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적응의 신기후체제 합의: 전망을 위한 접근방법
Outlook for a New International Agreement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How to Approach 원문보기

환경정책연구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14 no.3, 2015년, pp.75 - 94  

이승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엔기후변화협약 최초로 법적 효력을 갖는 기후변화 적응 관련 합의문을 도출하는 시기에 앞서 적응과 관련한 당사국 간의 핵심 쟁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최종 합의점을 전망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내의 문서와 적응활동 및 신기후체제 합의문 도출을 위한 협상의 논의과정을 분석한 결과 협약에서 적응은 협약의 기본원칙인 '공통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 및 각자의 능력 원칙'에 따라 선진국의 개도국에 대한 지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기후체제 합의문 도출을 위한 더반 플랫폼 특별 작업반 회의를 통해 적응과 관련하여 장기 및 전 지구적 측면, 의무 및 기여와 행동, 모니터링 및 평가, 제도적 장치, 손실과 피해를 주요 의제로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각 의제와 관련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간 대립되는 쟁점을 토대로 가능한 합의점의 스펙트럼을 설정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협상과정에서 당사국의 입장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소인 자국의 이익, 실제 적응문제, 사회적 흐름을 고려하여 최종 합의점을 예측할 수 있다. 신기후체제에 관한 당사국 간 협상이 장기적 측면에서 전 지구적 적응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성 있는 합의문을 도출하고자 한다면 세 가지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하며, 이는 실제 협약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적응활동이나 적응과 관련한 사회적 흐름과 수요를 충분히 고려한 합의문이 도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2015년 제21차 당사국총회의 최종 협상과정에서 당사국들이 국제사회의 기대를 충분히 반영한다면, 신기후체제에 관한 합의가 장기적 측면에서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 감소와 회복탄력성 제고를 달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jor issues discussed among Parties and provide a framework for predicting the agreements on those issues, prior to the final negotiation on a new legally-binding agreement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협약 내 · 외부의 양자 및 다자 협력을 통해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양자 협력을 통해 이미 기후변화 적응 관련 원조를 제공하고 있는 선진국의 입장에서는 추가적으로 다자 체제에서의 원조를 국제법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개도국 입장에서는 다자 협력을 통해 원조를 극대화 하고 지속적이며 예측 가능한 재원조달을 확보하고자 한다.
  • 협상문안의 적응 섹션에도 당사국들이 제안한 많은 문구들이 옵션으로 포함되었고, 2015년 12월 제21차 파리 당사국총회에서의 신기후체제 합의문 최종 문안 도출을 목표로 협상문안(Negotiating text)을 토대로 한 당사국 간의 협상이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역사상 처음으로 법적 효력을 갖는 적응 관련 합의문 도출 시점에 앞서, 어떤 핵심쟁점들이 적응과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쟁점들이 어떤 구도를 통해 논의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적응 관련 신기후체제 합의를 전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2015년의 협상뿐 아니라 앞으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한 논의에 있어서 국가 간의 입장이 어떠한 구도에 의해 형성되는지 이해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리고 당사국들의 입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협상과정에 반영됨으로써 당사국들은 최종 합의점을 선택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신기후체제 적응 합의문의 협상과정에서 당사국들의 입장 정립에 주요한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세 가지 요소 즉, 자국의 이익, 실제 적응문제, 사회적 흐름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협약의 틀 속에서만 적응을 논의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약의 교토의정서에는 무엇을 논의했는가? 유엔기후변화협약은 대부분 온실가스 농도의 안정화라는 주요 목적 달성을 위한 당사국들의 의무와 원칙 등을 언급 하고 있지만, 원칙과 의무사항에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대응과 적응에 관한 사항도 일부 언급하고 있다 3) . 협약의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에서도 대부분 온실 가스 감축과 관련된 사항을 언급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기후변화에 관한 사항은 장기간 감축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2007년 제13차 당사국총회의 발리행동계획(UNFCCC, 2008)과 그동안의 적응 장기 활동 강화 논의를 기반으로 도출된 제16차 당사국총회의 칸쿤합의(UNFCCC, 2011)를 통해 기후변화 적응문제가 크게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4) .
초기의 IPCC 보고서에 비해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해 어떻게 언급하는가? 2014년 승인된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제5차 평가보고서 (IPCC, 2014)에서는 기후변화를 억제하는 데는 적응과 함께 기후변화 위험을 줄일 수있는 충분하고 지속적인 온실가스 배출의 감소가 필요함을 언급하고 있다 1) . 기후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부각되었던 초기의 IPCC 보고서(IPCC, 1990)에 비해 최근의 5차 보고서에서는 기후영향에 대한 확신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즉각적인 적응행동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2) (IPCC, 2014). 1990년의 IPCC 제1차 보고서를 기초로 1992년유엔환경개발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에서 탄생한 기후변화 관련 다자간 국제협약인 유엔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은 현재까지 20년 이상 지속 되면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관련 논의를 주도해 왔다.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Article 3에서 말하는 내용으로 보아 무엇을 의미한다고 하는가?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협약(United Nations, 1992)의 원칙을 언급한 Article 3의 첫 번째 원칙에서는 “공통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과 각자의 능력(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and respective capabilities, CBDR-RC)에 따라 선진국이 기후변화와 그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극복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11) . 기후변화가 명백하게 인간의 간섭에 그 원인이 있음은 IPCC 제5차 평가보고 서를 통해 재확인된 바 있으며(IPCC, 2014),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에 대응하여 적응이 필요하므로 적응에 관한 차별화 된 책임(CBDR)은 역사적으로 상당 부분 온실가스 배출에 기여한 선진국의 책임을 주로 의미하고 능력 차원(RC)에서는 적응을 위한 선진국의 개도국에 대한 협력 및 지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Article 3의 두 번째 원칙에서는 “기후변화에 취약하거나 협약하에서 비정상적인 부담을 지는 개도국의 구체적 요구사항과 특수한 환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규정함으로써 개도국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함을 암시하고 있다 1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