대에 전승한다는 기록관리의 근본 취지에서 경제성 문제는 필수적인 고려사항이 되었고, 이에 모든 것을 보존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필요한 기간 동안 기록을 보유․활용하고, 불필요해질 때 적시에 폐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한다는 논리가 기록물 폐기의 근저를 형성 하게 된다.
폐기심의는 어떤 절차인가? ‘폐기심의’는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수행한 폐기심사 결과를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절차로, 기록물평가심의회의 심의를 통해 보존기간이 만료된 기록물에 대한 보존기간 재책정․보류․ 폐기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폐기심의를 수행하는 기록물평가심의회는 내부 공무원 및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하게 되는데, 기록물 생산부서의 보존기간 검토 의견,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폐기심사 의견, 평가대상 기록물의 보존기간이 기록관리기준표 내지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보존기간과 일치하는지 여부, 평가대상 기록물의 행정적․역사적․활용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국가기록원, 2014, pp.
현행 기록관리법에 규정된 폐기평가 제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행 기록관리법에 규정된 폐기평가 제도는 다양한 측면에서 보존기간 책정제도를 보완하고 중요기록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강점들을 지니고 있다. 우선 보존기간이 만료된 기록물은 반드시 폐기심사 및 폐기심의를 거친 후에만 폐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무화함으로써 예전과 같은 일선 처리과에서의 불법적인 폐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단위과제와 같은 기능 단위에 보존기간을 부여하는 현행 평가제도 하에서 실제 기록물철로 지닐 수 있는 개별적 가치를 발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치의 변화상 역시 폐기심사 및 심의를 통해 재숙고해 볼 수 있도록 해준 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현행 폐기평가 제도는 기록물에 대한 책임 있는 폐기 구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치의 변화상을 반영한 중요기록물의 발굴, 그리고 업무적 법무적 필요기록물의 폐기 방지와 함께 개별 기록물철별로 지닐 수 있는 역사적 가치의 발굴 등을 의도한 전략적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과학기술부 (2005). 기록물 폐기업무 민간전문가에 맡겨: 기록물 폐기실명제, 삼심제 도입 등 관련 규정 마련. 과학기술부 총무과. 

  2. 곽건홍 (2003).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역사비평사.(Kwak, Kun Hong (2003). The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Seoul: Critical Review of History.) 

  3. 국가기록원 (2006). 업무 및 기록분류체계 통합에 의한 기관 단위과제별 보존기간표 및 기록물보존업무처리기준표 작성 방안. 

  4. 국가기록원 (2012).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절차(v2.1).(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2). Composition and Management Procedure of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Version 2.1).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5. 국가기록원 (2012). 기록물 평가.폐기절차-제2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용(v1.1).(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2). Records Appraisal and Destruction Procedures-Part 2: Archives (Version 1.1).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6. 국가기록원 (2014). 기록물 평가.폐기절차-제1부: 기록관용(v2.2).(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4). Records Appraisal and Destruction Procedures-Part 1: Records Center (Version 2.2).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7. 국가기록원, LG CNS 컨소시엄 (2006). 기록관리시스템 혁신 ISP사업 최종결과보고서: 추진과제별 개선모델 설계-2.1 업무 및 기록분류체계 통합방안. 

  8. 김대기 (2006). 강원도청 기록물 폐기실태 및 개선방안. 상명사학, 11, 77-102. 

  9. 김명훈 (2002). 공공기록물의 평가체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 선별 방식 및 가치 기준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 3-40.(Kim, Myoung Hun (2002). A Theoretical Examination on Appraisal System of Public Records in Korea: Comparative Study on Appraisal Selection and Concepts of Valu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6, 3-40.) 

  10. 김명훈 (2009). 전자기록 환경 하의 현행 평가제도 개선방향 분석: 평가방식 및 평가체제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9, 103-151.(Kim, Myoung Hun (2009). Analysis of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Current Appraisal System of Public Records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Focusing on Appraisal Methods and Appraisal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9, 103-151.) 

  11. 김승태 (2013). 공공기관의 기록물 평가심의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Kim, Seung Ta (2013). A Study on the Operation of Record Appraisal System at Public Institution. Master Dissertation at Department of Archives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12. 류신애, 이승휘 (2010). 공공기록물 재평가 제도 보완 방안. 기록학연구, 24, 41-71.(Ryoo, Sin Ae & Lee, Seung Hwi (2010). Complementary Methods of the Records Reappraisal Polic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4, 41-71.) 

  13. 박지현 (2005). 공공기록물 폐기제도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Park, Ji Hyun (2005). A study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Destruction System. Master Dissertation at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Records Management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4. 서은경 (2006). 기록물 재평가 및 처분을 통한 보존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35-51.(Seo, Eun Gyoung (2006). Managerial Strategies for Records Reappraisal and Deaccessioning at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35-51.) 

  15. 송헌규 (2006). 공공기록물의 폐기실태와 제도변화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폐기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Song, Hun Kyu (2006). Study on Current Status of Public Record Disposal and Change of Policies: Focused on Current Status of Disposal In Daejeon Area. Master Dissertation at Department of Archives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16. 어은영, 조지영 (2012). 비전자기록물 이관업무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71-92.(Eo, Eun Young & Cho, Ji Young (2012). A Study on Improvement of Transfer of Non-Electronic Records: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in Busa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71-92.) 

  17. 이원규 (2000). 공공기록물의 수집.이관과 아키비스트의 역할. 기록학연구, 2, 3-48.(Lee, Won Kyu (2000). The Collection and Transfer of Public Records and the role of the Archivis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 3-48.) 

  18. 이원규 (2002). 한국 기록관리제도의 이해. 서울: 진리탐구.(Lee, Won Kyu (2002). The Understading of Korea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Seoul: Jinli Tam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