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울(mirror)의 이중적인 구조에 대한 연구 -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ual Structure in a Mirror - Revolve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A Person Who sees' and 'A Person Who is Seen' -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1, 2015년, pp.429 - 454  

송대섭 (홍익대학교 판화과) ,  이은영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판화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의의 출발점은 '자신을 본다'는 거울의 시선에 있다. 거울은 시각을 연장하고 자신이 가질 수 없는 상들을 제공하면서, 닮음, 재현, 반성, 실재 등에 대한 여러 의문을 제기하며 자의식을 강화하는 등 수세기 동안 그 의미는 재인식되어 왔다. 이처럼 거울을 본다는 것은 자기상의 또 다른 표면적 존재를 낳아, 거울 자체의 양면성이라는 실체와 허상 간의 모호한 간격으로 인해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다. 오늘날 거울의 반사상에 대한 과도한 열중은 더욱 심화되어 표출된다. 복잡한 이중적인 구조로 채워진 거울의 시선은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로, 주체와 대상, 대상과 주체와의 불분명한 경계를 낳으며,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존재하는 모든 국면들과 마주하며 교차적인 세계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더욱이 거울의 반사적 의미는 회화와 문학을 비롯한 여러 가지 미적 표현양식에 다양한 시선으로 떠오르는 모호한 수수께끼의 매체로서, 작가들에게 적지 않게 반영되며 창조적인 담론을 낳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거울의 시선이 세계의 상황 속에 서있는 이중의 영역에 반영된 불투명한 인간의 시선임을 제시하며, 보다 구체적인 접근을 위해 거울의 역사적 흐름을 전개하여 문학, 예술 작품에 투영된 일련의 사례들을 통해 닮음의 반사적 구조를 드러낼 것이다. 이 과정은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 즉 지각하는 주체와 거울에 반영된 타자의 시선임을 모색해봄으로써, 나와 세계가 상호 얽힘의 교차관계 속에서 자신의 삶이 존재하고 있음을 반추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resides in the 'eyes' of mirror in a sense of seeing the self reflected in a mirror. The meaning of mirror has been evolved over the centuries while strengthening its sense of identity by bringing up some questions for resemblance, reproduction, self-reflec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연구하고자 하는 소이는 ‘본다’는 것을 통해 거울의 복잡한 구조의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봄으로써, 논의의 중심이 되는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인 나와 타인, 즉 나와 세계에 이르러 인간이 세계에 둘러싸인 저 나름의 존재로서 자신의 흔적을 새겨가며 살아가고 있음을 인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지각의 주체로서 몸2)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현상학적 토대를 마련하여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구조로 비춰주는 거울 또한 인간이 마주하는 삶에 진정한 의미를 부여하는 관계의 공간임을 예기(豫期)해보고자 한다.
  • 본고의 논의는 거울의 이중적인 구조를 통해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세계에 대해 전개한 것이다. 데카르트의 코기토와는 다른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체계의 매커니즘은, 인간이 매순간 속해 있는 상황 속에서 인식과 행위를 통해 세계를 향해 몸이 열리는 존재라는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 우리는 지금까지 거울의 반사상을 통해 살아있는 주체와 대상으로서의 인간의 몸이 다양한 시선들에 의해 어떠한 의미로 전개 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전개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이 순간에 우리에게 운위되어야 할 함의임을 의미존재론적인 물음으로 제시한 것이다.
  •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거울이 지나온 역사적 탄생의 흐름과 문학과 예술 매체로서 반영된 거울의 배경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보고 있는 자신을 보기(Seeing oneself seeing)’를 통해 자아형성의 첫 단계인 거울의 시선에 접근하여, 주체와 대상이라는 이중적인 구조를 제시하는 거울의 세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이를 연구하고자 하는 소이는 ‘본다’는 것을 통해 거울의 복잡한 구조의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봄으로써, 논의의 중심이 되는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인 나와 타인, 즉 나와 세계에 이르러 인간이 세계에 둘러싸인 저 나름의 존재로서 자신의 흔적을 새겨가며 살아가고 있음을 인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그러므로 자신을 비추는 거울의 반사상이 내 자신이 마주하는 첫 번째 타인(他人)임을 우리는 주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보고 보여지는 거울의 이중적인 구조는 주체와 대상 간의 분리구조를 보여줌으로써 본고의 논의를 유발한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울은 어떠한 매체인가? 거울은 이처럼 환상과 수수께끼를 야기하는 신비롭고 창조적인 매체이다. 오늘날에도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물건이지만, 고대와 중세시대에는 마술적 ․ 주술적 도구로서의 힘이 부여되어 예언자나 마술사들에게만 사용이 허락되었다.
크리스탈 거울 발명 전 볼록거울의 구조는 어떠하였는가? 3) 고대 지중해 문명의 금속거울을 시작으로, 주석과 수은을 혼합하여 박막을 붙인 크리스탈(Crystal) 거울이 완성되기까지 거울의 보편화는 사실 더디게 진행되었다. 크리스탈 거울이 발명 되기 직전까지 사용되었던 볼록거울은 유리 덩어리를 불어 반으로 잘라 만든 성직자들의 조그만 빵모자 크기의 모양새로, 가운데가 튀어나와 곡면을 이루었다. 예컨대 이 볼록거울은 얀 반 에 이크(Jan van Eyck, 1395~1441)의 회화작품에서도 등장한다.
고대와 중세시대에 거울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거울은 이처럼 환상과 수수께끼를 야기하는 신비롭고 창조적인 매체이다. 오늘날에도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물건이지만, 고대와 중세시대에는 마술적 ․ 주술적 도구로서의 힘이 부여되어 예언자나 마술사들에게만 사용이 허락되었다. 거울의 반사상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수세기 동안 그 탄생과 더불어 기민하게 변화 되어 왔으며, 지금도 여전히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든 시선에 다양한 조명을 제공하며 새로운 존재를 투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金鵬九 外, 상징주의 文學論, 民音社, 1982. 

