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의 현황
Current Status of Alien Plants in the Reservoir Shoreline in Ko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2 no.4, 2015년, pp.274 - 283  

조현석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수지 호안은 생물 침입에 취약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침입식물의 종조성의 현황과 외래식물상과 환경요인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양한 수위 관리를 하고 있는 35 개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과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은 56 종이 발견되어 출현식물 총종수의 15%를 차지하였다. 이들 외래식물을 도입시기별로 분류하면 1876 - 1921 년인 개항 직후에 도입된 것이 57%로서 많았다. 또한 이들의 원산지는 아메리카와 유럽이 80% 이상으로 많았다. 특이한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이 중부 지역에,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가 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범람빈도, 수질오염 지수, 암석노출도 및 평균 사면 경사도이었다. 결론적으로 수위 관리와 기타 인간 교란이 가해지는 저수지 호안은 외래식물의 침입에 취약하였다. 저수지 호안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하여 외래식물의 초기 도입을 탐지할 수 있는 주기적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rvoir shores seem to b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alien plants and their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on reservoir shorelines in Korea. We investigated flora of alien plants and environmental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수위변동과 이용 목적을 가진 35개 저수지의 호안에서 외래식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래식물의 식물상과 종별 원산지, 도입시기와 분류학적 및 생태학적 종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특성과 저수지 호안의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의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조사대상 저수지 호안에서, 중남부 지역에 특이한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종은 무엇인가? 또한 이들의 원산지는 아메리카와 유럽이 80% 이상으로 많았다. 특이한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이 중부 지역에,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가 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범람빈도, 수질오염 지수, 암석노출도 및 평균 사면 경사도이었다.
CBD 2009, Vilà et al. 2011에 따르면, 외래식물의 확산이 가져오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외래종은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 중에 하나로서 생태계 서비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질병 전파, 농작물 수확량 감소 등의 사회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CBD 2009, Vilà et al. 2011).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무엇인가? 특이한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이 중부 지역에,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가 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범람빈도, 수질오염 지수, 암석노출도 및 평균 사면 경사도이었다. 결론적으로 수위 관리와 기타 인간 교란이 가해지는 저수지 호안은 외래식물의 침입에 취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iroldi, L., Abbiati, M., Beck, M.W., Hawkins, S.J., Jonsson, P.R., Martin, D., Moschella, P.S., Sundelof, A., Thompson, R.C. and Aberg, P. 2005.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ployment and design of low-crested and other hard coastal defence structures. Coastal Engineering 52: 1073-1087. 

  2. Brundu, G. 2015. Plant invaders in European and Mediterranean inland waters: profiles, distribution, and threats. Hydrobiologia 746: 61-79. 

  3. Bunn, S.E. and Arthington, A.H. 2002. Basic principles and ecological consequences of altered flow regimes for aquatic biodiversity. Environmental Management 30: 492-507. 

  4. Byers, J.E. 2002. Impact of non-indigenous species on natives enhanced by anthropogenic alteration of selection regimes. Oikos 97: 449-458. 

  5. Casanova, M.T. and Brock, M.A. 2000. How do depth, duration and frequency of flooding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Plant Ecology 147: 237-250. 

  6. CBD. 2009. Invasive alien species.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Montreal, Canada. 6-9. 

  7. Cho, H. 2013.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Drawdown Zone of Korean Reservoirs.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in Korean) 

  8. Cho, H. and Cho, K.-H. 2013.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in reservoirs of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 343-359. (in Korean) 

  9. Cho, K.-H. and Lee, S.H. 2015.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 waterfront alien plan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206-215. (in Korean) 

  10. Choi, H.-J., Lim, S.-H., Kim, K.H. and Kim, S. 2007. Distribution of giant ragweed (Ambrosia trifida) at northwest of Gangwo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7: 241-247. (in Korean) 

  11. Collen, B., Whitton, F., Dyer, E.E., Baillie, J.E.M., Cumberlidge, N., Darwall, W.R.T., Pollock, N., Richman, I., Soulsby, A.-M. and Bohm, M. 2014. Global patterns of freshwater species diversity, threat and endemism.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23: 40-51. 

  12. Daehler, C.C. 2003. Performance comparisons of co-occurring native and alien invasive plant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4: 183-211. 

  13. Davis, M.A., Grime, J.P. and Thompson, K. 2000. Fluctuating resources in plant communities: a general theory of invasibility. Journal of Ecology 88: 528-534. 

  14. Gonzalez, E., Sher, A.A., Tabacchia, E., Masip, A. and Pouline, M. 2015.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A global review of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pproaches in the international, peer reviewed liter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58: 85-94. 

  15. GRIN. 2015.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http://www.ars-grin.gov.4/cgi-bin/npgs/html/taxon.pl?300625/. Assessed 01 August 2015. 

  16. Harrell, F.E. 2015. Package 'Hmisc'. https://cran.rproject.org/packageHmisc. Assessed 01 August 2015. 

  17. Kim, J.M., Yim, Y.J. and Cheon, E.S. 2000. The Naturalized Plants in Korea. Science Books, Seoul, Korea. (in Korean) 

  18. Kim, S., Lee, H. and Cha, H.-C. 2015. Disturbance of university campus ecosystems by alien plant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080-092. 

  19. Lee, C.N. and Ahn, H.S. 1963. Nomina Plantarum Koreanum. Beomhaksa, Seoul, Korea. (in Korean) 

  20.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er, Seoul, Korea. (in Korean) 

  21.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i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 87-101. (in Korean) 

  22. Lee, Y., Kim, J.-K., Jung, S., Eum, J., Kim, C. and Kim, B. 2014.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index model for lakes and reservoirs.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2: 19-28. 

  23. Lodge, D.M., Williams, S., MacIsaac, H.J., Hayes, K.R., Leung, B., Reichard, S., Mack, R.N., Moyle, P.B., Smith, M., Andow, D.A., Carlton, J.T. and McMichael, A. 2006. Biological invasions: Recommendations for U.S. policy and management. Ecological Applications 16: 2035-2054. 

  24. Mori, T. 1921.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rom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Korea. (in Japanese) 

  25. NIER. 2012. Invasive Alien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26. Oksanen, J., Blanchet, F.G., Kindt, R., Legendre, P., Minchin, P.R., O'Hara, R.B., Simpson, G.L., Solymos, P., Stevens, M.H.H. and Wagner, H. 2015. Package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http://vegan.r-forge.r-project.org. Assessed 01 August 2015. 

  27. Pak, H.S., Ju, I.Y., Kang, C.G. and Choe, S.C. 2009. Inventory and Impact Assessment of Alien Plants in DPR Korea. Foreign Book Publishing House, Pyongyang RokSan Printing House, Pyongyang, North Korea.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29. Planty-Tabacchi, A.M., Tabacchi, E., Naiman, R.J., Deferrari, C. and Decamps, H. 1996. Invasibility of species-rich communities in riparian zones. Conservation Biology 10: 598-607. 

  30. Pysek, P., Bacher, S., Chytry, M., Jarosik, V., Wild, J., Celesti-Grapow, L., Gasso, N., Kenis, M., Lambdon, P.W., Nentwig, W., Pergl, J., Roques, A., Sadlo, J., Solarz, W., Vila, M. and Hulme, P.E. 2012. Contrasting patterns in the invasions of European terrestrial and freshwater habitats by alien plants, insects and vertebrate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9: 317-331. 

  31. R Development Core Team. 2015.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Assessed 01 August 2015. 

  32. RAWRIS. 2012.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https://rawris.ekr.or.kr/. Assessed 01 November 2012. 

  33. Strayer, D.L. 2010. Alien species in fresh waters:ecological effects, interactions with other stressor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Freshwater Biology 55: 152-174. 

  34. Tong, S.T. and Chen, W. 2002.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surface water qu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6:377-393. 

  35. Vila, M., Espinar, J.L., Hejda, M., Hulme, P.E., Jarosik, V., Maron, J.L., Pergl, J., Schaffner, U., Sun, Y. and Pysek, P. 2011. Ecological impacts of invasive alien plants: a meta-analysis of their effects on species, communities and ecosystems. Ecology Letters 14: 702-708. 

  36. WAMIS. 2012.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ttp://www.wamis.go.kr/. Assessed 01 November 2012. 

  37. Yang, Y.H., Song, C.K., Park, S.H. and Kim, M.H. 200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genus Paspalum L. Journal of Asian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18: 37-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