  2. 모리스 메를로 퐁티, 김화자 옮김,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 책세상, 2014. 

  3. 모리스 메를로-퐁티, 남수인. 최의영 옮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東文選, 2004. 

  4. 메를로-퐁티, 류의근 옮김,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15. 

  5. 미셸 푸코, 김현 옮김,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3. 

  6. 로버트 카플란, 이상욱 역, 지중해 오디세이, 민음사, 2007. 

  7. 롤랑 바르트, 김인식 편역, 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1993. 

  8. 사빈 멜쉬오르 보네, 윤진 옮김, 거울의 역사, 에코리브르, 2002. 

  9. 월터 보싱, 김병화 옮김, 히에로니무스 보슈, 마로니에북스 TASCHEN, 2007. 

  10. 임철규, 눈의 역사 눈의 미학, 한길사, 2009. 

  11. 자크 라캉, 권택영 엮음 (민승기.이미선. 권택영 옮김),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2014. 

  12.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7. 

  13. 존 버거, 강명구 역, 영상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나남, 1993. 

  14.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07. 

  15. 최정훈 외 공저, 인간행동의 이해, 법문사, 1995. 

  16.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황병하 옮김, 보르헤스 전집 4 - 칼잡이들의 이야기, 민음사, 1997. 

  17. M.메를로-퐁티, 오병남 옮김, 現象學과 藝術, 서광사, 2011. 

  18. 이윤희 애니메이션의 환상성과 리얼리티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12호(2007), pp. 87-102. 

  19. Olafur Eliasson, (eds.)Daniel Birnbaum and Madeleine Grynstejn, "Olafur Eliasson", London and New York, 2002. 

  20. MOON, SO YOUNG, "Eliasson's activism project empowers people through art", Korea Joongang Daily,Dec 10,2014, http://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aid2998318, 검색어: Olafur Eliasson, 2015.08.01. 

  21. Wikipedia, The Arnolfini Portrait, https://en.wikipedia.org/wiki/The_Arnolfini_Portrait, 2015.08.11. 

  22. Wikipedia, Hieronymus Bosch,https://en.wikipedia.org/wiki/Hieronymus_Bosch, 2015.08.11. 

  23. Wikipedia, Las Meninas, https://en.wikipedia.org/wiki/Las_Meninas, 2015.08.11. 

  24. Wikipedia, The weather project, https://en.wikipedia.org/wiki/The_Weather_Project#The_weather_project, 2015.08.11. 

  25. Wikipedia, Cloud gate, https://en.wikipedia.org/wiki/Cloud_Gate, 2015.08.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